朱正善
2019-03-20 14:45:23 출처:cri
편집:朱正善

나시족의 문화와 예술

图片默认标题_fororder_纳西乐器

여강벽화:

명(明)나라 때 유명한 여강벽화는 나시족회화예술의 최고수준을 자랑한다. 이런 벽화는 여강현(麗江縣)의 백사(白沙)와 속하(束河) 등 농촌마을의 사찰에 남아 있다. 그 내용을 보면 티베트불교, 중원불교, 도교 등 종교소재가 대부분이다. 그외에도 천짜기, 어업, 수렵, 무용 등 당시의 생활을 반영한 내용들도 있고 선명한 민족특징과 지역색채를 보인다. 벽화중에서 제일 큰 한폭은 여래불신상인데 폭이 3.67미터, 길이가 4.98미터에 달한다. 여래불상 주위에는 100여기의 불상이 있는데 윗 층은 석줄로 된 소불좌상이고 가운데에는 제군(帝君)과 천녀(天女) 그리고 24명 신장(神將)이 있다. 아래층에는 예불하는 승려 등이 있다. 불좌아래에는 티베트불교의 호법신(護法神) 세명이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후 각급 정부에서는 전문자금을 내어 벽화를 보호했으며 수차례에 걸쳐 벽화를 모사했다. 이런 작품들은 국내의 여러 도시들에서 전시되었고 전문가들의 높은 평가를 받았다.  청(淸)나라 때에는 나시인들중 도성에서 크게 이름을 날린 서예가 양광원(楊光遠)이 있었고 배추그림을 잘 그려 “왕배추”라는 별명을 얻은 화가 왕원(王源) 등 예술가들이 나타났다. 공화국 건국후에는 유명한 중국화 대가인 주림을 대표로 하는 나시족 예술가들이 민족의 문화계승과 발전을 위해 큰 기여를 했다.   

나무조각예술:

나시족의 예술중에서 나무조각이 단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목조예술은 남방쪽에서 많이 발전해왔다. 이들은 보통민가일지라도 처마와 창문, 문, 가구 등에 여러가지 무늬를 새기길 좋아했다. 나시족도 예외가 아니어서 조각이 매우 발달했다.동파목각은 주로 두견목(杜鵑木)을 재료로 쓴다. 이 나무는 4,5월에 꽃이 피고 서너사람이 안아야 할 정도로 크다. 조각가들은 이런 나무에 선각(線刻), 부조(浮彫), 입체조각의 방법을 사용해 원형과 네모꼴, 입체의 도안을 만들어낸다. 이런 도안은 구체적일 때도 있고 추상적일 때도 있으며 나시족의 순박한 아름다움과 민족적 특징을 보여준다. 어떤 조각품은 아프리카의 가면, 피카소의 그림을 연상시킨다. 선각작품은 일부는 일상생활을 보여주는 내용이 있고 또 일부는 열대식물과 새 등을 그리기도 했다. 또 일부는 영웅이야기를 구현하기도 한다. 그 외에도 표주박 조각이 있다. 나시인들은 과거에 표주박에 꽃을 새기군 했는데 지금에 이르러 이런 표주박은 실용가치가 거의 없어져 전문적인 공예품으로 되었다. 표주박의 재료는 북방에서 나는 조롱박이 아니라 배나무나 두견목이다. 이런 목각품은 불에 말려서 조각을 했기에 깨지지 않고 변형되지 않으며 벽에 걸어 놓으면 독특한 분위기를 풍긴다.  

동파화(東巴畵):

동파화는 그림이면서도 문자라고 일컬어진다. 동파화는 나시족의 고대회화중에서도 제일 원시적이고 대표적인 종교회화예술이다. 그 종류가 많으며 그림마다 사람들을 감동시키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형식에 따라 몇가지 부류로 나뉜다. 그 중 죽필화(竹筆畵)는 주로 동파경문(東巴經文)의 표지, 삽화와 제사, 무속 등에 사용되며 회화부호와 그림 등으로 나타낸다. 그 화법을 보면 대나무를 뾰족하게 깎아 소나무연기에 쏘인 먹을 찍어 나무껍질로 만든 굳은 종이에 그리는 방식이다. 죽필화에는 소묘도 있고 색채화도 있는데 그중에서 색채화는 더 밝고 조화로운 느낌을 준다.

목패화(木牌畵)도 있다. 이는 나시인들이 무속행사에 사용하기 위한 특수한 회화형식이다. 나시인들은 목판에 붓으로 먼저 조형을 그려 놓은후 색을 입힌다. 목패화는 그 조형이 특이하고 형상이 이상해 보이지만 인물의 분위기가 생동하고 색채가 화려하여 독특한 예술풍격을 보여준다.

 그 외에도 동파경문 중에는 “문자그림”으로 불리는 그림이 대량 들어 있다. 이런 문자는 고정적인 독음이 없고 그림의 조합 혹은 연환화형식으로 어떤 일을 기록, 묘사한 것이며 전반적으로 볼 때는 그림도안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았다.

나시고악:

나시 옛 음악에 대한 평가는 “음악화석”이라는 불리는 명칭에서 잘 드러난다. 나시고악은 “백사세악(白沙細樂)”, “동경음악(洞經音樂)”과 황경(皇經)음악으로 구성되었다. 나시고악은 도교의 법사(法事)음악과 유교의 행사음악의 요소가 들어 있으며 심지어 당, 송, 원 조대의 사(詞)와 곡패(曲牌)음악 요소도 들어 있어 독특한 풍격을 형성했다. 나시고악은 엄격한 전승방식이 있다. 이들은 스승이 제자에게 혹은 아버지가 아들에게 가르치는 교수방식을 취해 고악이 세세대대로 전해지게 했다. 이들은 중국 고대의 악보인 공척악보(工尺譜)를 스승이 한 곡 한 곡씩 부르면서 제자에게 가르쳤으며 제자는 악보를 외우면서 악기연주도 함께 배운다. 이어 연주를 하면서 이해를 깊이하는 방식이다. 이런 엄격한 전승방식이 있었기에 나시고악은 지금까지 이어져 올수 있었다. 

공유하기:
뉴스 더보기 >
기타 플랫폼
CMG와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