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극을 즐겨보는 사람들은 중국 각종 연극은 모두 손짓의 언어를 떠날 수 없음을 잘 알고 있다. "손은 인류의 제2 얼굴이다." 연극무대에서의 이 명언은 손의 중요한 역할을 충분히 설명해주고 있다.
손짓언어는 연극배우가 연기할 때 각종 줄거리의 수요에 따라 손가락, 손바닥, 팔 등으로 하는 동작을 가리킨다. 희곡중에는 생(生), 단(旦), 정(淨), 말(末), 추(芻) 등 주요 배역이 있다. 매 배역의 손짓은 모두 일정한 규칙과 함의가 있는데 예를 들면 정(淨) 배역은 다섯손가락을 모두 벌리고 쫙 펴는데 이는 웅위함, 용맹함을 표시하며, 소생(生) 배역은 다섯손가락을 붙이고 편 다음 엄지를 약간 굽히는데 이는 듬직함을 표시하고, 노생(生) 배역은 중지와 식지를 약간 펴고 기타 세 손가락은 모두 굽히는데 이는 노화와 둔함을 표시한다. 또한 단(旦) 배역은 중지를 굽혀 엄지와 거의 닿게 하고 식지를 곧게 펴며 무명지와 소지는 약간 굽히는데 모양이 "난초"와 같다고 해서 "난화지(蘭花指)"라고도 하며 이는 부드러움과 자중을 표시한다. 그 외 손떨림 동작도 각종 함의를 내포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밖으로 손을 떠는 동작은 혐오, 거절의 뜻을 표시하고 안으로 손을 떠는 동작은 당황함과 놀라움을 표시한다. 상하좌우로 손을 흔드는 동작은 참을 수 없는 즐거움의 기분을 표시한다.
물론 손짓언어는 단지 이것뿐이 아니다. 극중 인물은 연기과정중 상이한 손짓언어로 각종 복잡한 내심세계와 감정을 표달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체적인 줄거리속에서 영활하게 운용하는 손짓은 일종의 예술화된 육체언어라 할 수 있다.
손짓과 같은 이러한 "언어"는 모종의 감정을 표달할때 빠른 구두표현도 이를 따를 수 없다. 예를 들면 무대위에 문이 없을 경우 배우는 가상으로 문을 열고 닫는 동작을 할 수 있다. 가상의 수법은 연극예술가들에게 연기의 자유를 부여했으며 연기생활의 영역을 대폭 개척했다고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