吳牛喘月-여기서 吳는 나라 오자이고 牛는 소 우자이며 喘는 헐떡거릴 천자, 月는 달 월자입니다.
오우천월이란 성구는 말 그대로 오나라 소는 달만 보아도 헐떡거린다는 말로서 <더위먹은 소 달만 보아도 헐떡인다>는 속담과 같은 뜻이 되겠습니다.
중국 강남일대는 고대 오나라에 속했는데 이 성구에서 말하는 오나라의 소는 더위를 몹시 타는 강남일대의 물소를가리킵니다.
달만 보아도 해가 떴나 해서 헐떡거렸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이 강남일대의 소는 아마도 더위를 몹시 무서워했나 봅니다.
<세설 언어>에 의하면 진왕조 초기 상서령의 벼슬까지 한 만분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어느 한 번 그가 진무제를 알현하게 됐다고 합니다.
진무제는 만분이 들어오자 북쪽 창문가에 앉으라고 자리를 권했습니다.
그때 그 창문앞에는 투명한 유리병풍 한짝이 놓여있었는데 얼핏 보기에는 마치 빈틀 같았습니다.
이에 종래로 바람을 겁내는 만분은 감히 그 자리에 앉지 못했는데 또 황제가 앉으라는데 앉지 않을수도 없구 해서 그저 제자리에서 망설이기만 했답니다.
만분이 바람을 겁내는 병증이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는 진무제는 그가 유리병풍을 보아내지 못했다는 것을 짐작하고 그 유리병풍을 가리키며 허허 하고 웃으면서 말했습니다.
<자네, 어서 거기에 앉게나. 자네가 어떤 병증이 있다는 것을 내가 모를손가. 실은 그쪽에 유리병풍을 미리 쳐두었다네.>
이때야 만분은 게면쩍게 웃어보이면서 <신은 마치 오나라의 소처럼 달만 보아도 헐떡거린답니다.> 라고 대답했습니다.
오우천월이란 성구는 바로 만분의 이 말에서 전해진것입니다.
이 성구와 비슷한 뜻을 가진 속담으로는 또 <자라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보고도 놀란다> 또는 <불에 놀란 놈 부지깽이만 보아도 놀란다>는 속담들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