壽則多辱--이 성구는 壽 목숨 수자, 則 곧 즉자, 多 많을 다자, 辱 욕될 욕자로 이루어졌습니다.
이 성구는 오래 살면 일이 많다는 뜻으로 오래 살수록 망신스러운 일을 많이 겪게 된다는 말로 되겠습니다.
전국시기 사상가 장자의 저서 <천지편>에는 다음과 같은 우화가 실려있습니다.
옛날 성천자로 이름 높은 요임금이 순행도중에 화라는 변경에 이르러 그곳의 관원을 만나게 되었는데 그 관원이 요임금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장수하시오소서.>
그러자 요임금이 미소를 지으며 대답했습니다.
<나는 장수하기를 원치 않네.>
<그러시면 부자가 되시오소서.>
<부자가 되고 싶은 생각도 없네.>
<그러시면 남자애를 많이 낳으소서.>
<그것도 나는 원치 않네, 다남하면 못난 아들도 있어 걱정의 씨앗이 되고 부자가 되면 쓸데없는 일이 많아져 번거롭고, 오래 살면 욕된 일이 많은 법이네.>
이 말을 들은 관원을 실망한 얼굴로 허공을 바라보며 중얼대듯 말했습니다.
<요 임금은 성인이라고 들어왔는데 이제 보니 군자에 불과하군. 아들이 많으면 각기 분수에 맞는 일을 맡기면 걱정할 필요없고, 재물이 늘면 는 만큼 남에게 나누어주면 될텐데... 진정한 성인이란 메추라기처럼 거저를 가리지 않으며 병아리처럼 아무 생각없이 잘 먹고, 새가 날아간 흔적없는 자리처럼 자유자재이어야 하는 법인데... 그리고 세상이 정상이면 세상사람들과 더불어 그 번영을 누리고, 정상이 아니면 스스로 덕을 닦고 은둔하면 되지 않는가, 그렇게 한 100년쯤 장수하다가 세상이 싫어지면 그때 신선이 되어 흰구름을 타고 옥황상제가 계시는 곳에서 놀면 나쁠것도 없지...>
관원을 말을 마치자 마자 그 자리를 떠났습니다.
허를 찔린 요 임금은 좀더 이야기를 들어보려 했으나 그 관원이 어디로 사라졌는지 찾을 길이 없었다고 합니다.
수즉다욕이란 성구는 바로 이 우화에서 유래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