朱正善
2021-01-27 16:04:01 출처:cri
편집:朱正善

푸미족의 문화

푸미족의 문화_fororder_VCG111160427018

문학:

푸미족은 풍부한 상상이 넘치는 아름다운 민간문학 작품을 많이 창작했다. 그 중에는 오래된 신화전설이 비교적 많다. 대표적인 작품들로는 ‘홍수조천’(洪水朝天), ‘천지개벽’, ‘고라니 잡기 이야기’, ‘가다미’(戛達米) 등이 있다. 이런 작품들은 천지개벽과 인류의 기원, 민족의 이주와 관련된 신화전설이다. 그 외 ‘주인을 구한 개’, ‘수렵의 유래’ 등은 푸미족의 중요한 세시풍속의 기원을 담은 작품들이다.

푸미족의 민간 시가도 소재가 광범하고 곡조가 다양하며 생활의 정취가 다분해 시와 노래의 완벽한 조화를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시가에는 세시풍속가, 산가, 슬픈 연가, 환락가 등이 있다. 세시풍속가에는 사가(史歌), 혼례가, 장례가, 제사가 등이 있는데 보통 특정된 환경에서 부르고 특정된 형식과 내용이 있으며 푸미족 음악의 전통을 보류하고 있다. 그 중  사가는 대부분 노인들이 독창으로 부르고 곡조가 서술적이다. 산가는 들판에서 방목하거나 노동할 때, 길을 갈 때, 그 때 그 때 상황에 맞게 서정적으로 부르는 노래이며 독창 또는 남녀 대창의 방식으로 부른다. 가사는 즉흥적으로 창작하는 경우가 많고 사랑이나 자연경치, 노동 생산 등을 내용으로 한다. 푸미족의 민가를 보면 사랑노래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사랑 노래 중에서도 슬픈 연가가 많은 편인데 보통 독창의 형식으로 출가한 여인의 적막함과 연인간의 생사이별 등을 노래에 담으며 가사와 곡이 감정과 잘 매칭되고 고조 부분에서는 절절한 호소로 듣는 이의 감성을 자극한다. 환락가는 즐거운 심정을 보여주는 짧은 노래로 주로 고향의 경치와 아름다운 삶에 대한 동경을 담고 있다.

무용:

푸미족의 무용은 종류가 많고 내용도 풍부하다. 오락적이고 사교적인 무용이 있는가 하면 모방 위주의 무용, 예의 무용도 있고 영웅과 자연, 조상, 신령 숭배에서 비롯된 제사무용과 장례무용도 있다. 푸미족의 무용은 손에 손잡고 원을 지어 추는 것이 특징이다. 그 중 경작과 수렵, 방직 등 생산노동 정경을 담은 무용이 다수인데 조롱박 생황, 피리의 반주에 맞추어 춘다. 춤의 스텝은 힘있고 명쾌하다. 부뚜막 타기(跳鍋庄)는 푸미족의 전통적인 무용으로 보통 저녁 무렵 마당이나 제방 근처에서 춘다. 춤을 출 때에는 항상 가운데 불을 지피는데  그 불 무더미의  모양새가 집안의 부뚜막과 비슷하다 하여 부뚜막 타기라는 이름이 지어졌다. 그 외  집단무용도 있는데 남녀노소가 한데 모여 전혀 지칠 줄 모르는 듯 저녁내내 춘다. 또 푸미족의 종교 무용은 원시종교무용으로 신령에 대한 숭배를 표하고 귀신을 몰아내기 위해 춘다. 종교 무용은 특정 종교 행사 때만 출 수 있고 무용자체에 대한 전문성 요구가 높아 훈련을 거친 무당만이 출수 있다. 푸미족의 종교무용은 전부 남자들이 추며 법기나, 칼, 방울 등을 소품으로 한다. 동작이 힘있고 패기 있어 남성미가 철철 넘치는 이런 남성 무용은 푸미족의 강인하고 용감한 기질을 다분히 보여준다.

