朱正善
2019-07-02 10:50:28 출처:cri
편집:朱正善

두룽족의 역사

图片默认标题_fororder_独龙族妇女

민족명칭:

두룽족은 두룽(獨龍)이라 자칭하고 타칭으로는 추이파(俅帕), 취뤄(曲洛) 등이 있다. 이들은 주로 공산(貢山)두룽족누족자치현의 두룽강류역에 살고 있으며 이 지역의 제일 오래된 거주민족이다. 이들과 관련된 기재를 보면 “원일통지(元一統志)”에서 “쵸우(撬)”로 되어 있는데 이는 “추이우(俅)”와 같은 발음으로 현재의 두룽족을 지칭한 것이다. 1952년에 두룽족인들의 염원에 따라 정식으로 두룽족으로 확정되었다. 두룽족은 과경민족 즉 국경을 건너온 민족이며 외국에는 미얀마 북부에 두룽족의 집거지가 있다.

인구:

중국에 살고 있는 두룽족의 총 인구는 2010년의 집계로 보면 6900여명에 달하며 그중에서 운남성(雲南省)에 거주하는 사람이 6300여명이다. 운남성 누강리수족자치주의 공산두룽족자치현은 유일한 두룽족자치현이다. 그중에서 두룽강하곡에 위치한 두룽강향(獨龍江鄕)은 두룽족의 제일 중요한 집거지로 이 향의 총 인구중에서 두룽족이 98.87%를 차지한다. 그외 일부가 운남성 디칭(迪慶)티베트자치주의 일부 향들에 살고 있다.

두룽족의 기원:

두룽족의 민족기원 및 민족의 형성에 대해서는 지금까지도 뚜렷한 맥락과 선색이 없으나 언어로 볼 때 고대 저족(氐族)과 챵족(羌族)에서 기원했다고 보는 것이 학자들의 주된 견해이다. 두룽족의 민족내부에서 전해지는 전설로 보면 그 기원은 두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두룽족이 토착민족이라는 것이다.다른 하나는 최초에 두룽족이 누강일대에서 살다가 후에 사냥을 하면서 우연하게 두룽강하곡의 광활한 사냥지역을 발견하고 육속 이곳으로 옮겨와 살면서 남쪽으로 지역을 확장해 갔다는 것이다.

두룽족의 약 15개 씨족 중에서 8개 씨족의 전설은 이 민족이 누강지역에서 왔다고 전해진다. 또 언어 및 과거 얼굴에 문신을 하던 등 문화특징으로 볼 때 두룽족은 공산의 누족과 비슷한 점들이 많다. 때문에 최근에 대다수 학자들은 누족과의 연관설에 더욱 무게를 두고 있다. 

두룽족의 연혁:

두룽강하곡지대는 당나라,송나라 때에 남조(南詔)와 대리국(大理國)의 관할범위에 있었고 원,명,청 세개 조대 때는 려강(麗江) 목씨(沐氏) 토사와 려강로군민총관부의 통치를 받았다. 이 기간에 한문 사서중에는 두룽족 선민들에 대한 기재가 남아 있다. 원나라의 사서기록에 보면 현재의 려강시, 누강리수족자치주와 디칭티베트족자치주 남부 등 지역의 서북부가 오늘의 티베트자치구와 인접해 있었다. 이때는 두룽족과 티베트족, 리수족의 선민들이 일부 지역에서 함께 살았음을 유추해볼수 있는 대목이다. 이런 기록들로 보면 후에 원나라 때 두룽족의 선민들이 점차 두룽강유역에로 옮겨갔음을 알수 있다. 청나라 때의 역사기록에 보면 “추이우인들은 난창강(澜滄江)의 대설산밖에 살고 초막을 짓고 산다. 남자들은 머리를 길게 기르고 짧은 옷차림을 한다.여자들은 구리귀걸이를 달고 옷 역시 삼베로 해입었다. 더욱 특이한 것은 일부 사람들이 동굴속에 살고 나무잎으로 몸을 가리고 짐승의 고기와 피를 먹는 원시적인 생활을 하는 것이다.”이는 당시 두룽족의 낙후된 생산 및 생활방식을 보여는 대목이다.    

