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8-27 17:46:32 출처:CRI
편집:权香花

[청취자의 벗] 2022년 8월 25일 방송듣기

 “듣고 싶은 이야기, 하고 싶은 이야기”

<청취자의 벗> 시간입니다.

안녕하십니까.

<청취자의 벗>과 함께하는 아나운서 임봉해(MC)입니다.

*************************************************

이번 주 목요일인 8월 24일은 중국과 한국이 수교한 30주년이 되는 날입니다.

중국과 한국은 산과 물이 잇닿은 인방입니다. 일찍 몇 천 년 전부터 두 나라는 서로 우호 왕래를 했습니다. 세상에 유명한 ‘실크로드’는 고대 중국과 서역 각국 사이를 이은 교통로인데, 동쪽으로 반도와 열도에 잇닿고 있습니다. ‘실크로드’는 무역, 경제뿐만 아니라 정치, 문화의 교류를 망라합니다.

원나라 때 중국과 한국 문화교류의 중심에는 고려인의 사찰이 있었으니, 이 사찰인즉 대도(大都) 즉 오늘의 북경 산중에 있었습니다.

북경의 산중에 있은 고려인의 사찰

실제로 제비가 아니라 독수리가 물고 온 박씨의 이야기이렷다. 사찰은 영취산(靈鷲山)에 홀연히 기대어 섰는데, 진짜 독수리가 날아와서 골짜기에 떨어뜨린 박씨를 방불케 한다. 영취선사(靈鷲禪寺)라는 신명의 이름은 이렇게 되어 영물의 독수리와 한데 이어진다.

영취선사는 명나라 때 지은 사찰의 이름이다. 정작 사찰이 북경 서쪽의 방산현(房山縣)의 산중에 맨 처음 나타난 것은 당나라 때이다. 그 후에도 이 산에는 여러 사찰이 세워졌으며 많은 승려가 들어와서 수행을 하고 깨달음을 얻었다. 요나라 때 영취선사에 선원을 세웠고 이 선원에 ‘거란대장경’을 안치, 독송대회를 열기도 했단다.

영취선사는 전통적인 풍수학에 따라 세워졌다. 이곳은 주변이 산에 둘려 사상(四象)의 좌청룡, 우백호, 후현무, 전주작이 분명한 명당이다.

“원래 고적산(古跡山)이라고 불렀는데요. 산에 고적이 아주 많다는 의미라고 합니다.”

현지에 전하는 지명 이야기이다. 지난 세기 50년대까지 산에는 방울탑(鈴鐺塔), 사리탑 등 보탑만 해도 30여기나 있었다고 하니 말 그른데 없나 본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고적산은 곡물을 쌓아두었다는 의미의 곡적산(谷積山)으로 둔갑했다. 정말로 곡물을 골짜기에 적치하고 수비군이 산기슭에 주둔했다면서 부근의 마을 이름도 북차영(北車營)이라고 불렸다. 어찌했든 옛날 북경으로 향한 운수 차량은 이곳에서 늘 길이 막혀 구불구불한 구렁이의 모양을 이뤘다고 한다.

그때 곡물이 곡적산의 산중에 얼마나 쌓여 있었는지는 모른다. 분명한 건 고려의 이야기가 쌀뒤주 같은 이 골짜기에 차고 넘쳤다는 것이다. 그들의 이야기는 박의 넝쿨처럼 자라서 꽃을 피워 열매를 맺었고 미구에 박의 향기를 산지사방에 풍겼다.

“정말 신화나 전설을 방불케 하는데요. 산중의 고려 이야기는 실은 원나라 후궁 귀인(貴人)의 현몽에서 시작되고 있습니다.”

사찰의 뒤편에 불사 활동을 말해주는 비석이 세워졌는데, 상기 이야기는 이 비석에 기록되어 있다. ‘대원칙사상만곡적산령암선사비(大元勅賜上萬穀積山靈巖禪寺碑)’라고 하는 이 석비의 기록에 따르면 사찰의 이름은 원나라 임금이 하사했다고 한다.