푸미족의 무용은 음악과 불가분의 연계가 있다. 시와 가사, 무용이 항상 동반돼 푸미족의 시가는 거의 다 노래로 불리우고 민가 또한 그냥 부르는 것이 아니라 항상 춤을 동반한다.

악기: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푸미족의 악기는 피리이다. 피리연주는 독주와 무용반주로 나뉜다. 푸미족은 무용이 시작될 때면 언제나 피리 연주로 선 코를 뗀다. 피리 연주자가 앞에서 피리를 불면서 춤을 추면 나머지 사람들도 그 피리소리에 맞춰 춤을 춘다. 푸미족의 악기에는 조롱박 생황과 수르나이, 사현금, 동꽹과리 등이 있고 타악기로는 북과 징이 있다. 북은 큰 북과 작은 북이 있는데 큰 북은 두 사람이 들고 한 사람이 두드린다. 북과 징은 라마가 경을 읽을 때 늘 사용하는 악기이기도 하다.  푸미족은 또 ‘사현’금을 애용한다. 논두렁이나 목조가옥, 그 어디서나 유유하고 순박한 ‘사현’금의 곡조를 들을 수 있다.  

전설에 의하면 아주 오랜 옛날, 아브(阿布)라는 청년이 아나이(阿乃)라는 아릿다운 처녀를 사랑했는데 처녀의 사랑을 얻지 못하자 속상한 김에 나무를 베어다 한 끝을 사람 머리 모양으로 깎은 뒤 양가죽으로 그 ‘얼굴’을 가리고 다른 한 끝은 사람의 모양으로 깎아 네 갈래의 삼실로 이어 ‘사현’악기를 만들었다고 한다. 아브는 온 종일 우울하게 사현금을 탔고 그 아름다운 음악소리가 푸미족마을의 상공에 메아리쳐 아나이의 마음을 움직였고 마침내 아브의 사랑을 받아들였다고 한다. 이때부터 ‘사현금’은 푸미족 사람들 속에서 길상과 행복을 상징하는 악기로 자리매김했다. ‘사현’금은 여러가지 곡조를 연주할 수 있어 푸미족은 귀향, 가족과의 상봉, 친구와의 만남 등 여러 경우에 모두 사현금을 타면서 아름다운 생활을 노래하고 고향에 대한 사랑, 처녀에 대한 사모의 정을 표달한다.

천문 역법:

푸미족은 풍부한 천문지식을 갖고 있으며 자신만의 독특한 역법이 있다. 원고시대 푸미족 선민은 이미 땅, 하늘, 달, 별의 운행 법칙을 장악해 황도,적도 부근의 행성인 28수를 ‘좌표’로 삼고 28수와 달이 만나는 때를 기준으로 날자를 기록했다. 그리고 해마다 음력 12월 초면 푸미족 노인들은 매일 저녁마다 별자리의 운행상황을 살펴보고 신년을 결정했다고 한다. 푸미족은 음력 섣달 초엿새와 초이레, 초여드레가 가장 길한 날이라고 여겨 이 때를 새해로 정했다. 지금도 대부분 푸미족은 이 날을 성대히 경축한다. 하지만 역사적 원인으로 이 날을 쇠지 않는 지역도 있다.

공예품:

칠기는 푸미족의 전통적인 공예품으로 인근에 유명하다. 그 주요 제품에는 칠기 공기와 술 주전자, 술잔, 칠함 등이 있다. 모두 검은색 바탕에 홍백 도안이 그려져 있고 작고 정교하며 매끄럽고 앙징맞다.

푸미족의 대나무 편직물도 역사가 유구하다. 명나라와 청나라 때 저서에 “푸미인들이 대나무로 광주리를 엮어 생계를 유지했다”는 기록이 있다.푸미인들은 대나무로 광주리,대자리,비모자 등 일상용품들을 잘 엮는다.     

공유하기:
뉴스 더보기 >
기타 플랫폼
CMG와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