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류: 대학과 학원
중국의 대학은 보통 대학과 학원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교육부가 관할하는 대학과 성(省)에서 관할하는 대학, 시(市)에서 관할하는 대학, 그리고 중국정부 국무원 각 부가 관할하는 대학으로 나뉘어 진다.
보통 교육부가 관할하는 종합대학을 [대학]이라 하며, 후자의 경우에는 [학원] 이라고 하는 경우가 많은데, 외국어 계통의 단과대학은 교육부의 관할일 지라도 [학원]이라고 부르는 경향이 많다.
교육부는 원래 개혁개방 정책의 실시와 함께 특별히 교육 행정에 중점을 둔다는 의미로 1985년 부(部)보다 한 단계 높은 위원회로 개명되어 특별위원회의 성격을 지니다가 1998년 교육부로 재 개명되었다.
이 교육부 아래에는 다시 성(省), 자치구, 직할시의 교육청과 교육위원회가 설립돼 있는데, 교육부의 교육방침과 정책을 실행하고 지역 내 대학들을 지도, 감독하고 있다.
중국 교육부가 2002년 6월 13일 발표한 2001년 전국교육산업통계에 따르면 2001년 12월 31일 현재 중국 전체의 대학수는 1,225개에 이르며, 재학생 수는 7,190,700명에 달하고 있다.
대학제도
중국의 본과대학은 4년제로 봄 학기와 가을 학기가 있는데, 입학은 9월에 시작된다.
거의 대부분의 대학이 학점제를 시행하며 취득학점도 1학기 단위로 되어 있어서 한국의 대학보다 취득해야 할 학점수가 많은 편이다.
중국과 한국대학의 명칭 중에 몇 가지 다른 것이 있는데, 보통 중국에서 [學院(학원)]이라고 하면 한국의 단과대학을 말하고, [系(계)]라고 하면 우리 나라의 학부, 이 계(系) 아래에 다시 여러개의 [專業(전업)] - 학과가 있습니다.
대학 교원 체제는 조교, 강사, 부교수, 교수로 이루어지는데, 한국과 다른 것은 조교수가 없고 조교와 강사도 학교에서 전임을 보장받는다는 것이다. 또 하나는 한국대학에는 한 과에 보통 5∼10 명 정도의 학과 교수가 있지만, 중국 대학은 수 십명에서 많게는 100여명 이상 되는 등 교원 수가 압도적으로 많다는 것이다.
수업과정에 있어서는 전공 위주의 필수 과목이나 전공선택이 대부분이며, 교양선택은 그 비중이 크지 않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