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玄奬)
중국국제방송국


   중국에는 가가호호 다 아는 소설인 <서유기>가 있다. 소설은 불가제자 넷이서 천신만고를 겪으면서 무수한 요귀와 귀신들을 물리치고 마침내 서천취경의 뜻을 이룩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소설의 주인공 중의 한사람인 일당삼장  원형이 바로 중국 고대의 저명한 문화 사절 현장승려이다.

    현장은 당나라의 승려로서 기원 600년에 중국 당나라에서 태어났다. 현장은 어릴때부터 아주 총명하였고 당시 풍미하였던 불학에 특별한 애호를 가졌다. 11살 나던 해에 현장은 벌써 불경을 송독할수 있었고 13세에 출가하여 중국의 문화 중심지인 낙양의 정토사에서 경론을 공부하였으며 그후로는 전국 각지를 다니면서 스승을 구하여 불교이론을 통달하였다. 18살에 현장은 불교계에서 그 명성을 떨쳤다.

    그가 인디아 불교학 중의<경장(經藏)>, <율장(律藏)>, <논장(論藏)>을 통달하였으므로 사람들은 그를 <삼장법사(三藏法師)>라고 불렀다.

청년시기에  불교철학에 대해 집요하게 추구하기 시작한 현장은  당시의 불경 번역문이 불완전하고 의문나는 부분이 많아  원전(原典)을 접하고자 불교의 근원지 인디아로 가기로 다짐하였다.

기원 627년 현장은 당시 중국 당나라 수도였던 장안 (지금 서안)을 떠나 인디아의  나란다사(那爛陀寺)로 향하는 머나먼 로정에 올랐다. 나란다사는 불교의 최고학부로서 그때 벌써 7백여년의 역사를 갖고 있어 인디아 불교학의 권위이자 세계 기타 지역의 불교도들이 가고 싶어하는 곳이였다.

1300여년전 인류 자체가 지리에 대한 지식이 결핍하고 교통조건 또한 지극히 낙후된 상황에서 도보로 중국 중부에서 머나먼 인디아에 간다는 것은 엄청 힘든 일이였다. 도중에 인적 없는 사막과 원시림을 경과해야 했고 중국 서북의 대설산도 넘어야 했다. 독실한 불교신자로서  현장은 모든 난관을 물리치고 기원629년 여름에 마침내 인디아 북부에 도착했고 나중엔 인디아 중부에 가서 불교의 6대 성지를 참배하였다.

기원 631년 현장은 인도의 나란타사에 5년간 머무르며 불교경전을 탐독했다. 그후 그는 6년동안 인디아 각지를 돌면서 선후로 10여명의 불교학 대가들을 만나 학문을 닦았다. 그후 그는 일류 불교학자로 되였다.  한번은 인디아 불교이론 변론대회에서 현장은 논주(論主)가 되여 대회에 참가한 모든 불교도들의 질문에 일일히 답을 주었는데 이때로부터 그는 인디아 불교계에  명성을 널리 떨쳤다.

기원 643년 현장은 그가 수년간 수집한 경전, 불상을 지니고 귀국길에 올랐다. 당시의 중국 황제 당태종은 친히 사람을 보내여 그를 영접하게 하였다. 현장은 환속하여 관직에 오르라는 황제의  요구를 마다하고 장안 홍복사(弘福寺)에 들어갔다. 당태종의 후원으로 그는 각지의 고승, 학자들을 모아 그들과 함께 규모가 방대한 불경 번역작업을 시작하였는데  그 사업은  장장 19년 진행되였다.

현장은 경전번역에 혼신을 바쳤다. 19년 동안  75 1335권에 달하는 경론을 번역했다.  현장은 5세기 인디아 불교의 전면모를 반영한 기본 저작을 체계적으로 번역, 소개하였고 노년에는 최대의 불교경전 <대반약경 (大般若經)> 600권을 번역하였다. ( )문화에 대해 깊은 이해를 갖고 또한 범문(梵文)에 정통한 탓으로  현장이 번역한 글은 원문의 뜻을 살리면서도 유창하고 아름다웠다.

현장은 경전을 번역하는 한편 교를 창조하였다. 중국 불교사상 법상종(法相宗) 이 바로 그가 세운 것이다. 그의 일본 제자 도소(道昭)가 귀국한후 내온 법상종(法相宗)은 오늘까지 전해내려오고 있고 조선 제자 원측(圓測)이 귀국한 후 전도하여 조선의 법상종(法相宗)을 내왔다.

불교저작 외에도 현장은 자신의 경력을 구술하고 제자 변기(辨機)더러 기록하게 했는데1년남짓한 시간을 들여  그들은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를 완성했다.  이 저서는  10년 남짓한 동안 현장이 다녀온  백여개 나라를 분류하여 각 나라의 역사연혁, 지리분포, 민족기원, 물산과 기후, 문화와 정치 등을 일일이 소개하였는데 그 내용이 풍부하여 오늘날까지도 아프카니스탄, 파키스탄, 인디아 및 전반 중아시아의  고대역사와 지리를 연구하는 보귀한 자료로 되고 있다.  

19세기 이후  <대당서역기>는 선후로 프랑스어, 영어, 일어, 도이췰란드어 등으로 번역되어 현대 고고학자들이 고대 인디아와 중아시아 역사문화 유적을 발굴하고 연구를 성과적으로 진행할수 있도록 근거를 제공해 주고 있다. 현장의 문화 영향은 그의 서행취경의 주관적 목적과 직접적 효과를 초월하여 중국 및 동방문화사상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는 국제적으로 인정 받는 번역가, 불교학 이론가일 뿐만아니라  중고시대의 위대한 여행가로서 17년 동안에 5만리를 걸어서 110개 나라를 다녀왔는바 이는 세계 역사상 드문 일이다. 그의 여행기는 오래전부터 불후의 세계 명작으로 인정받고 있다.

    현장의 이야기는 역대 문인들의 영감을 불러일으켰다. 당조시기부터 많은 문인들이 예술수법을 이용하여 그의 이야기를 신격화하였는데 송대에는 <대당삼장취경시화(大唐三藏取經詩話>가 나왔고 명나라에 와서는 신화소설 <서유기(西游記)>가 나왔다. 천여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그의 이야기는 가가호호 전해지고 있으며 사람들은 그에 대한 이야기를 즐겨 듣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