朱正善
2020-06-29 13:48:35 출처:cri
편집:朱正善

머로족의 문화와 예술

图片默认标题_fororder_仫佬族-2

종교 신앙:

역사적으로 머로족 지역에서 민간신앙은 사람들의 생활에서 아주 중요한 지위를 차지했으며 동시에 도교와 불교도 머로족에게 비교적 심원한 영향을 미쳤다. 20세기 20년대 머로족은 규모가 방대한 불교 사찰을 적기 않게 지었다. 라성현 부근에만도 4대 사찰이 있다. 이런 사찰들은 1년내내 향불이 끊이지 않으며 복을 기원하러 오는 사람들이 꼬리에 꼬리를 문다. 또 해마다 정기적으로 한차례 회기(會期)를 가지는데 인근 마을의 모든 사람들이 제사에 참가하러 온다. 머로족 지역에서 어찌 보면 도교가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더 중요한 지위를 차지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병에 걸리거나 재난을 당하면 머로족은 모두 법사를 청해 평안을 보우한다. 머로족의 민간신앙은 뚜렷하지 않아 도교와 불교의 신령을 모실 뿐만 아니라 장가의 갓을 이가가 쓰는 식으로 많은 신령들이 선악을 동시에 구비하고 있다. 일례로 뢰왕은 빗물을 주관하는 신령이어서 지구의 가뭄을 해결해줄 뿐만아니라 인간세상을 홍수에 잠기게 하고 인류를 훼멸시키기도 한다고 여겨 숭배하면서도 몹시 두려워 한다. 머로족 민간신앙 행사는 빈번하고 종류가 많다.  결혼식과 장례식, 명절, 집들이 시 모두 제사를 지내고 평소에도 적지 않은 고사가 이어진다. 과거에는  중대한 명절이 끼이면 온 마을이나 여러 마을이 함께 단체 예배를 갖기도 했다. 매번 제를 지내는 신주는 명절에 따라 다르며 제물은 함께 돈을 내어 마련하고 제사가 끝나면 골고루 나누어 집으로 가져간다. 집에 갖고 간 제물은 조상들에게 제를 지내는데 쓰이고 그 뒤 명절의 음식으로 먹는다.

문학:

머로족의 문화와 예술은 풍부하고 다채롭다. 머로족은 본 민족의 언어는 있으나 문자가 없는 특성상 대대로 전해져 내려온 문학은 신화와 전설, 시가, 이야기, 희곡 등 민간문학이다. 머로족의 신화에는 창세기 신화와 영웅신화가 있다. 창세기 신화는 천지기원을 다룬 신화로 ‘하늘은 어떻게 높아졌나”, 그리고 홍수의 범람과 인류의 재생을 그린 신화 ‘부희( 伏曦) 형제의 전설’, 민족 민속 형성을 보여준 ‘의반절’(依飯節) 등이 있다. 영웅 신화로는 ‘곡식을 심다’, ‘간왕산’(墾王山)등이 있다. 민가도 머로족의 생활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한다. 전에는 거의 집집마다 노래집이 있었으며 마을마다 가수가 있었다. 머로족 연장자들은 젊은이들에게 노래를 가르치는 것을 당연지사로 생각했고 가창 활동은 대부분 ‘주파’(走坡) 때나 경사스러운 명절기간에 진행되었다. ‘주파’는 머로족 미혼남녀들의 사교행사로 연애의 방식이었다. 전통적인 관습에 따라 미혼 남녀가 교외에서 마주쳤을 경우 서로 안면이 있거나 없거나를 막론하고 모두 상대에게 대창을 요청할 수 있다. 상대의 요청을 거부하면 예의가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들은 노래집에 없는 노래를 즉흥적으로 대창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가사들을 본다면 상상력이 풍부하며 사랑가, 노동가, 의식가, 풍속가 등 종류가 있다. 그리고 머로족의‘고조’(古條)는 이야기식 가요로 민간에서 유행하는 이야기와 신화, 전설 등 내용을 담고 있다. ‘난구풍’(爛口風)은 풍자조의 가요로 내용의 구애를 받지 않고 임의로 부르는 경우가 많으며 보통 한어로 부르고 전부 대창의 형식이다. 머로족은 주파시 주로 즉흥적인 노래를 즐겨 부르며 간혹 풍자조의 노래를 부르기도 한다. 그리고 경사스러운 장소에서는 ‘고조’가를 즐겨 부르며 대부분 중년들이 부른다.  20세기 후반에 산 노래에는 일부 새로운 내용이 가미되고 혁명 노래를 부르는 것이 유행을 타기 시작했다. 머로족의 민간 희극에서 가장 유행하는 것은 ‘채색조’이다.  한어로 부르는 채색조는 광서 북부의 계림과 유주(柳州)일대의 지방희극이다. 1880년 경 머로족의 집거지인 라성 등 지의 머로적 방책에는 아마추어 채색조 희극팀이 적지 않았다. 사파향(四把響) 대오(大梧)촌에서는 1940년 경 두 개의 희극팀이 나왔고 과거에 채색 돌로 쌓은 무대가 오늘까지도 남아 내려왔다. 해마다 설 기간은 머로족이 채색조를 부르는 기간이다.

