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뉴스 라디오 언어 교실 블로그
경제     |    문화/교육    |    관광   |    연예오락    |    올림픽    |    재중코리안
CRI 소개 | 조선어부소개/연락방식 | 주의사항 | 게시판
종고지악(鐘鼓之樂)
2007-11-27 19:10:15               
cri

종과 북은 중국에서 일찍 출현했다.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동한시기 불교가 중국 민간에 널리 전해지면서 절에서 많이 쓰이는 종과 북도 중국과 특별한 인연을 맺게 되었다. 몇백년간 옹화궁 부근의 주민들은 매일 익숙한 북소리를 들어왔고 예전의 자금성 부근의 주민들은 자금성내 오문위의 종과 북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고대 타악기로 사용되었다. 종의 사용은 청동기시대에 성행했으며 당시의 음율학, 성학과 청동제조기술의 발전과 갈라놓을 수 없다. 청동종은 소재가 견고하고 쉽게 부식되지 않기 때문에 오늘날까지 이미 2000~3000년을 거쳐왔지만 여전히 우리에게 고대의 진실한 음향을 들려주고 있다.

종은 고대에서 악기로만 쓰였을뿐만 아니라 지위와 권력 상징의 예기(禮器)이기도 했다. 때문에 왕공귀족은 제례 등 각종 의식에서 종악을 광범위하게 사용했다.

북은 중국 전통적인 타악기이다. 북은 양호한 공명작용이 있기때문에 소리가 크고 멀리 퍼지는 등 기능으로 일찍 화하족 선조들에게 군사적으로 기를 북돋아주는 역할을 했다.

원고시기 북은 하늘과 통하는 신기(神器)로 여겨져 주로 제례에 많이 사용되었다. 수렵출정활동중에서 북은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악기로서는 주조때 시작되었는데 북은 당시 음중의 수령으로 여겨졌다. 북은 문화적 내함이 깊고 또한 웅위로운 북소리는 인류사회의 발전과 함께 조금씩 문명에로 나아갔다. 원시사회의 도자기북, 흙북, 가죽북, 동북으로부터 오늘날의 각종 현대북에 이르기까지 북은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고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악기중의 하나로 인정되어 왔다. 최초의 북은 원고시기 사람들이 사용하는 도자기그릇 등 생활용품에서 진화되어 온 것으로 추측되고 있는데 출토된 도자기북은 일찍 6000~7000년전의 신석기시대에 이미 제조와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고대에서 북은 악기로나 제례에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적을 무찌르고 짐승을 쫓는데도 사용되었는가 하면 시간알림, 경보 등 도구로도 사용되었다.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북의 운용범위는 더욱 광범위해져 민족악단, 각종 희극, 곡예, 가무, 보트 경주, 사자춤, 집회 등은 모두 북소리를 떠날 수 없게 되었다.

 
전통문화
v 티베트 민가건축 2007-11-21 17:22:21
v 중국식 사랑의 증표 2007-11-13 17:33:06
v 돈황, 중국 문화의 자랑 2007-11-07 17:55:20
v 후해 사합원, 베이징 문화의 상징 2007-11-01 17:43:16
v 고대 베이징 정원내의 길상물 2007-10-23 16:51:26
이름: 메일주소:
내용:
  리플보기    뉴스 리플보기
매주방송듣기
   
프로그램 편성표
 
 
 
서비스 홈   
 
 
 
 
  © China Radio International.CRI. All Rights Reserved. 16A Shijingshan Road, Beijing, China. 10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