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마(駙馬)"가 황제의 사위를 가리키는 단어라는 것을 오늘 사람들은 다 알고 있다. 중국 전통희곡 "타금지(打金枝)", "여 부마(女駙馬)", "진향련(秦香蓮)" 등에서도 부마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한다. 그럼 무엇때문에 황제의 사위를 "부마"라고 부르게 되었을까?
"부마"란 한(漢) 나라시기부터 전해 내려 온 하나의 관직으로, 전칭은 부마도위(駙馬都尉)이며 한 무제(武帝)가 최초 설립했다고 한다.
"한서 백관공경표(漢書 百官公卿表)"에는, "부마도위란 부마를 주관하는 관리로 무제가 처음 설치했다"고 기재돼 있다. 부마란 바로 황제가 출행할 때 비축해 두는 마차로, 부마도위의 직책은 황제의 궁중 출행시 마차를 관리하는 것이다. 따라서 부마도위란 황제의 호위관에 해당하는 관리이며 근원을 따지고 보면 황제의 사위와는 아무런 연관도 없다.
삼국시기, 유명한 학자 하안(何晏)이 금향공주와 결혼하자 위(魏) 문제(文帝)는 사위가 된 하안에게 부마도위의 관직을 하사했는데, 이것이 바로 부마도위란 관직이 황제의 사위와 인연을 맺게 된 시작이었다.
그 후로 황제의 사위가 된 사람에게는 마치 관례라도 된 듯이 똑같이 "부마도위"의 관직이 주어졌다. 일례로, 사마의(司馬懿)의 딸 고륙(高陸) 공주와 결혼한 (晉) 나라 대장군 두예(杜預)와 사마소(司馬昭)의 딸 상산(常山) 공주와 결혼한 시중(侍中) 왕제(王濟)에게 모두 부마도위 직함이 봉해졌다. 하지만 이는 황제의 사위를 일컫는 하나의 칭호로서 마차나 관리하는 작은 벼슬이 아닌, 황제 사위에 대한 존칭으로 자리 잡았으며 훗날에 와서는 부마로 간칭됐다.
그외 부마란 단어에 관해 "귀전록(歸田錄)"에는 "임금의 딸은 공주라 부르는데 그의 남편에게는 반드시 부마도위란 벼슬이 주어지므로 부마라 부른다. 이로 풀이하여 종실의 딸, 즉 군주(郡主)의 남편은 군마(郡馬)라 부르고, 현주(縣主)의 남편은 현마(縣馬)라 부르는데 대체 무슨 뜻인지 모르겠다"라고 기재돼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