“(1346년) 중귀인(中貴人) 장씨가 현몽에 따라 곡적산을 찾아가 보니 사찰이 크게 훼손되어 있어 이를 안타깝게 여겼다. 자정원사(資政院使) 고용보(高龍普)가 대단월(大檀越, 큰 후원자)로 자칭하고 중건에 나서 이듬해에 마쳤다. 지정(至正,1341~1368) 황제가 ‘영암선사(靈巖禪寺)라는 사찰 편액을 내리고 고려 천담(天湛)에게 ’묘덕장로(妙德長老)‘라는 존호를 하사했다.”

그리하여 영암선사는 영취선사의 또 다른 이름으로 되었다. 여기에서 잠깐 설명을 하고 지나자. 사찰의 큰 후원자로 나선 고용보는 화자(火者)로 원나라에 들어간 고려인이다. 원나라는 화자를 고려로부터 징발하여 환관으로 이용했는데 선후로 약 100여명의 고려인이 원나라에 들어가 환관으로 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와중에 고용보는 1333년 공녀로 온 고려인 기씨(奇氏)를 추천하여 원나라 15대 칸 순제(順帝)의 차를 담당하는 궁녀로 들여보내는데, 기씨가 얼마 후 총애를 받아 후비를 거쳐 황후가 되었다. 기황후가 황제에 버금가는 권력을 갖게 되면서 고용보는 권세가 점점 커졌다. 원나라 황실의 가족인 친왕과 최고의 신하인 승상조차 그의 눈치를 살필 정도였다고 전한다.

1347년 봄인 3월 15일, 영암선사가 낙성되고 화엄 대법회를 열었다. 이때 연등(燃燈)이 10만이요, 반승(飯僧, 행사 참석자)이 천명이었다고 한다. 사찰을 보수하기 전에는 승려 한명이 홀로 사찰을 지키고 있었지만 낙성된 후 사찰의 승려가 꾸준히 늘어나 궁극적으로 백명으로 헤아렸다고 영암선사 석비의 기록이 밝힌다.

영암선사가 이토록 번창하게 된 데는 왕실의 중귀인 장씨가 있었으며 자정원사 고용보가 있었다. 이보다 그들의 뒤에는 황실에서 막강한 권력을 행사하고 있는 기황후가 있었던 것이다. 자정원은 황실의 재정과 재산을 관리하던 기구이며, 고용보는 자정원의 원사를 지내면서 기황후에게 경제적 뒷받침을 하고 있었다.

1342년, 고용보 등은 고려에 가서 기황후의 모친 이씨(李氏)를 맞이해 온다. 영암선사는 나중에 기황후 모족(母族)이 안신(安身)하는 또 다른 거처로 된다. 이처럼 승려뿐만 아니라 속인 역시 영암선사와 주변에 거주했다. 영암선사의 승속(僧俗)은 전부 반도에서 온 고려인들이었다.

영암선사가 있는 곡적산은 어느덧 대도(大都, 지금의 북경)에 살고 있는 고려인은 물론이요, 반도의 고려인들에게 자금성처럼 이름난 곳으로 되고 있었다. 고려인의 이 사찰은 이역 땅에서 살고 있는 고려인들의 구심점이요, 향수에 고달픈 고려인들의 몸과 마음을 달래주는 쉼터였던 것이다.

영암선사는 미구에 학자 이곡(李穀, 1298~1351)이 글로 특기할 만큼 고려사회에 이름을 떨치고 있었다. 이곡은 1333년 원나라 제과(制科)에 급제한 고려인인데, 가전체(假傳体)의 소설 『죽부인』, 저서 『가정집(稼亭集)』을 세상에 전하고 있다. 그보다 이곡은 글 『곡적산의 영암사 석탑기』로 당시 고려 사회에서 화제가 되었다고 한다. 그는 또 시 『서산의 영암사에 글을 부쳐』를 짓는데 시의 앞에 주해를 달았으니, 이때 ‘사찰의 승려는 모두 향인(鄕人)이니라’고 했다. ‘향인’인즉 같은 고향 사람이니 사찰의 승려들은 이곡처럼 모두 그와 같은 고려인들이었다는 것이다.

