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四课:你家有几口人?
제4과: 식구가 몇명입니까?
가정
고대의 전통가정
부모와 조부모가 계시고 아들과 손군들이 함께 생활하는 네세대, 다섯세대가정은 중국의 전통으로 보면 이상적인 가정이고 그와 반대로 분가는 수치스런 행위로 치부되었다. 이런 전통적인 대가정의 관리체계는 가부장제도였고 가정내의 위계질서가 엄격했다. 가정내 사무를 처리함에 있어서 가장이 절대적인 권위가 있었고 아랫사람은 발언권과 결정권이 없었다.
"자식의 효도"는 중국전통가정의 노후생활방식이다. 부모가 자식들을 낳아서 어른으로 키우고 부모의 노후는 자식들이 효도를 다해 노인을 부양하는 책무를 다한다.
현대의 중국가정
20세기후 특히는 1949년후 중국인들의 가정에는 큰 변화가 나타났다. 현대 중국가정의 방식은 점점 다양해지고 있는바 그 주요한 변화추세는 핵가족과 직계가족으로 발전하는 것이다. 현재 도시나 농촌에서 젊은이들의 우선적인 선택은 핵가족이다. 도시의 대다수 가정은 부부와 한명 혹은 두명의 자녀로 구성되고 있으나 농촌에는 3대나 4대가 함께 사는 가정들이 아직도 많은 편이다.
중국인들은 윗 어른을 공경하고 어린이를 사랑하는 전통이 있다. 현재 비록 많은 가정이 두세대가 갈라 살고 있지만 이들은 여전히 자주 오가며 성가한 자식들이 노인을 부양하는 것이 법적인 의무로 규정되여 있다. 중국인의 가족관념은 아주 강해 자기의 부모와 자식들간 내왕이 많을 뿐만 아니라 형제와 친가, 외가친척들사이도 아주 돈독하다.
족보
족보는 중국 특유의 문화유산으로 중화민족의 3대 문헌기록(국사,지리지,족보)의 하나이며 소중한 인문자료이다. 도표형식을 사용한 족보는 혈연관계를 주축으로 가족역사와 중요한 인물의 사적을 기록한 특수한 도서매개체이다.
족보의 주요내용에는 세가지다. 첫 부분은 혈연관계를 보여준다. 즉 어느 대에 속하고 아버지가 누구인가 등등을 나타낸다.두번째는 족보의 주요내용으로 세계도에서 보여준 각자의 선후순서에 따라 기록되여 있으며 각기 호와 아버지의 이름, 항렬, 시대, 관직, 직위, 나이, 사망일, 익호, 혼인 등을 소개한다. 이런 소개문장은 길어서 50자정도이고 짧을 때는 두세글자로 요약한다. 이는 인물의 소형전기라 할수있다. 세번째 부분은 부록이다.
일부 족보는 작성시에 항렬순서를 규정하고 사전에 호를 정해 그 항렬을 명확히 하는데 농촌에서는 이를 "항렬을 정한다"고 한다. 이는 자격과 항렬에 대한 규정이다. 역사적으로 대남자주의가 형성됨으로 하여 남자는 정식이름을 지을때 반드시 규정된 글자를 이름의 한 글자로 사용해야 했고 이 글자는 세글자 이름중 가운데 위치나 마지막 위치에 놓았다. 각 항렬마다 완전히 같은 것은 아니나 약정된 내용에 따라 사용하군 했다.
민족
통일된 다민족국가인 중국에는 56개 민족이 있다. 총인구의 91.59%를 차지하는 한족은 중화민족대가정의 주요 성원이다. 한족은 고대 화하족과 기타 민족이 장기적으로 잡거해 살면서 형성되였다. 한족은 발전과정에서 여러 소수민족과 융합해 오늘의 규모에 이르렀고 중국의 절대대부분 지역에 분포되였다. 그외 몇천만명이 세계 각지에 분산돼 살고 있다.
한족외 55개 민족을 소수민족이라 부르는데 그 인구는 1억 643만명, 총인구의 8.41%이다. 비록 인구가 적으나 분포지역이 광범해 전국 총면적의 50-60%지역을 차지하고 있다. 55개 소수민족으로는 몽골족, 회족, 티베트족, 위글족, 묘족, 이족, 쫭족, 부이족, 조선족, 만족, 뚱족, 바이족, 투쟈족, 하니족,까자흐족,따이족,리수족, 와족,써족,고산족,라후족,수이족,둥샹족,나시족,징퍼족,끼르끼즈족,투족,따고르족,머로족,챵족,부랑족,쌀라족, 모난족,기로족,시버족,아창족,푸미족,타지크족,누족,러시야족,우즈베크족, 요족,리족,어원커족,더앙족,보안족,유구족,징족,따따르족,두룽족,오르죤족,허저족,먼바족,지노족,로바족이다. 중국의 서남지역에는 20여개 소수민족이 사는데 각 민족은 역사가 오라고 자기들만의 민족문화와 생활풍속을 형성했다. 해마다 민족명절이 1000여개 되는데 그중 많은 민족들이 모이는 명절은 주로 이른 봄이나 가을, 겨울에 집중되였다. 한족은 자기의 언어와 문자-한어를 가지고 있고 이는 현재 중국의 통용언어인 동시에 국제적인 통용어이기도 하다. 55개 소수민족중 회족과 만족은 한어를 통용어로 하고 있고 기타 53개 민족은 민족언어를 사용한다. 문자가 있는 민족은 총 21개이며 27가지 문자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