오락:

머로족의 민간 스포츠와 민간 오락에는 선명한 계선이 없이 서로 아우러져 있다. 민간 스포츠에 오락적인 부분이 포함되고 민간 오락에 경기의 요소가 가미되어 있다. 닭싸움, 투계는 머로족이 즐기는 오락으로 대부분 추후와 설 기간에 진행된다. 투계의 관건은 우선 닭이 훌륭해야 한다. 싸움닭을 고르기 위해 머로족은 특히 수탉을 즐겨 기른다. 투계날이 되면 마치 명절인 듯 마을의 남녀노소들이 명절의 복장을 차려 입고 사면팔방으로부터 싸움닭을 몰고 행사장에 온다. 투계 시작 전 우선 네 명의 재판원을 고르고 경기 후 6개 상을 발급하며 투계에서 최고 상을 받으면 온 마을의 영광으로 받들어져 마을 사람들은 징을 울리고 북을 치고 폭죽을 터뜨리며 축제의 한 마당을 펼친다. 

볏짚용춤: (舞草龍)

머로족은 볏짚으로 용을 만들고 채색종이로 장식한 뒤 볏짚용 춤을 즐겨춘다. 설 기간이면 머로족은 집집마다 찾아다니며 볏짚용 춤을 선보여 세배하는 풍속이 있다.

봉황알 보호:

봉황알 보호는 머로족 어린이들의 놀이이다. 땅에 원을 그려 봉황의 둥지를 의미하고 거기에 3~5개의 돌을 놓아 봉황의 알을 뜻한다. 그리고 한 아이가 어미 봉황으로 분장해 원내에서 왼쪽 다리로 땅을 뻗히고 엎드린 자세로 봉황의 알을 보호하는 제스처를 하며 3~5명의 아이들이 병사로 분장해 봉황의 알을 빼앗는다. 승부는 규정된 시간내에 봉황의 알을 성공적으로 탈취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그 중 봉황의 알을 빼앗는 ‘병사’들은 ‘어미 봉황’의 뻗힌 다리를 다치지 못하며 일단 다치게 되면 즉각 도태된다. 이런 놀이는 아이들의 슬기와 용감성을 키울 수 있다고 여겨져 큰 환영을 받는다.

화포 빼앗기 :

화포 빼앗기는 머로족과 장족의 공동한 오락이다. 해마다 음력 6월24일에 진행되는 이 놀이는 흙대포로 화환을 하늘에 쏘아 올린 뒤 경기 하늘에서 떨어지는 화환을 누가 먼저 빼앗나로 경기의 승부를 결정한다. 오락은 총 5발의 화포를 쏘며 매번 화환 하나를 하늘에 쏘아 올린다.

공유하기:
기타 플랫폼
CMG와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