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仙玉
2022-01-17 11:22:24 출처:cri
편집:李仙玉

[고전]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음을 걱정하지 말고 내가 남을 알아주지 못함을 걱정하라

[고전]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음을 걱정하지 말고  내가 남을 알아주지 못함을 걱정하라_fororder_152-不患人之不己知

“불환인지불기지, 환불지인야

不患人之不己知, 患不知人也

 

인용:

“중국과 싱가포르 두 나라 청년들이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음을 걱정하지 않고(不患人之不己知) 내가 남을 알아주지 못함을 걱정하는(患不知人也)’ 정신으로 상대국의 역사와 문화, 서로의 삶에 대한 추구를 더 잘 이해하기를 바랍니다. 또 두 나라 청년들이 서로 배우고 우의를 다지며 중국과 싱가포르 친선의 충실한 계승자와 적극적인 참여자, 열정적인 기여자가 되어 중국과 싱가포르관계 발전의 활력소가 되기를 희망합니다.”

-2015년 11월 7일 시진핑 주석의 싱가포르 국립대학교 연설에서

출처:

공자가 말했다(孔子曰).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음을 걱정하지 말고(不患人之不己知) 내가 남을 알아주지 못함을 걱정하라(患不知人也).”

 -<논어ㆍ학이(論語ㆍ學而)>편

해석:

<학이學而)>는 <논어(論語>의 첫 편으로 1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 공자(孔子, 약 기원전 551년~기원전 479년)는 반문하는 어조로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아도 노여워하지 않으니(人不知而不慍) 이 역시 군자가 아니겠는가 (不亦君子乎)?”라는 자신의 견해를 제시했다. 그리고 제16장에서 “불환인지불기지(不患人之不己知), 환불지인야(患不知人也)”,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음을 걱정하지 말고 내가 남을 알아주지 못함을 걱정하라고 말한다. 이는 또한 한 문장의 서문과 결말이 서로 어울리는 문장 구조를 보여준다.

남이 나를 알아주지 못해도 나는 나이고 나한테 피해가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인불지이불온(人不知而不慍)’, 남아 나를 알아주지 않아도 노여워하지 않는 것은 걱정할 문제가 아니다. 하지만 거꾸로 내가 남을 알지 못하면 현자를 가까이할 수도 없고 소인배를 멀리할 수도 없기 때문에 이것이 걱정해야 할 바라는 것이다. <논어ㆍ헌문(論語ㆍ憲問)>에서 공자는 또한 “불환인지불기지(不患人之不己知), 환기불능야(患其不能也)”, 남이 나를 알아주지 못함을 걱정하지 말고, 자신의 능력 없음을 걱정하라고 말했다.

유가(儒家)는 스스로에게서 잘못을 찾는 ‘반구제기(反求諸己)’를 스스로를 다스리고 수신(修身)의 취지로 삼았다. 공자는 “군자는 자신에게서 잘못을 찾고(君子求諸己) 소인은 남에게서 잘못을 찾는다(小人求諸人)”고 말했고 그런 맥락에서 공자는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음을 걱정하지 않는 “불환이지불기지 (不患人之不己知)”와 하늘을 원망하지 않고 남도 탓하지 않는 “불원천(不怨天), 불우인(不尤人)”를 강조한 것이다. ‘반구제기(反求諸己)’는 바로 자신의 부족 점이나 잘못을 찾아 부족한 부분은 보충하고 잘못은 시정해야 함을 말한다.

사람은 타인의 인정을 받고자 하는 자아수요를 가지기 마련이다. 그럼에도 공자는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음을 걱정하지 말고 자신이 남을 알아주지 못함을 걱정하라고 말한다. 이런 삶의 자세는 소극적인 것이 아니라 적극적인 인생관이자 자신에게서 잘못을 찾고, 자신의 마음으로 타인을 헤아리는 정신의 대표적인 구현이다. 예를 들어 신뢰를 쌓기 위해 쌍방은 모두 상대방이 ‘그 첫 걸음’을 내디디기를 희망하는데 결과 양자 모두가 주저하며 관망하는 난국에 빠지게 된다. 스스로가 먼저 진지함을 보이고 신뢰를 전달해야만 신뢰의 결과에 이를 수 있다.

또 한 가지 예를 들면 문제를 반성할 때 다른 사람에게만 반성을 요구하면 책임 전가의 의문을 받을 수 있으며 스스로를 찾아보고 타인을 배려한다면 오히려 갈등해소와 난제해결에 더 이로울 수 있다. 공자가 ‘군자구제기(君子求諸己)’를 주장한 목적은 바로 스스로의 각성과 노력, 그리고 내재적인 수양으로 외적인 세계의 화합을 이루기 위해서이다.

시진핑 주석은 이 고전을 인용해 잘못은 먼저 스스로에게서 찾고 서로의 삶에 대한 추구와 상대방 나라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며 그로부터 의견상이와 오해를 해소하고 신뢰와 우의를 다지라고 중국과 싱가포르 두 나라 청년들을 격려했다. 오늘날의 사회에서 우려의 분위기에서 벗어나고 삭막한 대인관계의 고리를 끊으며 사회의 도덕적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스스로에게서 먼저 잘못을 찾는 반구제기의 흉금과 자발성이 필요한 것이다.

번역/편집: 이선옥

Korean@cri.com.cn

공유하기:
기타 플랫폼
CMG와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