朱正善
2018-11-01 11:08:54 출처:cri
편집:朱正善

묘족의 문화와 예술

图片默认标题_fororder_苗族-5

*문학

묘족의 문학은 민간 문학과 관변측 문학 두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민간 문학이란 민간에서 구두로 전해져 내려온 문학을 말하고 관변측 문학이란 문자로 기록 또는 창작되고 전파된 문학을 가리킨다. 그 중 주로 시가의 형식으로 표현되는 민간문학은 한 민족의 가장 중요한 문학형식으로서 강한 원시적 생명력을 자랑한다. 묘족의 민간 문학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은 고가(古歌)이다. 고가는 묘족의 집거지에서 가장 많이 전해져 내려온 창세기 주제의 시형화된 신화로서 ‘고가’ 또는 ‘고가고사’(古歌古辭)로도 불린다. 묘족의 고가에는 삼라만상이 포괄되어 있는바 우주의 탄생에서 인류와 물종의 기원, 천지개벽의 역사, 묘족의 대이주, 묘족의 고대 사회제도와 일상생산생활 등 내용을 모두 다루고 있어 묘족 고대 신화의 집대성이라고 할 수 있다. 묘족의 고가고사신화는 보통 제사나 관혼상제, 친우회, 명절 등 장소에서 부르며 중노년, 또는 무당, 가수가 부르는 경우가 많다. 묘족의 고가고사 신화는 민족의 심령적 기억이며 묘족 고대사회의 백과전서와 ‘경전’으로서 사학과 민족학, 철학, 인류학 등 분야에서 큰 가치가 있다. 이런 고가고사는 오늘까지도 묘족의 민간에 전해져내려오고 있지만 현대문화와 시장경제의 충격으로 지금은 실전의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대강(臺江)을 일례로 들자면 전 현의 13만 묘족인 중 고가를 완정하게 부를 수 있는 사람이 몇몇 안되며 완정하지 못한 고가를 부를 줄 아는 사람마저도 200여명에 불과하다. 고가에 대한 보호가 의사일정에 오른 실정이다.

묘족의 관변측 문학은 묘족의 민간문학 만큼 성과가 찬란하지 못하다. 묘족의 관변측 문학의 최초의 대표인물은 초나라의 굴원이라는 설도 있지만 이런 설법에 대해 많은 논쟁이 존재하기도 한다. 묘족의 관변측 문학의 대표주자로는 당대의 저명한 작가 심종문(沈從文)을 꼽을 수 있다. 심종문 외에도 많은 묘족 작가들이 두각을 나타내기는 했지만 심종문의 영향력을 따를만한 묘족 작가는 아직 없다고 볼 수 있다.

*무용

묘족의 무용으로는 갈대생황춤,걸상춤, 동고(銅鼓)춤을 꼽을 수 있는데 그 중 갈대생황춤이 가장 널리 보급되고 있다. 갈대생황춤은  정월 보름, 3월3일, 중양절 등 명절과 풍작의 날, 혼례식날에 추며 무용동작은 하반신의 변화를 강조한다. 민간의 군중성 갈대생황춤은 보통 2명에서 5명의 남자가 갈대생황을 불면서 리드하고 기타 사람들은 그 주위를 원을 긋고 함께 춤을 추는 형식으로 진행돼 분위기가 열렬하고 장면이 가관이다. 경쟁성을 띤 갈대생황춤은 보통 명절이나 집회에서 춤기교가 높은2명에서 4명의 남녀가 표현하며 고난이도 동작을 선보여 인기를 모은다.

