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올림픽은 적지 않은 신기록이 창조된 한차례의 올림픽이었다. 마스코트의 수량과 판매수입이 역대 올림픽 가운데서 최고를 기록했고 시장개발수입은 새로운 수준을 창조했으며 경기장건설규모와 수준 역시 세계일류였다. 올림픽 성화봉송과정에 있어서는 성화봉송주자가 가장 많았고 봉송시간이 가장 길었으며 봉송거리와 해발고의 높이 또한 최고를 기록하는 등 4개의 신기록을 창조했다.
중국은 올림픽을 준비하는 과정에 올림픽경제의 역할을 최대로 확장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했다. 그 실례로 여러개의 협찬도시를 지정한 사실을 들 수 있다. 주최도시 베이징을 제외하고 올림픽 범선경기를 진행했던 청도와 마술경기를 진행했던 홍콩, 그리고 축구경기를 진행했던 천진, 진황도, 심양, 상해까지 올림픽 협찬도시로 낙점되었다.
일곱개의 올림픽 도시들은 또한 중국의 3대 경제권에 포함된 도시들이다. 상해를 선두로 한 장3각 경제권, 광주를 선두로 한 주3각 경제권, 그리고 베이징과 천진을 선두로 한 환발해 경제권에 이르기까지 3대 경제권은 중국경제가 30년동안 지속적이고 쾌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추진시켜온 주요지역이다. 더 많은 도시들로 하여금 올림픽에 참가시키려면 도시경제부터 발전시켜야 할 뿐더러 세계에서의 영향도 확대해야만 했다.
베이징올림픽과 관련된 7개 도시들은 올림픽을 준비하는 과정에 자아발전을 추진했다. 첫째는 도시기초시설수준을 제고한 것이다. 올림픽의 순조로운 진행을 담보하고저 관련도시들마다 도시의 기초시설건설에 대한 투자를 늘여 수준을 제고했다.
둘째는 구역 산업구조수준을 제고한 것이다. 올림픽은 구역 건재업과 환경보호업, 정보산업, 문화산업, 스포츠산업 및 매스컴과 광고업에 상업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올림픽 주최도시 및 소재구역의 산업구조조정에 계기를 마련해주게 되었으며 구역산업구조수준제고에 이로움을 제공했고 가지속발전을 촉진했다.
셋째는 구역경제협력을 추진하게 된 것이다. 대규모적인 올림픽 투자 및 올림픽과 유관된 산업의 발전은 대량의 원자재와 공업상품에 대한 수요를 증가했고, 주변도시를 비롯한 기타 도시들에 발전기회를 제공하며 구역간의 교류와 협력을 추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