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에서 중대한 조치를 취하거나 국계민생의 중대한 문제를 결정할 때 중국공산당은 모두 사전에 민주당파와 무당파 민주인사와 협상을 진행하며 광범하게 의견과 제의를 청취한 다음 결책을 형성한다. 민주당파와 무당파인사들은 국가 권력기관인 인민대표대회 및 그 상무위원회, 상설전문위원회중, 그리고 지방 각 급 인민대표대회중 모두 일정한 비례로 대표가 있으며 보다 잘 참정, 의정하는 데 감독역할을 발휘한다. 인민정치협상회에서 민주당파와 무당파인사들의 역할을 충분히 발휘하며 민주당파와 무당파인사들은 각 급 정부 및 사법기관에서 영도직무를 담당한다.
경제개황: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창건된이래 중국경제는 비교적 빠른 발전을 가져왔다. 특히 1978년에 개혁개방을 실시한 이래 중국경제는 해마다 9% 이상의 속도로 지속적이고 건전하게 발전하였다. 2003년 중국 국내생산총액은 1조 4천억 달러에 달해 경제총액은 미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에 이어 세계 6위를 차지하였다. 2003년 말까지 중국의 일인당 국내생산 총액은 이미 1000달러의 선을 돌파하였다.
지금 중국 국내의 투자와 소비는 모두 양호한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03년 중국사회고정자산투자는 인민폐로 5조 5천여억 원에 달하였고 전 사회 소비품 소매총액은 4조 6천여억 원에 달하였다. 또한 대외무역액은 8500여억 달러에 달해 영국.프랑스.독일과 일본 다음으로 세계 4위를 차지하였다. 2003년말까지 중국의 외환 보유액은 4천억 달러를 초과해 일본 버금으로 세계 2위를 차지하였다.
20여년간의 개혁개방과 현대화건설을 통해 중국은 이미 계획경제로부터 사회주의 시장경제에로의 전변을 기본상 완수하였고 사회주의 시장경제체제를 점차 수립하고 완벽화 하였다. 이와 적응되게 중국의 법률법규도 부단히 완벽화 되고 시장개방 정도도 부단히 확대되였으며 투자환경이 끊임없이 개선되였다. 금융체제 개혁이 온당하게 추진됨에 따라 이 모든것들은 중국의 경제발전에 확고한 보장을 제공하였다.
새로운 세기에 들어서서 중국은 인간과 자연,인간과 사회, 도시와 농촌, 동부와 서부, 경제와 사회를 전면적이고 조화롭게 발전시키는 관념을 제기하였다. 2002년 중국공산당 제16차 전국대표대회는 2020년까지 중등생활수준의 사회를 전면 건설할 데 관한 분투목표를 제기하였다.
외교개황: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창건된 후 중국의 외교관계는 새로운 페이지를 열었다.
1949년부터 진난 세기 50년대 말까지, 중국은 소련과 각 사회주의국가들과 수교, 또는 우호협력관계를 수립했다. 1955년 인도네시아 반둥에서 아시아,아프리카회의가 진행된 후 일부 아시아, 아프리카 나라들은 중국고 수교했다. 1956년에 이르러 중국과 수교한 나라는 25개로 늘어났다.
지난 세기 50년대 후기부터 60년대 말까지 중국은 선후로 기네, 가나, 말리, 꽁고, 탄자니아 등 국가들과 우호조약과 경제기술협력에 관한 협정을 체결했고 앙골라, 기네비싸우, 모잠비끄, 짐바브웨, 나미비아 등 국가들의 독립무장투쟁과 남아프리카인민들의 백인인종주의반대투쟁을 지지했다. 선후로 미얀마, 네팔, 몽골, 아프카니스탄과 역사적으로 남아 내려오던 국경문제를 해결했고 또 국경조약을 체결했으며 파키스탄과 중국 신강과 파키스탄이 실제적으로 통제하고 있는 그들의 방어지역간의 국경협정을 체결했다. 인도네시아와는 화교들의 이중 국적문제를 해결했다. 1969년에 이르러 중국과 수교한 나라는 50개에 달했다.
새 중국 외교의 중요한 전환점은 1971년10월이다. 그 당시 많은 발전도상나라들의 지지하에 제26차 유엔대회에서 압도적인 다수로 2758호 결의를 통과하고 유엔에서의 중화인민공화국의 모든 합법적인 권리를 회복했으며 즉석에서 국민당집단의 대표를 유엔 및 그 모든 기구로부터 축출했다. 그뒤 중국은 절대 다수 서방 국가들과 외교관계를 수립했다.
1 2 3 4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