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고대에서 술은 신성한 물질로 여겨졌으며 술의 사용은 장엄한 일로서 선조의 제례행사나 귀빈접대 외에 마음대로 술을 쓸 수 없었으며 이는 중국 원고시대 주사(酒事)활동의 습속과 풍격을 점차 형성되게 했다. 술 제조업의 보편적인 흥기와 함께 술은 점차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널리 쓰이게 되었고 주사활동도 따라서 광범위해졌다. 중국의 유구한 역사와 찬란한 문화, 각지에 분포된 여러민족들은 풍부한 민간 술풍속을 엮어왔으며 일부 술풍속은 오늘날까지 전해져 오고 있다.
역사적으로 유가학설을 나라를 잘 다스려 안정시키는 정통관점으로 여겨오듯이 술의 풍속도 마찬가지로 유가 술문화 관점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유가학은 술도덕"酒德"이란 두글자를 특별히 중히 여긴다.
酒德이란 두글자는 일찍 "상서"와 "시경"에서 출현했으며 그 함의인즉 "술 마시는 자는 반드시 덕행에 주의해야 한다."는 뜻이다.
음주는 일종의 食문화로서 일찍 원고시대에 이미 모두가 반드시 지켜야 할 예절이 형성되었다. 때로는 이러한 예절이 번거롭게 여겨질 수도 있었지만 일부 중요한 장소에서 지키지 않으면 반란의 혐의를 받기도 했다. 또한 과량 음주는 자제할 수 없으므로 일을 저지르기 쉽기 때문에 음주예절의 제정은 특히 중요한 것이었다.
중국 고대에서 음주에 관해 다음과 같은 일부 예절이 있었다.
주인과 손님이 함께 술을 마실때 무릎을 꿇고 서로 절을 한 자세로 마셔야 한다. 후배가 선배 앞에서 술을 마실때에는 보통 먼저 큰 절을 올린 후 자리에 앉을 수 있으며 선배가 술을 마시라고 명을 내려야만 후배는 잔을 들 수 있다. 또한 선배의 잔에 술이 아직 남아 있다면 후배도 한꺼번에 술을 다 마실 수 없다.
고대 음주의 예의는 구체적으로 4개 절차를 포함한다. 바로 절, 추도, 맛보기, 마시기 등이다. 그 뜻인즉 먼저 절을 올려 경의를 표시한 다음 술을 땅에 뿌려 자신을 낳아 기른 대지에 감사의 뜻을 표한다. 따라서 술 맛을 천천히 보면서 주인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고 나중에 잔을 올려 마음껏 마신다.
중화민족 대가정의 56개 민족중 이슬람교를 신앙하는 회족인들이 보통 술을 마시지 않는 외 기타 민족은 모두 음주문화를 갖고 있으며 따라서 매개 민족마다 자기만의 독특한 음주풍속을 갖고 있다.
"滿月酒" 혹은 "백일주"는 중화 각 민족의 보편적인 풍속중의 하나로서 아기가 출생되어 만 한달이 되면 연회를 베풀어 가족과 친척들이 함께 술을 마시면서 즐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