이곡은 부자가 함께 모두 곡적산에 가서 영암선사를 참배한 것으로 전한다.

문헌기록에 따르면 영암선사는 원나라 말 전성기를 이루었다. 또 이 사찰에 향불을 피운 신도 가운데서 고려인들이 제일 많았다. 대도에서 생활하던 고려인들은 대대적으로 사찰의 중건 작업에 나서고 있었다.

고려인 박쇄(朴瑣) 로올대(魯兀大)는 이때 영암선사의 동쪽 봉우리에 사리석탑을 세웠다. 그는 고용보처럼 원나라의 태감으로 관아의 동지민장총관(同知民匠總管) 부사(府事)로 있었다. 우연히 사리를 얻었는데 집에 공양하다가 나이가 많게 되자 명산복지(名山福地)에 보존하고자 명당의 곡적산에 석감을 만들어 이 사리를 공양했던 것이다. 사리탑은 팔면에 여러 부처를 조각했으며 영암선사에 있는 또 다른 이색적인 풍속도로 되었다.

기실 박쇄가 사찰에 석탑을 짓고 고용보가 사찰의 대단월로 된 것은 이상하지 않다. 원나라 이래 환관이 출자하여 사찰을 보수한 것은 결코 희귀한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명나라 때 곡적산에서 사찰이 다시 흥기할 수 있었다.

고용보는 산 너머 이웃한 운거사(云居寺)의 석각 경판 보수에도 적극 후원한다. 운거사는 수․당(隋․唐) 시기에 세워진 것으로 역시 영암선사처럼 유명한 사찰이다. 북위(北魏) 때 태무제(太武帝)의 법난으로 절망했던 어느 승려가 운거사에서 석경(石經)의 각석을 발원했다. 불경의 일실(逸失)에 대비하고 정법을 후손에 전해야 한다는 일념으로 운거사에 석굴을 파고 석경을 새기기 시작했던 것이다. 중국의 불교역사와 전적의 중요한 문물일 뿐만 아니라 세계문화유산의 귀중한 보물인 석각 경판은 그렇게 운거사에 나타난다.

원나라 말, 고려 혜월(慧月) 선사(禪師)가 운거사에서 다섯 조각의 경판을 보수했고 고려인들이 이 불사(佛事)의 공덕자로 나섰던 것이다. 이때도 고용보가 단월로 되었던 것으로 기록에 전한다. 운거사의 『중수(重修) 화엄당(華嚴堂) 본기(本紀)』에는고려 혜월 선사가 원나라 말에 석경산(石經山) 화엄당의 보수공사를 벌였을 때 자정원사 고용보가 1천여 민(緡)을 시주했다고 분명히 기록하고 있다. 민(緡)은 옛날 동전을 꿰는 끈을 이르는 말인데 1민은 1000문(文)이며 은 1냥에 해당한다. 이때 혜월 선사가 보각한 다섯 조각의 경판은 지금까지 운거사에 잘 보존되어 있다.

곡적산의 산중에는 사찰과 탑, 비석이 수풀을 이뤘다. 곡적산은 원나라 대도의 이름난 불교 성지로 되고 있었다. 대륙의 승려들이 언제나 찾아왔고 반도 승려들의 발걸음이 날이 지나도 끊이지 않았다.

반도의 대륙의 불교 교류사를 연구하는 사람들이라면 다들 혀를 차게 된다.

“북경을 유람하는 관광객들은 제일 먼저 자금성을 머리에 떠올리는데요. 옛날 원나라에 참배를 가는 고려 승려들은 저마다 곡적산을 목적지로 삼은 것 같습니다.”

반도의 당대 3대 선사(禪師)라고 불리는 지공(指空), 나옹(懶翁), 무학(無學)이 선후로 다 대도에 나타나는데, 이 가운데서 나옹과 무학은 영암선사에 가서 오랫동안 머무르면서 수행했다. 나옹은 지공의 법맥을 이어 받은 후 고려 말의 선불교를 중흥한 대표적인 선승(禪僧)이고 무학은 나옹에게 법을 계승함으로써 고려불교를 조선불교로 잇고 조선시대의 불교 초석을 세우는데 지대한 역할을 한 고승이다.

