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세기 70년대 말부터 80년대 말까지 등소평 외교노선의 지도하에 중국은 미국, 일본, 서부유럽과의 정상적인 관계를 발전시켰고 소련과의 관계를 개선했으며 제3세계와의 관계를 전면적으로 발전시켰다. 그리고 주변국가와 많은 발전도상 나라와의 관계를 개선하고 발전시켰다. 홍콩문제와 마카오문제를 타당하게 해결하기 위해 중국은 영국과 뽀루뚜갈과 외교담판을 거쳐 각기 상술한 두 나라와 1984년12월과 1987년 4월에 공동성명을 발표했으며 중화인민공화국정부가 각기 1997년 7월 1일과 1999년 12월20일에 홍콩과 마카오에 대한 주권행사를 회복한다고 확인하였다. .
지난 세기 90년대부터 중국 정부는 평화공존의 다섯가지 기본 원칙을 바탕으로 세계 여러 나라들과 우호협력관계발전을 적극 모색하면서 새로운 국제 정치와 경제 질서의 수립을 공동으로 추진했다. 선후로 인도네시아와의 외교관계를 회복했고 싱가포르, 브루네이, 한국과 수교하고 베트남, 몽골과 관계정상화를 실현했다.
민족개황:
중국은 통일된 다민족 국가이며 또한 세계적으로 인구가 제일 많은 나라이기도 하다. 현재 중국에는 13억 인구, 56개 민족이 있다.
중국 민족에는 한족, 몽골족, 회족, 티베트족, 위글족, 묘족, 이족, ?족, 부이족, 조선족, 만족, 뚱족, 요족, 바이족, 투쟈족, 하니족, 까자흐족, 따이족, 리족, 리수족, 와족, 써족, 고산족, 라후족, 수이족, 둥샹족, 나시족, 징퍼족, 끼르끼즈족, 투족, 다고르족, 머로족, 챵족, 부랑족, 쌀라족, 모난족, 거로족, 시버족, 아창족, 프미족, 따쥐크족, 누족, 우즈베크족, 러시아족, 어윈커족, 더앙족, 보안족, 위구족, 징족, 따따르족, 두룽족, 오로죤족, 허저족, 먼바족, 뤄바족, 지노족이 망라된다. 이밖에 중국에는 아직 민족이 식별되지 않은 적은 인구가 있다.
중국에는 한족이 총인구에서 92%를 차지하며 소수민족 인구가 8% 정도 차지한다. 한족 외의 55개 민족은 상대적으로 한족보다 적기 때문에 습관적으로 "소수민족"이라고 부른다. 소수민족은 주요하게 중국 서북, 서남, 동북 등 지역에 분포되어있다.
중국정부는 각 민족 평등과 단결, 호조의 민족정책을 집행하며 소수민족 신앙자유의 권리와 풍속습관을 존중하고 보호한다.
민족구역자치제도는 중국의 중요한 정치제도이다. 이것은 국가의 통일영도하에 각 소수민족 집거지가 구역자치를 실행하며 자치기관을 설립하고 자치권을 행사하는 것을 가리킨다. 나라에서는 민족자치지방에서 현지 실제상황에 근거하여 나라의 법률과 정책을 관철, 집행하며 소수민족의 각급 간부와 각종 전문인재, 기술노동자를 대량 양성하도록 보장한다. 그리고 민족자치지방의 각족 인민들이 전국인민들과 함께 중국공산당의 영도하에 역량을 집중하여 사회주의 현대화건설을 진행하며 민족자치지방의 경제, 문화의 발전을 가속화하고 단결, 번영한 민족자치지방을 건설하도록 보장한다.
1 2 3 4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