* 음악

묘족의 음악은 성악과 기악 두가지로 분류된다. 묘족의 성악은 악기의 반주 없이 부르는 경우가 많다. 묘족의 민가는 그 내용이 풍부한바 사랑노래인 유방가(游方歌), 술노래, 노동노래, 어린이 노래,수수께끼 노래 등으로 나뉘며 그 곡조가 각이하다. 그 중 비가(飛歌)는 귀주성 동남부의 일종의 특별한 민가 가창형식이다. 비가는 보통 산위에서 목청껏 부르는데 곡조가 우렁차고 호매로운 것이 특징적이며 독창 또는 대창, 합창의 형식으로 사랑이나 시세정치를 노래한다. 또한 각종 민가형식을 보면 전통적인 가사가 있는가 하면 즉흥적으로 지어낸 가사도 있다. 그리고 반가(盤歌)는 묘족 청춘남녀의 사랑노래인데 대창의 방식으로 부른다. 그 중 소통(昭通)일대의 묘족의 ‘반가’가 아주 재미나다. 총각이 처녀에게 반하면 총각은 자신과 나이 비슷한 총각 둘을 데리고 처녀집에 찾아가 그 집 어른들에게 구혼의사를 밝힌다. 처녀의 부모는 청혼을 받아들일 의사가 있으면 반가를 부르는 것을 허락한다. 반가 가회는 보통 처녀측 노인이 배치하며 남녀 쌍방의 대창에 참석한 대반들은 참모역할을 할 뿐만아니라 그 기회에 자신의 짝도 찾는다. 반가는 보통 남자가 먼저 부르며 쌍방이 서로 대창을 하면서 자신의 재능을 과시한다. 만일 남자측이 지면 여자측은 물벼락을 퍼부어 남성을 쫓아보낸다. 물벼락 퍼붓기는 묘족마을에서 악의가 아닌 선의적인 세례행위이다.만일 서로 노래가 잘 오고 가면 약혼에 까지 이를 수 있습니다.그리고 묘족의 악기로는 갈대생황,새납,퉁소피리, 호금, 월금 등이 있다.

* 자수

자수는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묘족의 수공예술이다. 자수는 묘족 복장의 주요한 장식 수단일 뿐만아니라 묘족 여성 문화의 대표주자이기도 하다. 묘족의 복장은 평상복과 명절복으로 나뉜다. 묘족은 평소에는 일반복 차림이지만 명절이나 시집갈 때면 성장을 차려입는다. 묘족의 자수는 그 소재가 아주 풍부하지만 보통 용이나, 새, 물고기, 동고, 화훼, 나비 등을 수놓으며 일부는 묘족의 역사적 화폭을 수놓기도 한다. 아름다운 묘족의 자수는 12가지 기법으로 화려한 무늬를 낸다.묘족의 자수는 종류가 아주 많은 바 색채로 구분하면 단일색 자수와 채색자수로 나뉜다.묘족의 자수는 색채의 운용과 도안의 매치를 통해 시각상의 멀티공간 효과를 내는 것이 특색이다. 또 묘족의 자수는 도안과 문양마다에 전설이나 일화가 반영되어 민족문화의 내함과 민족정감이 다분해 민족의 역사와 생활을 보여주기도 한다.

*날염

날염 역시 세세대대로 이어져 내려온 묘족의 전통공예로 널리 알려져 있다.  묘족의 풍습에 따르면 여성이라면 누구라할 것 없이 날염기예를 전승 받아야 할 의무가 있으며 어머니는 딸에게 날염제작을 가르칠 의무가 있다. 때문에 묘족의 여성들은 소시적부터 이 기예를 익힌다. 묘족의 날염은 생산자가 자체 생활수요로부터 출발해 창조한 예술품이라고 할 수 있다. 묘족이 날염예술은 오늘날 묘족 지역에서 날염예술을 주도로 하는 복장과 혼인명절 풍속, 장례풍속 등 독특한 세시풍속 문화를 형성했다.

* 은 장신구 제작 공예

묘족의 은 장신구는 아주 유명한데 가정 작업장에서 남자가 수공으로 제작한다. 묘족의 은세공 기술자들은 여성의 자수나 날염 등 문양에서 창작영감을 얻으며 본 민족의 전통적인 풍속과 미적 정취에 따라 정교하고 특색 있는 은 장신구를 제작한다.         

* 의학:

묘족이 거주하는 산간지역에는 약물자원 종류가 많고 산량이 풍부하며 품질이 좋기로 유명하다. 흔히 볼 수 있는 약재 종류는 1500종에 달하며 자주 사용하는 약재는 200종에 달한다. 최근 년간 중국은 묘족 집거지역에 많은 약재 재배 생산기지를 세워 천마(天馬), 복령(茯嶺), 두중(杜仲) 등 자주 쓰이는 약재의 인공 재배에 진력하고 있다.  

공유하기:
뉴스 더보기 >
기타 플랫폼
CMG와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