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성구" 빈지여귀(賓至如歸) "'손님이 제 집에 돌아온 것 같이 편안하게 대접받다.'

cri2015-01-19 15:39:49

賓至如歸(빈지여귀)

오늘의 성구" 빈지여귀(賓至如歸) "'손님이 제 집에 돌아온 것 같이 편안하게 대접받다.'

◎글자풀이:

손님 빈(賓), 이를 지(至), 같을 여(如), 돌아올 귀(歸)

◎뜻풀이:

손님이 제 집에 돌아온 것 같이 편안하게 대접받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유래:

진(晉)나라는 문공(文公)의 바른 정치로 강대국인 초(楚)나라를 누르고 제후들의 맹주(盟主)가 되었다. 진나라는 주변 제후국들로부터 공물(貢物)을 받았는데 찾아오는 사신들이 머무를 수 있는 여관을 특별히 지었다.

진문공이 세상을 떠나고 그 뒤를 이어 평공(平公)이 즉위하였다. 한번은 정(鄭)나라의 군주인 간공(簡公)이 대부 자산(子産)을 데리고 진나라를 방문하였는데 진평공이 만나주지 않았다. 진나라의 오만한 태도에 몹시 분개한 자산은 명령을 내려 투숙한 곳의 담장을 모두 허물게 하고 타고 온 수레와 예물들을 그대로 정원에 방치하도록 했다.

정나라가 무례하다고 여긴 진나라 평공은 대부 사문백(士文伯)을 보내 자산에게 그 책임을 물었다.

"요즘 들어 진나라에 도둑이 득실거리고 있소. 제후들이 늘 사신을 보내기 때문에 여관마다 튼튼한 대문을 달고 높은 담을 쌓아 오신 사신들의 안전을 지키고 있소. 헌데 당신이 지금 그 담을 부수어버렸으니 그 죗값을 치러야 할 것이오. 당신은 부하들의 호위로 두렵지 않을지 모르지만 다른 나라의 사신들은 더는 이곳에 머무를 수 없게 되었소. 이를 어찌하면 좋겠소."

사문백의 질책에 자산은 침착하게 대답하였다. "우리가 담장을 허물어버린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우리 정나라는 두 강대국 사이에 끼어 있는 소국에 불과합니다. 늘 대국에 공물을 바치고 있지요. 그런데 공물을 요구하는 시기가 일정하지 않아 늘 조심스럽습니다. 전국의 재물을 모아서 귀국에 바치려고 급급히 떠나 이곳까지 왔는데 도착하고 보니 군주께서 만나주지 않습니다. 게다가 언제 만나주겠다는 약속도 없으십니다. 가지고 온 예물들은 어찌하란 말씀이십니까?"

그러자 사문백이 되물었다.

"갖고 있다가 폐하께 바치면 될 것을... 애꿎은 담장은 왜 허문 것이오?"

"이는 모두 진귀한 보물들입니다. 헌납하는 의식을 거치지 않고 드린다면 예의에 어긋나는 것이며 귀국의 대신들을 모욕하는 것과 다름이 없습니다. 그렇다고 부고(府庫)에 함부로 들여놓을 수도 없으며 노천에 마냥 방치할 수도 없는 노릇 아니겠습니까? 혹시라도 비바람을 맞아 볼품없이 되어버린다면 결국 그 죗값은 우리가 받게 됩니다. 문공께서 군주였을 때에는 이렇게 빈객을 맞지 않으셨습니다. 누각조차 없는 작고 초라한 궁궐이었지만 영빈관만은 높고 크게 지었습니다. 공물을 저장하는 창고와 마구간은 늘 따로 준비되어 있었으며 도로와 도성벽도 잘 손질되었습니다. 어디 그뿐이겠습니까? 빈객들이 도착하면 횃불을 들고 손님을 따뜻하게 맞아주었으며 수레를 둘 곳과 빈객 하인들의 거처까지 빈틈없이 마련해주셨습니다. 또 문공께서는 절대 빈객들의 시간을 지체하는 일이 없었습니다. 제후들과 늘 고락을 같이 했으며 빈객들의 고민을 들어주고 안위해주었으며 부족한 것을 도우셨습니다. 그리하여 빈객들은 진나라에 오면 자기 집으로 돌아온 것 마냥 아무런 걱정이 없었습니다.(賓至如歸) "

자산이 이어서 말했다. "하지만 지금은 전혀 다릅니다. 궁궐은 몇 리나 이어졌지만 제후들이 머무는 방은 노예가 사는 것처럼 초라하기 그지없습니다. 대문으로 수레가 들어가지 못하니 물건을 밖에 그대로 방치할 수 밖에 없습니다. 도둑들이 이를 보고 가만히 있을 수 없지요. 게다가 전염병도 막아내지 못합니다. 우리가 담장을 헐고 귀중품들을 들여놓지 않았다면 무슨 대책이 있겠습니까? 지금이라도 진상품을 바칠 수 있게 해주신다면 담장을 원래보다 더 튼튼하게 복구해 놓겠습니다."

사문백은 어쩔 수 없이 조정에 들어가 이 사실을 전했다. 평공은 "우리의 덕행이 실로 부족했구나. 노예들이 머물고 있는 곳을 허물고 제후들을 맞이하라"고 명령한 다음 자산에게 사과하였다. 그 후 진 평공은 정간공과 자산을 특별한 예를 갖추어 만났다.

이 이야기는 《춘추 좌전(春秋 左傳) 양공(襄公) 31년》에 기록되었다. 여기에서 유래된 고사성어 "빈지여귀(賓至如歸)"는 손님이 제 집에 돌아온 것처럼 편안하게 대접받는 것을 이르는 말로 사용된다.

404 Not Found

404 Not Found


ngin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