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뉴스 라디오 언어 교실 블로그
경제     |    문화/교육    |    관광   |    연예오락    |    올림픽    |    재중코리안
CRI 소개 | 조선어부소개/연락방식 | 주의사항 | 게시판
후해 사합원, 베이징 문화의 상징
2007-11-01 17:43:16               
cri

후해의 베이징 문화라면 사합원을 연상하지 않을 수 없다. 사합원은 베이징에서 가장 전통적 의의를 갖고 있는 민가 형식이라 할 수 있는데 일찌기 고대 요나라시기에 초보적 규모가 형성되었고 그 뒤로 금, 원, 명청시기에 이르기까지 점차 완벽화되었으며 최종 베이징성의 특징적인 주거형식으로 정착되었다. 후해의 사합원은 옛 베이징풍을 가장 잘 나타내는 건물이라 할 수 있다. 주지하다싶이 후해는 자금성과 아주 가까이 하고 있는데 자금성 주위의 거소라면 일반적인 세계가 아니듯이 후해 역시 옛 베이징 건물의 가장 정교한 문화를 소유하고 있는 것이다. 자금성을 참관할때 그 구조를 자세히 관찰해 보면 사실 자금성 자체가 대형 사합원임을 알 수 있다.

정규적인 사합원은 보통 서쪽에서 동쪽으로 가면서 한개 골목을 꿰뚫어 위치하는데 북쪽에 자리잡고 남쪽을 향한다. 사합원은 크게 동, 서, 남, 북 4개 방향에 각각 방이 있고 사면은 높은 벽에 에워쌓여 사합(四合)을 이루었으며 대문은 하나로 되어 있는데 정원의 동남쪽에 달려있다. 방 칸수는 보통 북쪽 5칸, 동서 각각 3칸, 남쪽은 대문을 포함하지 않아 4칸으로 되어 있는데 대문, 수화문(垂花門)을 합해서 총 17칸으로 되어 있다. 각 칸을 11~12㎡로 계산한다면 전체 면적은 약 200㎡에 달한다. 사합원의 가운데는 정원인데 어항을 놓아 금붕어를 기르거나 각종 식물을 기를 수 있으며 또한 사람들이 산책하거나 햇볕쪼임, 휴식, 가정일 등을 하는 장소이기도 하다.

황권시대의 베이징성에서 사합원에서 생활할 수 있는 사람은 대부분 황궁 귀족이나 부자였다. 시대의 변화와 함께 베이징 사합원은 점차 줄어들기 시작했고 또한 현대 문화가 전체 베이징성을 커버하면서 수많은 전통건물이 고층빌딩에 의해 대체되었다. 오늘 사합원은 단지 주거형식, 과거의 초라한 단층집일뿐만 아니라 자금성과 마찬가지로 베이징의 또 하나의 명승고적에 해당되며 일종의 문화상징이라고도 할 수 있다.

현재 후해 일대는 베이징 정부의 중점 보호지역으로 되었으며 주위의 사합원도 대중들의 사랑을 받는 대상으로 되었다. 때문에 많은 외국 관광객들이 베이징에 오면 자금성을 참관하는 외 인력거에 앉아 후해주위를 한바퀴 돌거나 사합원에 들어가 오리지널 베이징요리를 맛보는 모습을 적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전통문화
v 고대 베이징 정원내의 길상물 2007-10-23 16:51:26
v 중국의 술도덕(酒德)과 술예절(酒禮) 2007-10-18 16:20:40
v 중국 재담(相聲,Xiang Sheng) 2007-10-12 17:18:29
v 중국의 사자춤(舞獅) 2007-10-09 17:10:10
v 흙인형- 중국 전형 민간예술 2007-09-27 16:34:50
이름: 메일주소:
내용:
  리플보기    뉴스 리플보기
매주방송듣기
   
프로그램 편성표
 
 
 
서비스 홈   
 
 
 
 
  © China Radio International.CRI. All Rights Reserved. 16A Shijingshan Road, Beijing, China. 10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