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인:
라후족의 혼인은 혈연관계의 군혼, 혈족 내 대우혼, 수혼제, 일부일처제 등을 모두 경과해왔다. 특히 장기적으로 혈족 내 대우혼을 행해온 관계로 혈연그룹 내 부계와 모계가 혼잡된 대 가정 제도도 장기적으로 병존해왔다. 근대에 와서 라후족은 주로 일부일처제의 부계 가정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오늘의 라후족 청년들의 혼인은 대개 찬혼(丳 婚)과 약혼, 결혼 등 과정으로 나뉜다. 찬혼은 사실상 청년 남녀들이 연애하는 과정이다. 하지만 찬혼은 뚜렷한 계절성을 띄고 있다. 전통적인 관습에 따르면 찬혼은 ‘횃불절’부터 이듬해 봄갈이 농망기 사이에 진행하며 평소에는 청춘남녀가 연애하는 것을 엄금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사람들의 힐난을 받게 되며 심지어 풍속을 문란케 한다고 눈총을 받는다. 약혼은 찬혼 후 청춘 남녀가 연애한 사실을 가족에 알려 양측 부모가 중매인에 부탁 해 구혼하고 구혼에 성공하면 약혼식을 치르는 것을 가리킨다. 약혼식은 보통 남자 집에서 올리지만 여자 집에서 올리는 경우도 있다. 이때면 중매인은 미주와 닭, 고기, 소금, 찻잎 등을 가지고 여자 집에 가 요리를 해 여자 측 부모와 친지들을 대접하며 식사 와중에 혼수와 결혼날짜에 대해 논의한다. 약혼 후 예비신랑과 예비 신부는 반드시 대방의 부모의 집에서 한동안 일해야 한다. 만일 대방의 부모가 이들이 일을 잘 하지 못하거나 품성에 흠집이 있다고 나무라면 혼약을 파기할 수 있다. 결혼식은 보통 음력 섣달부터 춘절기간에 올린다. 라후족은 결혼피로연을 성대히 치르는데 피로연에서 신랑과 신부는 반드시 한 걸상에 앉아야 하며 신랑이 주동적으로 신부에게 요리를 짚어주면 신부도 답례로 요리를 신랑에게 짚어주어 서로 공경하고 사랑함을 나타낸다. 피로연 식사가 끝나면 여자 측 부모가 신혼부부를 끈으로 묶는 의식을 진행한다. 이런 의식이 여자 집과 남자 집에서 각기 진행되어야 비로소 혼례식이 끝났다고 할 수 있다. 라후족은 혼인자유를 숭상하고 이혼을 수치로 여기는 관념이 지배적이다. 이혼을 먼저 제기하는 측이 사람들의 비난을 받는다. 그리고 대방에게 일정한 금액의 위자료를 지불해야 한다. 남자 측이 이혼을 제기할 경우 여자 측이 제기한 경우보다 위자료를 많이 내야 한다. 이혼 후 쌍방은 재혼이 가능하다. 라후족은 수혼제도 행한다. 다시 말해 남편이 사망하면 아내는 시동생한테 재가할 수 있다. 하지만 시형한테 재가해서는 안 된다. 과부는 재가해도 기시를 받지 않는다.
출산:
라후족은 출산을 아주 중히 여긴다. 하지만 남존여비의 관념은 없다. 여성은 임신기간 홀로 외출하거나 힘든 일을 해서는 안되며 가족이 항상 곁을 지켜준다. 산모는 가족의 살뜰한 보살핌을 받으며 해산하면 산모의 밥은 따로 지어 세균 감염을 철저히 차단함으로써 산모와 아기의 건강을 지켜준다. 아기가 태어난 첫 한 달간 친지와 친구들이 쌀이나 닭, 계란을 들고 위문 오며 산파가 손님들에게 아이의 성별을 알려준다. 일부 지방에서는 남자아이가 태어나면 암탉을 잡고 여자아이가 태어나면 울지 않은 수탉을 잡아 제를 지내는 풍습이 있다. 첫 아이가 남자일 경우 암탉을 잡아 제를 지내면 둘째는 여자애를 낳을 수 있다고 여긴다. 뿐만아니라 이런 제를 지내면 아기가 어른으로 성장 한 후 배필을 찾기 쉽다고 여기기도 한다. 신평 라후족은 아기가 태어난 후 외부인의 출입을 엄금하며 만일 성인 남자가 잘못 집안에 들어오면 아기를 양아들 또는 양딸로 삼아야 하는 외 아기에게 선물을 주고 이름도 지어주어야 한다. 난창강과 시멍 등지의 라후족은 아기가 태어나 사흘째 되는 날 조부나 조모, 또는 외조부, 외조모가 아이의 이름을 짓는다. 그리고 여자가 해산한 첫 달에 남편이 옆을 지켜주며 12일 동안 화당의 불이 밤낮으로 피어 오르게 한다.