청나라 중반에 이르러 두룽강과 누강은 두 구역으로 나뉘어 려강목씨 토사지부 소속의 강보토천총(康普土千總)과 엽지토천총(葉枝土千總)의 관할에 속했다. 청나라 때의 기록으로 보면 1730년부터 두룽족은 황랍30근,삼베 15장,야생나귀가죽 20장을 관할장관인 강보토천총에게 공물로 바쳤다. 그후 강보토천총은 두룽강 상류지역을 티베트 라마사(喇嘛寺)에 기증했고 라마사는 두룽족인들로부터 “제도비용”과 “보시비용”을 받았다. 이때에도 강보토천총은 여전히 공물을 받았다.공물이 부족할 경우에는 두룽족인들을 노비로 삼았다. 그 외 동쪽 접경지역의 리수족 노예주들도 두룽족인들을 붙잡아 노예로 삼았다. 이런 압박은 두룽족들의 몇대에 걸친 반항을 야기했으나 이런 반항은 무자비한 진압을 당했다. 포악한 노예주들은 선후로 두룽족의 몇개 가족을 몰살하기도 했다.또 두룽족인들을 핍박해 불평등맹약을 맺고 “영원히 번복하지 않는다”는 맹세를 하도록 했으며 공물을 바치거나 노비를 바친다는 서약을 하도록 했다. 1907년부터 1908년까지  청나라 정부는 관원을 파견해 누강과 두룽강 일대를 순시했으며 현지인들에서 “화두(伙頭)”, “갑두(甲頭)” 등 직무를 위임하고 현지인들의 공납을 폐지하도록 명했으며 토사들이 국경민들을 노비로 삼는 것도 엄금했다.        

신해혁명 후 두룽강지역은 창포통식변(菖蒲桶殖邊) 공서(公署)의 관할범위였으며 1918년에 창포통행정위원회 공서로 변경되었다. 1933년에는 공산설치국(貢山設置局)으로 변경했으며 공안국과 구공소를 설치했다. 중화민국시기에 정국이 혼란에 빠졌고 두룽족인들은 티베트 토사와 국민당 정부의 이중통치를 받게 되었다.국민당정부는 이 지역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두룽강지역에서 보갑(保甲)제도를 실시했다. 총 4개 보가 있었는데 하나의 행정촌을 한개 보로 하고 하나의 행정촌을 1갑으로 했으며 현지의 족장들을 보장(保長), 갑장(甲長)으로 임명했다. 이들은 지역의 일상사무를 관리하는 외에도 국민당정부를 위해 세금을 받아 들이는 책임을 맡았다.

1907년 누강유역에서 발생한 “백하라교사건”은 현지의 티베트족과 리수족, 누족, 두룽족인들이 프랑스 제국주의자들에 맞서 싸운 항쟁이었다. 1913년에 영국은 “측량대”의 명의로 무장인원 10여명을 파견했으며 이들은 미얀마에서 두룽강지역으로 들어왔다. 이들의 침력행위는 두룽족인들의 견결한 항쟁을 불러 일으켰고 두룽강지역을 통해 티베트지역을 침략하려던 영국군의 시도를 효과적으로 저지했다.   

역사적으로 통치계급의 핍박과 학살을 겪고 근대의 제국주의의 수탈 등으로 두룽족인들은 고난의 세월을 견뎌내야 했으며 그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해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전에는 1700여명만 남았다.

1949년 8월 공산이 평화적으로 해방되었고 1950년 3월에는 공산임시정부위원회가 발족했으며 그해 4월 이 지역은 공산현으로 정식 개명되었다. 1950년 10월에는 공산현인민정부가 정식 설립되었다. 

공유하기:
뉴스 더보기 >
기타 플랫폼
CMG와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