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나라 대시인 백거이(白居易)는 자는 낙천(樂天), 호는 향산거사(香山居士)이고 본적은 태원(太原)이다. 백거이는 소관료가정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매우 총명한 백거이는 태어나 6개월 만에 갈 지(之)자와 없을 무(無)자를 분간할 줄 알았고 5살부터 시 쓰기를 배우기 시작했다고 전한다. 청년시절 전쟁으로 하여 류랑생활을 하게 된 백거이는 많은 가난한 백성들과 접촉하게 되었고 차츰 엄혹한 현실에 불만을 품게 되었다.
백거이는 16살 때 이미 사람들을 놀래우는 시를 지었다. 29살 되던 해 진사과거에 뽑힌 백거이는 한림학사, 좌습유 등 벼슬을 맡았다. 성격이 강직한 그는 기원 815년 절도사와 환관들의 결탁으로 재상 무원형(武元衡)이 암살된 사건에 격분한 나머지 자기의 직권 범위를 초월하여 올린 상소에서 집권자들을 신랄히 통책했다. 이로 인해 그는 강주사마로 강직되였지만 그후에도 계속 통치계급 집단내부의 부패상을 폭로, 규탄했기 때문에 누차 강직되여 끝내는 귀양살이를 떠나게 되었다.
백거이는 일생에서 유가, 도가, 불가 등 다양한 사상의 영향을 받았지만 그중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유가사상이다. 806년에 쓴 <책림(策林)>에서 그는 <천하 백성들을 빠짐없이 구제하자>는 정치주장을 제기했으며 통치계급이 가렴잡세로 백성들을 수탈, 착취하는 것을 반대했다.
백거이는 자신의 시들을 풍유시(諷?詩), 감상시(感傷詩), 한적시(閑適詩), 잡률시로 분류했다. 그중 사상내용과 예술기교 면에서 높은 성과를 거둔 것은 풍자시이다.
<진중음(秦中吟)>, <신악부(新樂府)>, <경비(輕肥)>, <매탄옹(買炭翁)> 등 풍자시에서 백거이는 백성들의 고통스러운 생활을 폭넓게 반영하였으며 백성들의 피땀을 짜내어 사치한 생활을 누리는 황제와 지방관리들의 죄악을 통책했다.
이 뿐만 아니라 백거이는 여성들의 비참한 운명도 시에 담았다. <상양백발인(上陽白發人)>에서는 궁녀들의 비참한 운명을 동정하였고 장시 <비파행(琵琶行)>에서는 비파 타는 여인의 불우한 생활에 깊은 동정을 표시했다.
<비파행>을 지을 때는 백거이가 무고하게 강직되여 우울한 심정으로 나날을 보낼 때였다. 하루는 백거이가 강주의 분포구에서 손님을 바래다가 강가에서 울려오는 구슬픈 비파소리를 듣고 사람을 시켜 알아봤더니, 세상을 방랑하는 늙은 기생(歌妓)이 비파를 타고 있었다. 가련한 기생을 만나 그의 하소연을 들은 백거이는 저으기 동정심이 생겨난 동시에 자신의 처지를 돌이켜보게 되었다. 집에 돌아온 백거이는 즉시로 유명한 서사 장시 <비파행>을 지었다.
백거이의 대표작으로 널리 알려진 <장한가(長恨歌)>에서는 당명왕과 양귀비의 황음무치한 생활을 비난하면서, 이런 생활이 나라를 망치게 하고 애정도 비극적인 종말을 보게 만든 근본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예술기교 면에서 백거이의 시는 높은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전형 인물형상을 부각함에 있어서, 그는 하층 백성들의 외모와 심리활동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시를 더욱 생동하게 썼다. 이밖에도 시인은 서사와 서정을 잘 결합시키면서 격동된 감정을 억누를수 없을 때에는 주정 토로를 폭발시키기도 했다. 그의 시 언어는 매우 통속적이며 시어의 형상성은 예리한 풍자에 의해 더욱 두드러지게 표현된다. 백거이는 당나라시기 신악부 운동을 창도한 시인이다. 그는 새로운 문학이론을 제기하여 시의 내용과 형식을 혁신할 것을 제창했다.
백거이의 진보적인 문학주장과 풍유시 창작은 당나라시기 진보적 사실주의 시가창작으로 하여금 고봉을 이루게 하였고 중국 사실주의 시가발전을 크게 추동하였다. 백거이는 일생동안 도합 2800여 수의 시를 지었는데 이 시편들은 중국 문학보물고중의 아주 소중한 유산으로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