朱正善
2019-08-18 18:25:40 출처:cri
편집:朱正善

허저족의 세시풍속과 금기

图片默认标题_fororder_赫哲族渔猎场面雕塑

혼인풍속:

허저족은 씨족외혼인제를 실행했다. 과거 자녀들의 혼인은 부모들이 결정했으나 지금에 와서는 자주적으로 혼인을 하는 방향으로 변화했다. 과거 혼인방식으로는 중매인소개방식, 남녀 쌍방 부모가 직접 만나서 결정하는 방식, 겹사돈을 맺는 방식, 지복위혼(指腹爲婚) 즉 아기 혼사를 미리 정하는 방식 등 네가지였다. 그외에는 민며느리를 삼는 방식도 간혹 사용되었다. 이들은 결혼에서 가정조건을 크게 따지지 않으며 빈부차이 역시 장애로 되지 않는다. 남녀 쌍방의 부모가 자녀들을 위해 배우자를 선택하는 기준은 주로 어렵과 사냥에 능하고 사람됨됨이가 정직하면서도 어진 남자가 우선 선택대상이다. 여자를 선택하는 조건은 인품이 좋고 바느질솜씨가 좋으며 총명하고 현명한 여자를 선호하며 용모는 주요한 조건이 아니다.

채색배와 썰매로 영친을 하는 풍속:

허저족은 영친을 할때 봄과 여름, 가을에는 채색장식을 한 배를 이용하고 겨울에는 썰매를 이용한다. 이때면 배 혹은 썰매에 특별한 장식을 하며 연주를 하고 노래를 부르면서 사람들의 눈길을 끈다. 신부는  오빠가 업어서 배에 오르며 신부를 호송하는 대오가 신랑집에 간다. 신랑집에 이르러 민족특색의 혼례식을 치르며 사람들은 경축연회에서 마음껏 먹고 마신다.

개가풍속:

부지런하고 질박한 허저족인들은 배우자를 고를 때 부지런하고 정직하며 현명하고 능력 있는지의 여부를 기본기준으로 삼으며 부동한 민족끼리도 통혼이 가능하다. 과거에는 부모들이 자녀들의 혼인을 도맡아 결정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민풍이 소박하고 가정교양을 중시했기에 부부가 이혼하는 경우가 적었다. 여자의 본가나 친가 모두 자녀들의 이혼을 가족의 흠집으로 여겼다. 허저족은 과부의 개가에 대해 제한이 없었다. 젊은 과부는 시동생에게 개가를 하며 시부모들과 화목한 관계를 유지하거나 가족 외 남자들에게 개가를 갈수 있었다. 과부들이 개가를 하는 경우에는 남편의 혼백을 위해 상을 치른 후에야 허용되며 재혼인 경우에는 결혼식을 하지 않고 친척, 친우들을 청해 연회를 차리면 혼인이 성립되었다.

장례풍속:

