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I소개
게시판
조선어부 소개
 
cri korean.cri.cn/
전한시기 유학자 동중서
2010-05-17 09:50:36 cri

동중서(董仲舒)는 기원전 179년에 태어나 기원전 104년에 생을 마감했다. 동중서는 오늘의 하북성 출신으로 어릴 때부터 책읽기를 좋아해 배우기에만 전념했다. 그는 학문이 무르익으면서 저술과 교육에도 힘썼다.

그의 교육방법은 매우 독특했다. "제자가 스승으로부터 직접 배우기보다 상호간에 학문을 전수하는" 방법을 내왔는데 말하자면 제자가 입문하면 스승으로부터 직접 학문을 배우기보다 기존의 학생으로부터 스승의 학문을 전수받는 형태를 취했던 것이다. 이러한 독특한 교육방법으로 말미암아 많은 제자들이 그에게 몰려들었으며 그는 마침내 "전한시기의 공자"라고 불리기에 이르렀다.

진나라에 의해 시작된 중국의 통일과업은 한나라에 의해 완성됐다. 이때 본격적인 통일제국시대를 뒷받침할 사상적 작업을 이룩한 핵심인물은 다름 아닌 동중서였다. 그는 유교의 사상적 폭을 더욱 넓히는 동시에, 유교의 국교화를 추진했다. 결국 "유교문화" 기틀을 그가 마련했던 셈이다. 한나라 기반을 공고히 하고 대외 팽창을 주도했던 한무제가 즉위한 후 전국의 선비를 대상으로 자문을 구했을 때 동중서도 이에 응하여 나름대로의 대안을 내놓았다. 동중서는 "대책(對策)"이란 글에서 학설이 분분하고 정견이 다양한 세태는 통일시대의 대원칙에 어긋난다고 주장하면서 "백가를 축출하고, 오직 유가만을 섬길 것"을 한무제에게 건의했다. 그러나 동중서가 주장했던 유가의 학술 또는 공자의 가르침이란 결코 공자시대로의 회귀를 의미하지 않는다.

새로운 역사적 조건에서 공맹사상을 다시 해석하고, 한 걸음 더 나아가 법가 도가 등 다른 학파의 이론을 상당부분 흡수했다. 다시 말해 그에 의해 유학은 다시 태어났던 셈이다. 그의 주장은 결국 무제에 의해 받아들여졌다. 유교는 정식으로 국교로 되였고 모든 관리를 유교 교리에 대한 지식정도에 따라 등용하고 승진시켰다. 이러한 적극적인 국가 후원으로 유학을 배우기 위해 국립교육기관에 등록한 학생 수는 한나라 말까지 무려 3만 명에 이르렀다. 이로써 한나라는 물론, 이후 2천년 이상 유교는 중국에서 정통사상의 위치를 누렸다. 더욱이 유교는 중국문화의 전파와 함께 한국 일본 베트남 등에 의해서 지배사상으로서의 위치를 굳혔다. 그리하여 동양문화는 곧 유교문화를 의미할 정도로 유교는 오랜 기간 그 위세를 떨쳤다.

동중서가 주장한 유교사상은 첫째로 통일을 강조하고 군주권 확립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는 천하통일이란 "하늘과 땅의 리치이며, 고금의 원리"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통일의 대원리를 실천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군주를 "나라의 근본"으로 받드는 태도라는 논리를 펼쳤다. 둘째, 유교의 종교성을 부각시켰다. 그는 천인감응론(天人感應論)을 하늘을 자연과 인간사회 양자를 주관하는 존재로 파악하여 인간의 일에 대해 감응하는 능력과 의지를 갖춘 인격신으로 설정했다. 따라서 자연과 사회의 모든 변화나 국가의 흥망, 인간의 재앙과 복은 결국 하늘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했다. 셋째, 삼강(三綱)과 오상(五常)을 도덕적 규범으로 제시했다. 공자는 "임금은 임금, 신하는 신하, 아버지는 아버지, 아들은 아들다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동중서는 이러한 인간관계의 차별화를 "임금은 신하의 근본(君爲臣綱), 아버지는 아들의 근본(父爲子綱), 남편은 부인의 근본(夫爲婦綱)"이라는 지배와 종속의 관계 설정으로 발전시켰다. 이것이 바로 삼강이다. 오상은 "어짐" 인(仁), "의로움" 의(義), "바름" 예(禮), "지혜" 지(智), "믿음" 신(信)의 다섯 가지 덕목을 말한다. 동중서는 이러한 덕목을 갖추어야 인간은 서로의 관계를 올바르게 유지할 수 있다고 강조했던 것이다.

동중서는 재상이 된 후 조정에서 유학자가 아닌 학자들을 모조리 쫓아낼 것을 한무제에게 건의하여 유교가 한나라의 사상적 바탕이 되는 계기를 마련했다. 또한 그는 장래가 촉망되는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육기관인 태학(太學)을 세울 것과 귀족과 지방관들로 하여금 해마다 뛰어난 재능과 훌륭한 품성을 지닌 사람들을 추천하게 하여 관리로 임명하도록 제안했다. 이러한 제도는 비록 출신은 비천하지만 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에게 권력과 영향력이 있는 지위를 보장해주는 봉건사회 관리등용제도인 "과거제도"의 토대로 되였다. 한나라가 오경박사(五經博士)를 두게 되고, 국가 문교의 중심이 유가사상에 통일된 것은 동중서의 헌책에 힘입은 바가 크다.

동중서가 내놓은 이론에 따르면 우주의 기본적인 두 기운인 양과 음은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하며 통치자는 음양의 조화를 유지해야만 하며 백성을 돌보고 계몽시켜 혼란을 막아야 하는데 필요하다면 제도를 개혁할 수는 있지만 하늘의 근본적 도덕원리를 바꾸거나 파괴해서는 안 된다. 동중서의 철학체계에서는 통치자가 가장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이것은 분명 한 무제가 유교를 받아들인 중요한 이유 가운데 하나였다.

동중서의 이론은 계급 모순을 완화시키고 사회생산의 발전을 추진하며 통일된 봉건국가를 공고히 하는데 진보적인 의의를 가지고 있다. 동중서는 유학을 신격화하여 당시 봉건제도에 주요한 이론근거를 제공해 주었다. 동중서는 전한시기, 나아가 중국의 전반 봉건사회에서 중요한 이론가로 이름을 남겼다.

동중서가 남긴 저서에는 "춘추번로(春秋繁露)", "동자문집((董子文集)", "천인삼책(天人三策)" 등이 있다.

  관련기사
  리플달기
   Webradio
선택하세요
cri korean.cri.cn
  추천기사

[차이나는 중국] 바오쯔

꿈의 마을 조원

새해가 왔어요~

영상으로 보는 제2회 중한성장지사회의

제2회 중한성장지사회의 베이징에서 개최
중국각지우편번호중국각지전화코드편의전화번호호텔
China Radio International.CRI. All Rights Reserved.
16A Shijingshan Road, Beijing,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