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뉴스 라디오 언어 교실 블로그
경제     |    문화/교육    |    관광   |    연예오락    |    올림픽    |    재중코리안
CRI 소개 | 조선어부소개/연락방식 | 주의사항 | 게시판
티베트 민가건축
2007-11-21 17:22:21               
cri

티베트 민가 역사는 매우 유구한데 4000년전의 카로 신석기시대 유적은 이미 풍부한 건축유물을 갖고 있다. 티베트족 민가는 남방 곡지의 돌집, 북방지역의 천막집, 야루쟝포강 유역의 목구조 건축 등 각양각색의 모습을 하고 있다.

티베트족 가장 대표성적인 민가는 돌집이다. 돌집은 대부분 돌과 나무 구조로 되어 있는데 외형이 단정하고 튼튼하며 소탈한감을 준다. 돌집은 보통 두층으로 나뉘는데 밑층은 저장실이나 가축을 기르는데 쓰이고 윗층은 사람의 거주실로 쓰인다. 세층으로 되었을 경우 맨 윗층은 베란다거나 휴식실로 쓰인다.

일반 천막집은 비교적 작고 평면은 정방형 혹은 장방형을 나타내며 나무막대기로 약 2m 높이의 틀을 만든다. 주위는 검은색 야크 담요로 덮여있는데 가운데 약 15cm정도의 틈새를 남겨두어 통풍, 채광에 유리하게 한다. 천막집은 구조가 간단하고 만들기와 분해가 쉬우며 이사에 편리한 등 특징을 갖고 있다.

천막 외 티베트 북방지역에서는 일부 규모가 그리 크지 않은 토목건축을 볼 수 있는데 이런 건축은 최근 정부에서 지방의 교육과 의료조건을 개선하고 또한 정착생활을 제창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자연환경, 기후조건 등 여러 인소로 인해 목축구 건재자원이 부족하고 건축기술이 차하며 교통조건이 악렬한 상황에서 보통 흙벽돌을 건축재료로 하며 석재로 된 건축재료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티베트 전통 건축의 실내구조는 보통 나무기둥으로 전체 건축을 지탱하고 있다. 실내 공간의 높이는 나무기둥의 길이, 너비는 마룻대의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때문에 주택지의 크기를 논할때 티베트인들은 한기둥, 두기둥 등 개념으로 표시하는 습관이 있다. 한기둥이란 사방 벽중에 기둥이 한개만 있는 방을 가리키며 보통 약 15㎡정도이다. 두기둥이란 사방 벽중에 2개의 기둥이 나란히 세워있는 방을 가리킨다. 이와같은 방 면적 계산방식에서 기둥, 마룻대 등의 전통건축구조중에서의 중요한 지위와 역할을 알아볼 수 있다. 때문에 티베트 민간 속담중에서는 방의 기둥을 부친에 비유하는 구절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티베트의 도시와 읍은 대부분 사찰을 에워싸고 형성, 발전된 것이다. 도시와 읍의 건축구조는 사찰을 중심으로 하고 사면팔방으로 뻗어나가 점차 확대되었는데 이런 방식은 라싸를 가장 전형적인 예로 볼 수 있다. 시민들의 주택은 대부분 돌로 쌓은 층집으로 되어 있는데 그 총체적인 외형은 현대 건축에 근사해 강한 입체감을 줄뿐만 아니라 농후한 민족특색을 갖고 있어 화려함과 우아함을 동시에 전해준다.

 
전통문화
v 중국식 사랑의 증표 2007-11-13 17:33:06
v 돈황, 중국 문화의 자랑 2007-11-07 17:55:20
v 후해 사합원, 베이징 문화의 상징 2007-11-01 17:43:16
v 고대 베이징 정원내의 길상물 2007-10-23 16:51:26
v 중국의 술도덕(酒德)과 술예절(酒禮) 2007-10-18 16:20:40
이름: 메일주소:
내용:
  리플보기    뉴스 리플보기
매주방송듣기
   
프로그램 편성표
 
 
 
서비스 홈   
 
 
 
 
  © China Radio International.CRI. All Rights Reserved. 16A Shijingshan Road, Beijing, China. 10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