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뉴스 라디오 언어 교실 블로그
경제     |    문화/교육    |    관광   |    연예오락    |    올림픽    |    재중코리안
CRI 소개 | 조선어부소개/연락방식 | 주의사항 | 게시판
중한 정무관계
2007-04-30 17:38:05               

cri

중한 양국은 1992년 8월 24일 수교한 후로 정치상 양국 지도자들의 상호 방문이나 국제 다각활동에서의 회담이 뚜렷이 증가되었고 이에 따라 상호간 이해와 신임도 더욱 증진됐으며 양국 관계의 빠른 발전을 추동했다.

수교후로 양국 정치관계는 매우 순조롭게 발전했다. 1998년 한국 김대중 전 대통령은 중국을 방문했으며 방문 기간 쌍방은 21세기에 향한 중한 협력동반자관계를 구축하기로 선포했다. 2년 뒤인 2000년, 중국 주용기 전 총리는 한국 방문 기간 이 관계를 전면협력의 새 단계로 끌어 올리기로 합의했다. 2003년 한국 노무현 대통령은 중국을 방문했으며 쌍방은 중한 전면 협력동반자관계를 맺기로 선포했다.

1998년 11월, 한국 김대중 전 대통령은 중국을 국가 방문했다. 강택민 전 주석은 김대중 대통령과 가진 회담에서 양국 관계의 발전에 만족을 표했으며 쌍방의 공동의 노력을 통해 양국간 친선협력관계가 새로운 단계에로 발전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고 표시했다. 이어 쌍방은 연합공보를 발표했으며 공보에서 수교 6년사이의 양국간 선린친선우호협력관계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둔데 대해 만족을 표했다. 쌍방은 유엔헌장의 원칙과 중한 수교시 발표한 연합공보의 정신, 및 수교후 양국간 선린친선협력관게를 토대로 하여 21세기에 향한 중한 협력동반자관계를 구축하기로 토의 결정했다. 방문기간 쌍방은 [중한 형사사법협조조약], [중한간 비자수속과 다차 비자 발급에 관한 협정], [중한 양국 정부 청년교류 양해비망록], [중국철도부와 한국건설교통부간 철도교류와 협력협정]을 체결했으며 [양국 어업협정(초안)]을 체결했다. 양국 외교, 경제무역, 철도와 건설부문 책임자들도 각기 베이징에서 회담을 진행했다. 김대중 대통령은 베이징 외 상해를 방문했으며 필리핀에서 열린 아태경제협력기구(APEC) 지도자 비공식회의 후 귀국 도중 11월 19일부터 이틀간 홍콩특별행정구를 공식 방문했다.

200년 10월, 주용기 전 총리는 김대중 대통령의 초청에 의해 한국을 공식 방문했다. 방문 기간 주용기 총리와 김대중 대통령은 공식 회담을 진행했으며 쌍무관계, 조선반도 정세 등 공동의 관심문제를 둘러싸고 깊이있게 의견을 나누었으며 많은 공동인식을 달성했다. 회담 중 쌍방은 중한 협력동반자관계를 전면협력의 새 단계에로 끌어 올릴데 대해 동의했다. 그외 주용기 총리는 한국 이만섭 국회의장, 이한동 총리와 주요 정당 지도자 등 정계인사들을 회견했으며 한국 경제계 지명인사들과 널리 접촉하였다. 양국은 [중화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 인도조약]을 체결했다.

2001년 5월 23일부터 27일까지 한국 이만섭 전 국회의장의 초청에 의해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이붕 전 위원장이 한국을 공식 방문했다. 방문 기간, 이붕 위원장과 한국 이만섭 국회의장은 회담을 가졌다. 이어 이붕 위원장은 김대중 대통령, 이한동 총리와 한국 정계, 경제계, 한중 우호단체 대표 등 각계 인사들을 만났으며 LG그룹의 평택 전자공장을 참관했다. 회담과 회견 중, 쌍방은 쌍무관계와 반도정세 등 공동 관심사에 관해 솔직하게 의견을 나누었으며 중한 관계의 신속하고 전면적인 발전에 만족을 표했다. 쌍방은 21세기에 향한 양국간 전면협력동반자관계의 발전을 진일보 추동할데 대해 일제히 동의했다.

1 2 3
 
 
서비스 홈   
 
 
 
 
  © China Radio International.CRI. All Rights Reserved. 16A Shijingshan Road, Beijing, China. 10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