허저족은 대부분 토장을 실행했고 과거에는 그 장례가 비교적 간단했다. 사람이 죽으면 봇나무껍질로 잘 감싸며 나무껍질로 만든 바줄 세개로 시신을 묶은 후 매장하는 방식이었다. 후에는 장방형으로 묘혈을 파고 네면에 나무를 댄후 바닥에는 원목을 깔고 풀과 이불을 깔아 놓은 후 시신을 묘혈에 안치한다. 망자가 생전에 제일 많이 사용하고 좋아했던 물건을 수장품으로 넣으며 이를 원목으로 잘 덮고 그 위에 풀을 깐 후 흙을 덮어 봉분을 만든다. 후에는 만족, 한족의 영향으로 목제관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허저족의 장례의식은 사망자의 사망원인에 따라 다르다. 사냥중에 산에서 숨졌을 경우 봇나무껍질 혹은 나무가지로 시신을 싸서 나무위에 놓았다가 2,3년후 매장한다. 집에서 사망했을 경우 삼일간 시신을 모셨다가 입관한 후 매장한다. 비명에 죽은 사람은 이튿날로 매장한다. 온역이나 괴질로 죽었을 경우에는 그 날로 화장을 한다. 어린이가 죽었을 경우에는 봇나무껍질로 잘 감싼후 나무가지사이에 걸쳐 놓는다. 이는 어린이의 영혼이 작기에 지하에 묻으면 영혼이 빠져 나올수 없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허저족의 장례과정을 살펴보자. 출빈 때는 샤먼을 청해 신에게 제를 지내고 신의 노래를 부른다. 그 내용은 망자가 염라대왕이 있는 저승에서 시달림을 받지 않도록 비는 것이다. “당즈(档子)”라는 의식이 있는데 남자가 사망한 후의 7일, 여자는 9일후 저녁에 망자의 혼이 다시 찾아온다고 여겨 제사상을 차리고 향초를 태운다. 료우당즈(撂档子)라는 제사의식은 망자의 1년제, 2년제, 3년제 때 진행한다. 료우당즈는 엄숙하고 장중한 의식이다. 이때는 샤먼을 청해 삼일간 신령제를 지내며 사흘째 되는 날 망자를 대표하는 인형을 개썰매에 태워 배웅한다. 망자의 영혼을 저승에 바랠 때는 샤먼이 높은 곳이나 높은 대우에 서서 서쪽방향으로 화살 세발을 쏘는데 이는 망자의 영혼을 세번째 화살이 가는 방향으로 인도하는 의미를 가진다.  

개썰매:

겨울이 되면 허저족인들은 개썰매를 몰고 수렵을 하거나 원행을 한다. 이들은 개를 기르거나 길들이기를 즐긴다. 집집마다 적어도 개를 몇마리 정도 기르며 많을 때는 몇십마리에 달한다. 해방 전 삼강지역은 외부와의 연계가 거의 단절되었고 겨울이면 일반차량이 다닐수 없기 때문에 개썰매가 중요한 역할을 발휘했다. 개썰매는 몇 백근에 달하는 물건을 나를수 있고 하루에 100킬로미터 정도까지 달릴 수 있다. 썰매를 끄는 개들은 전문적으로 훈련을 받았으며 그 중에서도 제일 앞에 서는 개의 역할이 상당히 중요하다.

금기사항:

많은 소수민족과 마찬가지로 허저족은 생산활동과 생활풍속중에 여러가지 금기사항들이 있다.

어로금기: 어망으로 많은 물고기를 잡았을 경우 “이번에 왜 이렇게 많은 물고기가 잡혔지?”라고 말해서는 안되고 물고기를 집지 못했을 경우에는 이상한 말이나 욕을 해서는 안된다. 또 과부가 어선에 타는 것도 불길하다고 여긴다.

수렵금기: 사냥군들이 새로운 사냥장소에 도착하면 인솔자가 여러 사람들을 휘솔해 산신제를 지낸다. 이때는 나무에 붉은 천을 걸어 놓고 향을 꽂으며 지면에는 음식을 차린다. 이어 손가락에 술을 묻혀 공중에 튕긴 후 산신령에게 절을 하면서 이번 사냥이 순조롭게 사냥물을 많이 내어달라고 빈다. 사냥꾼이 산에 들어선 후에는 이상한 말이나 거짓말을 해서는 안된다는 금기도 있다. 산림에서 나무그루터기에 앉아서는 안되는데 그 원인은 나무 그루터기가 산신령 할아버지가 앉는 자리이기 때문에 다른 사람이 앉는 것을 엄금한다는 것이다. 겨울에 산에서 사냥을 할 때면 다른 사람의 발자욱을 밟지 말아야 한다. 두 사냥팀이 산에서 만나면 상대방을 본인들의 숙영지에 청해 식사를 대접해야 한다. 또 솥이나 그릇을 두드려 소리를 내서는 안된다. 여자가 총 위에 앉아서는 안되며 총이나 탄알 및 어렵도구를 타고 넘어서는 안된다. 지어는 남자들의 사냥복장을 깔고 앉거나 건너타서는 안된다는 금기도 있다.  물론 지금에 와서 현실생활에 적합하지 않은 전통풍습과 습관들이 많이 변한 실정이다. 

공유하기:
뉴스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