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명(淸明)은 24절기의 여덟 번째로 음력 3월 절기이며, 양력 4월 5, 6일경이 된다. 또 해의 황도(黃道)가 15도에 있을 때이다.
이 날은 한식의 하루 전날이거나 같은 날일 수도 있다. 춘분과 곡우 사이에 있다.
옛 사람은 청명 15일 동안을 5일씩 3후로 세분하여, 1후는 오동나무의 꽃이 피기 시작하고, 2후는 들쥐 대신 종달새가 나타나며, 3후는 무지개가 처음으로 보인다고 하였다.
이날 성묘를 간다. 옛날에는 일년에 네 번, 그러니까 봄에는 淸明(청명), 여름에는 中元(중원, 음7월 15일), 가을에는 秋夕(추석), 겨울에는 冬至(동지)날에 성묘를 했다.
옛날 사람들은 청명이면 봄 농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고 하였다.
청명과 한식(寒食)은 겹치거나 하루 차이이다. 그래서 '한식에 죽으나 청명에 죽으나'라는 속담이 생겼다.
한식의 유래에 대해 중국에서는 이렇게 전해진다. 춘추시대에 진나라 문공(文公)이 충신들에게 상을 주었는데 이 때 문공이 굶주렸을 때 자신의 허벅다리 살점을 베어 바쳤던 충신 개자추(介子推)가 포상에서 빠졌다. 황제의 상을 받지 못한 개자치는 부끄러워 산 속에 숨어버렸다.
훗날 문공이 잘못을 뉘우치고 개자추를 찾았으나 그는 산중에서 나오려고 하지 않았다. 문공은 개자추를 나오게 할 목적으로 산에 불을 질렀다. 그러나 개자추는 끝내 나오지 않고, 불에 타죽었다. 그 후 문공은 그의 죽음을 슬퍼하여 이 날은 불을 쓰지 않고, 찬 음식을 먹었다고 한다. 한식(寒食)은 이로부터 왔다고 전해진다.
과거 사람들은 청명에는 춘주(春酒)라고도 하는 청명주(淸明酒)를 담가 먹었다고 한다. 청명주는 찹쌀 석 되를 갈아 죽을 쑤어 식힌 다음, 누룩 세 홉과 밀가루 한 홉을 넣어 술을 빚는다. 다음날 찹쌀 일곱 되를 깨끗이 씻고 쪄서 식힌 다음, 물을 섞어 잘 뭉개어서 독 밑에 넣고 찬 곳에 둔다. 7일 후 위에 뜬 것을 버리고 맑게 되면 좋은 술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