영암선사는 고려인들이 중건할 그때부터 사실상 반도와 중원 불교문화의 교류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었다.

원나라가 1368년 멸망하면서 영암선사는 다시 쇠락의 길을 걸었다. 그러나 곡적산의 고려의 이야기는 이로써 끝나지 않는다. 곡적산에 박씨처럼 심은 불맥(佛脈)은 천년 세월을 계속 잇고 있었다. 국경을 넘은 곡적산의 불연(佛緣)은 조선인 승려에 의해 다시 명나라까지 이어진다.

이번에는 반도에서 승려들이 부득불 국경을 건넜고 대도에 도착한 후 자연히 곡적산을 찾는다. 조선 초, 태종과 세종은 숭유억불(崇儒抑佛)의 정책을 실행하면서 불교를 탄압하고 있었다. 이에 불교계는 불교의 자정을 주창하거나 불교계를 재편하며 정부의 탄압에 맞섰다. 일부 승려는 아예 압록강을 건너 월경(越境)을 시도했다. 와중에 승려 적휴(適休)는 국경 이쪽에 분명하게 그의 행적을 남겼다. 대도에 이른 후 곡적산을 참배하며 미구에 영암선사의 근처에 반약선사(般若禪寺)를 창건하는 것이다.

곡적산에 심고 쌓인 고려 이야기는 문화, 불교, 종족과 더불어 달고 쓴 대하드라마를 엮고 있다. 역사는 그냥 흐른다. 거듭되는 흥망성쇠를 겪은 곡적산에는 역사의 잔해가 널려 있다. 오늘날 영취선사, 원통선사(園通禪寺), 편탑(鞭塔), 방울탑, 사리탑 그리고 두 기의 태감무덤이 남아있을 뿐이다. 기와며 벽돌 조각, 석각의 잔해가 산의 여기저기에 제멋대로 흩어져 있다.

곡적산을 내리는데 길에는 더는 수레가 아닌 차들이 경적을 울리며 실북 나들듯 오가고 있었다. 부지중 영암선사의 폐허 앞에서 명나라의 웬 시인이 글로 남긴 감회가 새삼스레 눈앞에 떠오른다.

“서쪽하늘의 낙조에 탑이 외롭게 비끼고

유유한 골짜기에 폐허만 산산이 흩어졌구나.

풀이 마른 정원에 가을빛이 가득하고.

바람 따라 온갖 인연이 날려가네.

[퀴즈 한마당 코너]

[퀴즈 한마당] 코너는 달마다 한 번씩 새로운 퀴즈 하나씩을 내어드리는데요,

계속하여 이달의 퀴즈를 내어드리겠습니다.

유명한 사찰 소림사에서 불교음악을 배워 반도에 전한 신라 승려가 있습니다. 이 승려는 누구일까요.

다시 한 번 말씀드립니다.

유명한 사찰 소림사에서 불교음악을 배워 반도에 전한 신라 승려가 있습니다. 이 승려는 누구일까요.

퀴즈에 참여하실 분들은 예전과 마찬가지로 편지나 이메일 또는 팩스로 답안을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청취자의 벗과 연계하는 방법]

MC: 편지는 우편번호 100040번, 주소는 베이징시 석경산로 갑 16번 중국 중앙방송총국 아시아아프리카지역 방송센터 조선어부 앞으로 보내시기 바랍니다.

이메일은 KOREAN@CRI.COM.CN으로 보내주시구요, 팩스는 010-6889-2257번으로 보내주시면 되겠습니다.

[마감하는 말]

MC: 네, 그럼 오늘 방송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이 시간 진행에 임봉해(MC), 편성에 김호림이었습니다.

방송을 청취하면서 여러분이 듣고 싶은 이야기, 하고 싶은 이야기를 언제든지 전해주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청취자의 벗]과 함께 한 여러분 감사합니다.

[청취자의 벗]은 언제나 여러분과 함께 합니다.

공유하기:
뉴스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