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수리부는 일전에 2010년까지GDP만원당 용수량을 20% 절감하는 목표를 실현할 것이라고 제기했습니다.
중국 수리부 해당 관원은 현재 중국의 GDP만원당 용수량은 세계평균수준을 훨씬 초과했다고 하면서 그 주요원인은 공업용수의 중복이용과 재생이용수준이 낮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이 관원은 현재 이 수준은 선진국가의 20세기 80년대 초 수준밖에 안되므로 물절약에는 비교적 큰 잠재력이 있다고 했습니다.
앞으로 몇년간 중국은 100개 전국 물절약 사회시범구를 건설해 성공경험을 보급하게 되며 용수총량을 통제하고 기준량 관리를 실시해 국가 수자원권 제도를 초보적으로 수립하게 됩니다.
한편 각 행정지역에서는 물사용 기준량 편제확립를 가속화하고 여러 주요 용수업종의 물사용 기준량을 반포하며 기준량과 총량통제지표에 따라 각 업종과 부문, 회사들의 용수 연차계획을 제정해 행정지역의 연차 용수총량 통제를 실행하게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