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연구에 따르면 기후의 가뭄현상으로 중국 황하 발원지 지역의 습지퇴화가 심각합니다. 최근 15년동안 이곳의 소택지와 습지 면적은 약 200평방킬로미터 줄어들었으며 호수와 늪도 해마다 3개 이상의 속도로 황하 발원지 지역에서 소실되고 있습니다.
황하 발원지 지역의 습지는 중국 청장고원 습지의 중요한 구성부분이며 풍부하고 특유한 생물유형 군체를 갖고 있습니다.
해당 전문가의 소개에 따르면 기후변화는 황하 발원지 습지퇴화에 영향이 뚜렷합니다. 기후의 온난화는 습지 수문과 토양 온도의 상승을 유발했으며 습지의 에너지 균형에 영향을 미쳐 황하 발원지 습지에 뒤덮인 빙설과 계절동토의 얼굼시간을 줄여 이로써 수위의 하강을 유발하게 될것입니다. 그리고 수위와 물누적 면적의 변화는 습지의 생태계통에 영향을 주게 될것입니다.
현재 중국 습지면적은 약 3800여만 헥타르로서 세계에서 네번째 자리를 차지하며 아시아에서 첫 자리를 차지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