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고대정원중 관리, 상인, 지주 등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정원을 개인정원이라고 한다.
위진남북조시기 문인 사대부는 현실을 회피하기 위해 산수에 기탁해 은거생활을 했다. 그들은 생활지 주위에 산과 수의 아름다움을 가진 작은 환경을 만들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바로 개인정원의 시작으로 된다. 당조는 중국 정원이 전면발전의 시기였으며 낙양 한 도시만 해도 개인정원이 천여개에 달했다.
정원을 건립하려면 대량의 재부가 필요하다. 절강은 예로부터 어미지향으로서 수공업이 발달했으며 소주와 항주 일대는 양한이래 비단을 많이 생산했다. 상업경제의 발전과 도시의 번영, 경제의 발달은 정원 건립에 물질적 조건을 제공해줬다. 18세기중엽 청조 건륭황제는 6차례 남하해 강남의 명산명원을 관광했으며 강남은 정원 건립 열조를 일으켰다. 양주의 한 소금상인은 건륭의 총애를 받기 위해 자신의 튼튼한 재력으로 양주에서 방대한 정원을 건립했는데 수상 정원대를 형성시켰다고 한다.
개인정원과 황족정원은 모두 중국 전통적인 자연산수정원이지만 그들은 각각 자신의 특징을 갖고 있다. 내용상으로 볼때 황족원림 특히 대형 황족원림은 조정, 생활, 관광 등 다기능을 갖췄으므로 실제상 봉건제왕의 이궁이기도 했다. 개인정원은 주로 손님접대, 생활, 독서, 관광의 요구를 만족시켰다. 규모상 황족원림은 차지면적이 크고 웅위로운 기백과 광활한 시각적 효과를 추구했고 개인정원은 평화롭고 조용한 분위기, 복잡한 도시와 격리된 꿈속의 풍경을 추구한다.
개인정원의 건설 수단
1. 구조상 영활하고 변화가능한 수법을 채용했다. 건축에서 표현된 구조는 전통적인 궁실, 절 사합원 중축대칭의 형식을 채용한 것이 아니라 기능의 수요에 따라 불규칙적인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또한 건축물사이에는 굴곡적인 오솔길을 많이 사용하고 곧은 큰 도로의 형식을 피했다.
2. 자연산수의 형상을 많이 모방하고 있다. 자영산수의 생태형상을 개인정원의 환경중에서 재현시키려면 비례를 축소시켜야 한다. 때문에 예술가들은 자연산수의 형태를 관찰, 연구, 총결해 조형상의 규칙을 장악한후 정원의 수요에 따라 자연의 풍경을 재현시켰다.
3. 정원의 세부적인 처리에 중시한다. 개인정원은 황족정원의 광활한 환경과 달리 굴곡적이고 아담한 공간을 소유하고 있다. 때문에 정원내의 각종 작은 건축과 식물 등은 구조와 자연모방 등에 신경을 써야 할 뿐만아니라 세부적인 처리에도 중시를 돌려야 한다.
정원의 합리적인 구조배치, 장식, 자연산수의 모방, 건축과 식물의 세부적인 처리 등 수단은 완벽한 인공적인 산수정원 환경을 이루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