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首鼠两端, 수서양단이란 성구이야기를 준비했습니다.
首鼠两端, 수서양단—이 성구는 首 머리 수, 鼠 쥐 서, 两 둘 양, 端 끝 단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이 성구는 구멍에서 머리만 내밀고 엿보는 쥐와 같다는 말로서 태도가 분명하지 않고 우유부단하다, 결단성이 없다는 뜻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한경제가 하세하고 한문제가 즉위한 뒤 얼마 못가서 두태후까지 하세하자 두태후의 조카인 두영은 일조에 세력을 잃어버리고 무제의 외삼촌인 전분이 득세하여 승상이 되었습니다.
이에 두영과 일찌기 칠국의 난을 평정할 때 큰공을 세우고 용맹을 떨친바 있는 관부는 불평이 대단하였습니다.
그러던 중 전분은 그가 소실을 맞아들이는 기회에 크게 잔치를 벌리고 만조백관을 초청했는데 두영은 억지로 관부를 데리고 연회에 참석하게 되었습니다. 당시의 습관으로 연회석상에서는 손님과 주인이 돌아가면서 권주하기로 되어있었기 때문에 관부도 차례가 되자 전분에게 술을 따라주었으나 전분은 마시지 않았습니다.
이어 관현이라는 사람에게 권주했더니 관현은 곁사람과 이야기할뿐 보는척도 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분이 머리끝까지 치밀어오른 관부는 관현에게 방치같은 욕설을 퍼부으면서 전분까지 빗대고 욕했습니다.
이쯤 되자 전분이 가만있을리 없었습니다.
그는 당장에서 관부를 잡아가두게 한 다음 억지감투를 씌워 그의 일족을 주살하려고 했습니다.
두영은 관부를 살려보려고 사처로 돌아다니며 활동도 해보고 나중에는 한무제에게 상소를 올려 관부가 비록 취중실언했지만 죽을 죄를 진것이 아니니 황제로부터 명찰해줄 것을 간청했습니다.
이에 한무제는 신하들을 모아놓고 어떻게 하는것이 좋겠느냐고 물었습니다.
이때 어사대부 한장유가 겨우 한마디 한다는 말이 <관부가 죽을 죄를 지지 않았다는 두영의 말도 옳고 그가 함부로 날뛰면서 나라를 해쳤다는 승상의 말도 옳은 즉 성상께서 재삼 고려하심이 바른 처사인줄 아오>하는 것이었습니다.
다른 대신들도 한두사람 말했지만 다 이러한 태도였습니다.
그날 저녁이었습니다. 수레에 앉아 퇴궐하던 전분은 앞에서 걸어가는 어사대부 한장유를 불러 수레에 오르게 한 다음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장유, 우리 두 사람은 응당 함께 두영을 대처해야 하는데 오늘은 왜 수서양단했는가?>
말하자면 왜 주견이 없이 우물쭈물했는가 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래서 주저심이 많아 결단성이 없는것을 비유할 때 쓰이는 수서양단이란 성구가 유래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