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25일 오전 습근평 총서기가 형주(荆州) 부두에서 장강을 굽어보고 있는 모습이다.
호북(湖北) 무한(武漢) 한강만(漢江灣)은 과거 비누, 페인트 등을 대량생산하던 공업기지였다. 무려 300개가 넘는 기업의 공장들로 즐비했던 이곳, 그러나 지금은 뿌연 연기를 내뿜던 굴뚝 대신 10여키로미터에 달하는 녹색삼림으로 메워졌다. 이 획기적인 변화는2016년 1월 5일 시진핑 총서기가 중경(重慶) 장강경제벨트발전좌담회에서 '장강생태환경을 강력 복원하고 대보호를 틀어쥐며 대개발을 막아야 한다'는 중대한 결정 2년만의 변화이다.
장강유역은 중국 전국 국토 20% 면적을 차지하며 전국 경제 기여도가 40%에 달하는 그야말로 중국 경제의 중심이다. 그러나 중국의 '젖줄'과도 같았던 장강은 급속한 경제발전 속에서 쏟아내는 오염물질로 인해 몸살을 앓기 시작했다. 장강유역을 따라 약 40만개의 대형 석유화학공업기업들이 분포돼있었고 매년 300억톤의 공업용 오염물질들을 장강에 배출되었다. 이는 황하 1년의 물량에 해당되는 수치이다.
이에 장강유역의 복원사업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또한 장강유역이 크게 주목받는 이유는 바로 그 경제효익에 있다. 장강경제벨트 계획은 길이 1,800㎞에 달하는 장강유역을 경제적으로 통합하고자 하는 광역경제 발전 구상으로 여기에는 상해시, 강소성, 절강성, 안휘성, 강서성, 호북성, 호남성, 중경시, 사천성, 운남성, 귀주성 총 11개의 성시를 포괄되는데 11개의 직할시와 성의 교통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물류 운송을 효율화하거나 산업을 재배치한다는 방침이다. 그밖에도 인구밀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서부지역과 연안을 연결하게 되면 바로 습근평 총서기의 인민을 중심으로 발전시키는 비전과도 맞아떨어진다.
이는 새시대 중국의 소강사회 전면건설과 현대화 실현에 맞물린 정책이며 경제성장에서 양이 아닌 질을 추구하는데서 중국경제가 고품질의 성장을 이어갈 수 있는 필연적 요구이기도 하다. 중국 경제의 향후 여러가지 비전 중에서 생태환경보호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세계적인 시각에서 볼 때에도 공업화, 도시화 발전의 초기에는 환경오염의 문제를 피해갈 수 없지만 지금 중국은 이미 발전중기에 접어든 만큼 환경보호를 중점과제로 두는 중국의 정확한 노선을 엿볼 수 있다.
습근평 총서기가 장강연안의 생태환경과 발전건설상황 고찰에 나섰다
드론으로 촬영한 장강연안의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