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뉴스 라디오 언어 교실 블로그
경제     |    문화/교육    |    관광   |    연예오락    |    올림픽    |    재중코리안
CRI 소개 | 조선어부소개/연락방식 | 주의사항 | 게시판
중국의 과거제도(2)
2009-02-25 17:43:36               
cri

과거제도는 하층 지식분자들에게 벼슬길을 제공했을뿐만 아니라 조정에서 관원을 선택하는 범위를 넓혀 중국 역사상 중요한 의의를 갖고 있다. 1천3백여년간 지속된 과거제도로 인해 수십만명의 진사(進士), 거인(擧人)과 수재는 수백만명에 달한다. 물론 전부 학식이 높은 인사들이라고는 말할 수 없지만 첩첩난관을 극복해 과거시험에 합격한 사람들은 대부분 출중한 인재로서 높은 문화수양을 구비한 정치가, 군사가, 경제학가, 행정관리 전문가들이다. 이 사람들이 없다면 중국의 대당성세, 남북송의 번화, 원명시기의 강성, 청조의 대일통이 없었을 것이다.

팔고문을 시험내용으로 하는 과거제도는 청조시기까지 지속되었는데 그 폐단은 속속 드러나기 시작했다. 청조초기 일부 대신들은 개혁할 것을 건의했으나 통치자들은 문화집권주의를 시행하기 위해 과거시험을 한족 사대부를 농락하는 수단과 지식인들의 사상을 구속하는 도구로 삼아왔다. 경서와 팔고문을 기계적으로 암기만 하면 관리직을 얻을 수 있는 과거제도, 시험에 참가하는 사람들은 해마다 성장세를 보였다. 합격인수를 제한하기 위해 출제자는 늘 시험명제를 아무런 가치가 없는, 문자유희에 가까운 난제와 이상한 문제를 내놓았기에 시험생은 명제에만 파묻혔으며 과거시험제도는 점점 굳어져갔고 정치 혁신, 과학문화 발전의 중대한 장애로 되었다. 청조말기 광서황제시기에 이르러 근대 과학문화의 전파와 국내 민주혁명운동의 고조로 인해 청정부에서는 강박에 못이겨 천여년간 지속된 과거시험제도를 폐지하게 되었다.

단일한 문화시험만으로 관리직을 부여하는 과거제도는 취할바는 못되지만 세습과 추천 등 제도와 비교할때 상대적으로 공평, 공개 및 공정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오늘날의 시험제도는 일정한 정도에서 여전히 과거제도의 연속으로 볼 수 있다.

 
전통문화
v 중국의 과거제도 2009-02-24 16:46:17
v 천년죽간(竹簡) 2009-02-18 17:27:39
v 옛 베이징 설맞이 풍속 2009-01-13 16:42:14
v 중국 대명절- 동지 2008-12-29 17:18:44
v 중국 전통명절- 원단 2008-12-18 17:05:48
이름: 메일주소:
내용:
  리플보기    뉴스 리플보기
매주방송듣기
   
프로그램 편성표
 
 
 
서비스 홈   
 
 
 
 
  © China Radio International.CRI. All Rights Reserved. 16A Shijingshan Road, Beijing, China. 10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