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인사는 사람들이 낡은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아 아름다운 기원을 상호 표달하는 일종 방식이다. 중국에서 설인사 풍속은 이미 오래전부터 형성, 발전되었다.
"연(年)"은 원래 야수를 뜻한다
전설에 의하면 옛날 한 야수가 있었는데 머리에는 뿔이 달려있고 딱 벌린 큰 아가리를 갖고 있었는데 사람들은 이를 "연(年)"이라 불렀다. 해마다 그믐날 밤이 되면 "연"은 수림속에서 뛰쳐나와 사람을 해치곤 했다고 한다. 사람들은 하는수 없이 육류 등 음식을 문밖에 장만해놓고 대문을 잠근후 집안에서 이튿날 아침까지 숨어 있었다. "연"은 문밖의 음식들을 배불리 먹고 멀리 사라지면 그제야 사람들은 문을 열고 밖에 나와 서로 축복해주며 경사를 즐길 수 있었다. 이로서 설인사(拜年)의 풍속은 널리 유전되기 시작한 것이다.
설인사는 5가지로 나뉜다
집 어른에 대한 세배: 설인사는 보통 집에서부터 시작된다. 새해 초하루가 되면 자녀들은 일찍 일어나 어른들에게 세배를 드리고, 어른들은 세배를 받은후 미리 준비해둔 "세배돈"을 나누어 준다.
친척들에 하는 설인사: 정월 초하루 혹은 초이틀이면 선물을 갖고 처갓집에 인사를 다녀간다. 집에 들어서면 먼저 불상, 조상사진 혹은 위패에 3배(무릎꿇고 세번 머리를 땅에 대여 절을 한다)를 한 후 어른들께 차례로 세배를 한다.
예의적인 방문: 회사 동료 혹은 친구에게 설인사를 다녀갔을때에는 먼저 실내의 불상에 3배를 한 후 주인이 동년배일 경우 가벼운 인사를 하고, 주인이 연상이면 주동적으로 세배를 한다. 이러한 상황은 짧은 시간내에 서로간의 축복을 주고받은후 다음날 방문을 약속하고 금방 작별인사를 드리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감사의 뜻을 표하는 방문: 지난 한해 신세를 지거나 은혜를 베푼 사람이 있다면 새해 설인사를 빌어 감사의 뜻을 표한다.
이웃 방문: 평소 가깝게 지낸 사이가 아니더라도 설 기간이면 이웃사이에 서로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부자 되세요" 등 인사의 말을 나눈다.
설인사의 시간을 잘 장악해야 한다
설인사는 적합한 시간을 선택해야 한다. 아침시간이나 너무 일찍 설인사를 다녀가면 주인이 당황해 할 수 있는 한편, 편한 저녁시간을 선택해 몇시간씩 머물러 있으면 주인의 휴식에 폐를 끼칠 수 있다. 때문에 적합한 시간대를 선택해 방문시간은 약 40분간으로 취하는 것이 가장 좋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