朱正善
2022-03-01 09:50:42 출처:cri
편집:朱正善

천년의 상상 깨운 문화재 소재의 무극 '오성출동방'

천년의 상상 깨운 문화재 소재의 무극 '오성출동방'_fororder_wenwu1

정월 대 보름 원소절 기간 중국 국가 1급 문화재인 '오성출동방이중국'(五星出東方利中國) 한나라 채색 견직물 팔보호대를 소재로 한 무극 '오성출동방'이 허난(河南)위성TV와 중국의 동영상 플랫폼 비리비리에 선보여 '금수무'(錦繡舞) '등무'(燈舞) 등 무용 대목이 선풍적인 인기몰이를 했다.

무극은 신강 허텐(和田) 니야(尼雅) 유적지에서 출토한 국가 1급 문화재인 한나라 채색 견직물  '오성출동방이중국'에서 창작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1995년 10월, 중국과 일본 니야유적 학술고찰팀이 허텐지역 니야 옛 무덤에서 한나라 촉(蜀)지역 견직물을 발견했다. 당시 출토된 견사는 길이 18.5cm, 너비 12.5cm로 '오성출동방이중국'이란 전서체 한자 여덟글자가 새겨져 있었다. 이 문화재의 출토는 20세기 중국 고고학의 가장 위대한 발견의 하나로 꼽힌다.

무극 '오성출동방'은 바로 니야 고고학 현장을 시작편으로 고고학 학자들이 채색 견직물 팔 보호대를 발견하면서 한나라 때로 타임슬립하는 것을 서두로 이야기가 시작된다. 

이야기는 한나라의 변방을 지키는 장령이 정절(精絶)고성에서 북인(北人) 수령의 아들 건특(建特)과 딸 춘군(春君)과 관계가 팽팽하던데서 서로 손잡게 되고 깊은 우정을 쌓아가는 과정을 통해 각 민족 인민들이 석류씨처럼 똘똘 뭉쳐 중화민족 공동체를 구성해왔다는 주제를 담고 있다.

무극 '오성출동방'의 가장 두드러진 예술특징은 무용의 상상력으로 변방의 옛 유적지에 깊숙히 파묻혔던  생생한 이야기를 파헤쳐냄으로써 한나라 때 중원문화와 서역 문화간의 융합을 보여주고 중화민족은 하나의 공동체임을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부각한 것이다. 

문화재 '천리강산도'에서 영감을 얻어 창작된 무극 '청록'이 폭발적인 인기몰이를 한 뒤 얼마 지나지 않아 문화재 소재의 무극 '오성출동방'이 또 다시 선풍적인 인기를 얻은 것은 문화재 소재와 예술창작 융합의 공간이 아주 큼을 말해준다. 

풍부한 예술의 형식을 통해 오랜 세월을 딛고 재 부활할 문화재들이 기대된다.  

공유하기:
뉴스 더보기 >
기타 플랫폼
CMG와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