权香花
2021-07-12 16:52:36 출처:cri
편집:权香花

홍콩 언론자유는 "교관"과 "위선자" 필요없어

 

홍콩특별행정구 정부가 "언론자유를 탄압"하고 있다고 했다. 이른바 성명은 거슬리는 단어 표현을 골라 사용했고 일부 서방나라들 이에 서명했다. 이는 미국이 일부 서방나라들을 불러 모아 "언론자유"를 빌미로 홍콩사무에 간섭하려는 또 다른 정치적 쇼에 불과하다. 

서방의 일부 소수나라들은 공동서명의 방식으로 입을 모으고 중국에 압력을 가하고 있지만 그들은 근본적으로 국제사회를 대표할수 없다. 21개에 불과한 숫자, 이는 미디어자유연합 성원의 절반도 못미치는 숫자이다. 유엔 성원국 수와 더욱 비교가 될수 없는 숫자이다. 그들은 무슨 자격으로 "미디어자유"를 외치고 있단 말인가? 무슨 자격으로 "교관"의 모습으로 중국에 대해 왈가왈부하는 것인가?

서방 일부 국가들의 정치적 조롱은 국제사회를 기만할수 없다.

첫째, "빈과일보"의 문제는 미디어자유와 아무런 관계가 없을뿐 홍콩국가안보법에 저촉한 것이다. 

둘째, "빈과일보"의 정간은 회사 이사회가 자체로 내린 결정이지 "강박적인 페쇄"설이 존재하지 않는다.

미디어자유문제에서 서방의 일부 국가들은 종종 언행불일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일찍 80여년전 영국의 유명 국제관계 학자 에드워드 카는 "미국은 착한 외투로 이기적인 국가이익을 덮어 감추는 예술대가"라고 지적한 적이 있다. 오늘날 미국이 일부 서방나라들을 불러 모아 미디어 자유정치화를 외치는 행위로 이 관점을 재차 입증하고 있다. 

홍콩에서 미디어자유는 기본법과 홍콩국가보안법, "홍콩인권법안조례" 및 기타 법률의 충분한 보호를 받고 있다. 특히 홍콩국가보안법이 실시된지 1년이래 홍콩시민의 인권과 자유가 보다 양호한 보호를 받았다. 홍콩특별행정구 정부 미디어처의 정보에 의하면 현재 홍콩 본지역과 해외 및 온라인상 등록된 미디어는 각기 93, 69, 39개이다. 이는 지난해보다 늘어난 수치이다. 

홍콩의 대국은 이미 결정되었으니 함부로 부리는 "교관"도 필요없고 이목을 현혹하는 "위선자"도 필요없다. 서방 일부 소수나라들이 자신의 미디어자유 보호에 보다 많은 정력을 돌리기 바란다. 

 

공유하기:
뉴스 더보기 >
기타 플랫폼
CMG와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