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东光
2021-11-10 17:53:26 출처:cri
편집:金东光

공전절후(空前絶後)

공전절후(空前絶後)_fororder_VCG11449396644

글자풀이: 빌 공(空 kōng), 앞 전(前 qián), 끊을 절(絶 jué), 뒤 후(後 hòu).

뜻풀이: ①워낙 독특하여 비교할 만한 것이 이전에도 없고 이후에도 없다. ②전무후무하다.

출처: 『선화화보•당•오도현 (宣和畵譜•唐•吳道玄)』

유래: 진나라(晉)의 고개지(顧愷之)는 자가 장강(長康)이고 진릉(晉陵) 무석(無錫) 태생이다. 그 재능이 출중하고 박학다식하였으며 그중에서도 회화에 천부적인 재능을 보이면서 세상에 이름을 날렸다.

고개지가 그린 인물들은 그 표정이 핍진하고 생동하였다. 특이한 점은 고개지가 인물을 그릴 때는 종래로 눈을 먼저 그리지 않는 것이었다. 어떤 사람이 그 연유를 물으니 고개지는 인물의 가장 생동한 부분은 바로 눈에 있기 때문에 먼저 그리지 않으며 그림을 다 완성할 때에 가서 눈을 그린다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런 방법에 탄복했으며 당시 사람들은 고개지를 “삼절(三絶)”이라 불렀다. 재능과 그림, 열중함에서 따를 사람이 없다는 뜻이었다.

남북조(南北朝)시기의 양나라(梁) 때에 장승요(張僧繇)라는 유명한 화가가 나타났다. 그는 산수와 인물, 불상을 잘 그려 당시에 명성이 대단했다. 양무제(梁武帝)가 많은 사원과 불탑을 세웠으며 그때마다 장승요에게 그림을 그리게 했다. 어느 한번은 그가 한 사원의 벽에 네마리 용을 그렸으나 눈동자를 그려 넣지 않았다. 어떤 사람이 그에게 왜 눈동자를 그리지 않는가고 물으니 장승요는 “눈동자를 그려넣으면 용이 벽을 깨고 나와 하늘로 날아 갈것이라”고 말했다. 여러 사람이 이를 믿지 않고 한번 그려보라고 간청을 하니 그는 두마리 용의 눈동자를 그려 넣었는데 과연 용이 그림속에서 나와 하늘로 날아 갔다고 한다. 물론 이는 전설이기는 하지만 장승요의 그림수준이 얼마나 높았는지를 보여주는 대목이기도 하다.

당나라(唐) 때에는 더욱 높은 기예를 보여준 화가인 오도자(吳道子)가 있다. 그는 회화와 서예에 모두 능통했다. 그가 그린 산수와 불상은 모두 당시에 크게 이름을 떨쳤고 서예에도 깊은 조예가 있어 “서성(書聖)”으로까지 불리웠다. 전한데 의하면 그가 당태종(唐太宗)을 위해 그린 거폭의 가릉강(嘉陵江) 그림은 몇백리의 산수를 하루내에 다 그려냈다고 한다. 그가 경현사(景玄寺)에 그린 『지옥변상도(地獄變相圖)』는 귀신이 보이지 않지만 음산한 기운을 한껏 풍기여 많은 사람들이 이 그림을 보고서는 개과천선했다는 말이 있다.

후에 어떤 사람이 이 세사람의 화가를 평가하면서 고개지의 그림수준은 전인들을 초월했고(공전) 장승요의 그림수준은 후세 사람들이 따라 잡을수 없을 정도이며(절후) 오도자는 이 두사람의 장점을 다 품었다고 했다.   

 

공유하기:
뉴스 더보기 >
기타 플랫폼
CMG와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