장례:
라후족의 장례풍속은 자체 세계관의 영향을 받는다. 라후족은 세계는 현세계계와 피안세계로 나뉘고 이 두 세계의 생활환경과 사회환경이 같으며 인류사회는 피안세계에서 대를 이어 발전한다고 여긴다. 때문에 사람들은 재생한다고 여기어 장례를 아주 중시한다. 라후족은 사인에 따라 장례를 정상적인 장례와 비정상적인 장례로 구분하며 또 망자의 연령에 따라 성인장례와 비성인 장례로 나뉜다. 라후족은 집안에 상사가 나면 먼저 집 어구에서 화약총을 쏘아 초상을 알리고 나무 막대기로 초가집에 구멍을 내어 망자의 영혼이 구멍을 통해 나오도록 한다. 또 입관 후 가족은 흰 끈의 한 끝은 2,30근 되는 돼지의 목에 감고 다른 한 끝은 망자의 손바닥에 놓은 뒤 깨끗한 물을 담은 대야에 돼지를 익사시킨다. 익사한 돼지고기는 가족은 먹지 못하며 친지들만이 먹을 수 있다. 망자의 시신을 집안에서 내가기 전에 무당을 불러 밥 한 그릇과 식염 조금을 놓고 촛 불 두 대를 피운 뒤 망자의 혼을 부른다. 이어 여성 두 명이 횃불을 지펴 들고 순장품을 지닌 채 망자를 호송하는 일행을 장터로 인솔해간다. 망자가 성인일 경우 당일이나 그 이튿날 장례를 지내지만 망자가 노인일 경우에는 사흘간 조문식을 가지고 노인에 대한 존중을 표한다. 묘지는 영구가 묘산에 이르면 사위가 밥그릇의 계란을 앞 가슴에서 등 뒤로 뿌려 계란이 떨어지는 곳에 묻으며 묘비를 세우지 않고 돌을 쌓아 무덤을 표식한다. 장례에는 화장과 토장 두 가지가 있다. 대다수 라후족 지역에는 공동묘지와 화장터가 있으며 일부 지방에는 가정 묘지와 화장터도 있다. 난창강 일대의 라후족은 화장 시 일률로 젖은 땔나무를 사용한다. 만일 망자가 남자이면 땔나무는 8층으로 쌓아 올리고 여자일 경우에는 9층으로 쌓아 올린다. 화장 한 이튿날 골회를 관에 넣어 화장터 부근에 묻는다. 그리고 노인이 사망하면 산에 올라가 화장하고 36세 이하의 젊은이가 사망하면 산 밑에서 화장한다. 그 외 마을 밖에서 자살했거나 익사, 또는 사고로 사망할 경우 라후족은 그 자리에서 망자가 생전에 사용했던 이불로 시신을 감아 관재도 없이 묻는다. 또한 대부분 라후족은 명절이면 성묘를 가지 않고 집에서 조상의 제를 지낸다.
예의범절:
라후족 가정에서는 노인이 가장 존경을 받는다. 노인에 대한 존경은 생활의 곳곳에서 엿볼 수 있다. 평소 노인이 방문 오면 젊은이들은 얼른 일어나 노인을 화당 쪽으로 모셔 앉히고 담배와 차를 권한다. 차를 권할 때에는 첫 잔은 자신이 마시고 두번째 잔을 노인에게 권해 노인을 안심시킨다. 그리고 노인에게 담배나 차를 권할 때면 두 손을 머리 위까지 공손히 올려 권하며 받는 사람 또한 두 손으로 받는다. 그 외 젊은이들은 앉아 있는 노인의 앞을 지나지 못하며 뒤를 돌아 지난다. 밥도 노인에게 먼저 떠올리고 노인들의 얘기가 끝나야 대답을 할 수 있다.
까까머리:
라후족은 미혼인 여성을 제외하고 남녀 할것없이 까까머리를 하는 풍속이 있다. 특히 기혼여성은 정수리에 한 올의 머리만 남기고 나머지는 빡빡 미는데 이를 ‘혼모’(魂毛)라고 하며 남녀 구분의 표식으로 삼는다. 심지어 오늘 날에도 편벽한 산간지역의 라후족 여성들은 까까머리 풍속을 보류하고 있다. 그들은 까까머리가 위생적이고 편하다고 여기며 여성의 매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기준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라후족 여성들은 두건으로 머리를 싸매는 풍속도 있다. 그들은 3미터 남짓한 검은색 두건으로 머리를 감싸며 두건에 600개의 은박을 박기도 한다.
금기:
라후족은 어미돼지나 어미 짐승을 살생하지 않는다. 라후족은 생명은 모성에서 오기에 살생하면 벌을 받게 된다고 여긴다. 라후족은 또 소에 의거해 생존한다고 여겨 쇠고기를 먹지 않으며 소가 죽은 후에는 땅에 묻는다. 그리고 닭띠 날에 햅쌀을 맛보는 것을 금하는데 그것은 닭이 소화능력이 왕성해 이날 새 쌀을 먹으면 한 해동안 배를 곯을 수 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라후족은 방안에 놓인 조상제를 지내는 상을 옮기지 않는다. 이 신탁을 옮기면 조상과 여러 신을 침범한 것으로 간주된다. 라후족은 방안의 땔나무도 가로타고 건느지 않으며 땔나무 위에 앉지도 않는다. 그렇지 않을 경우 혈육의 생이별이라는 아픔을 겪게 된다고 여긴다.
라후족은 홀로 장례에 참가하지 않는다. 홀로 장례에 참가하면 참가자의 영혼이 망자의 영혼과 짝을 지어 저승에 남는다고 여겨 반드시 짝을 지어 혼례에 참가한다. 그리고 살인자를 공공묘지에 묻지 않는다. 그렇지 않을 경우 흉안이 계속 발생할 것이라고 여긴다.
난창강 츠주허 일대의 라후족은 붉은 색이 불길하다고 여겨 붉은 색 옷을 입지 않으며 외부인이 붉은 담요나 붉은 수건을 집안에 갖고 들어오는 것도 꺼린다.
라후족은 또 부모의 제사날에 혼례식을 치르지 않는다. 그렇지 않을 경우 한평생 고생한다고 여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