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뉴스 라디오 언어 교실 블로그
경제     |    문화/교육    |    관광   |    연예오락    |    올림픽    |    재중코리안
CRI 소개 | 조선어부소개/연락방식 | 주의사항 | 게시판
입하(立夏), 중국 각지의 풍속
2009-05-07 17:37:32               
cri

입하(立夏, 5월 5일)는 중국에서 자고로 "먹는 날"로 불리운다. 해마다 이맘때면 앵두가 빨갛게 무르익고 야들야들한 죽순과 신선한 과일야채가 등장하여 사람들은 각종 새 음식을 맛볼 수 있다.

입하에는 주로 찹쌀밥을 먹으며 그 중에는 반드시 완두콩이 섞여 있다. 또한 삶은 계란, 죽순, 완두 등 특색요리를 함께 하는데 계란과 죽순은 쌍으로 되어야 하고 완두개수는 특별한 요구가 없다. 입하에 계란을 먹는 이유는 계란이 심장모양과 비슷하기에 사람들이 계란을 먹으면 마음이 편해지고 정신이 맑아진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또한 입하에 미리 보신하면 무더운 여름날 신체 쇠약을 방지할 수 있는데 죽순을 먹으면 모양 그대로 튼튼한 다리를 가꿀 수 있고 완두콩을 먹으면 눈을 맑게 할 수 있다고 전해진다. 고대 사람들은 눈질병이 보편적이였으므로 완두콩을 먹어 1년간의 눈건강을 기원하기도 했다.

입하에 먹는 음식은 사람들의 복과 건강에 대한 소원이 기탁되어 있다. 절강 사람들은 계란과 죽순, 완두콩을 먹는가 하면 호남 사람들은 찹쌀에 일부 약초를 섞어 국을 만드는데 이를 먹으면 몸이 가벼워지고 무궁무진한 힘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상해의 일부 지역에서는 밀가루와 설탕으로 만든 "맥잠(麥蠶)"이라는 음식을 먹는데 이는 한여름 더위증을 피할 수 있다고 한다. 호북성 통산현 민간에서는 입하를 큰 명절로 여겨 이날이 되면 딸기, 새우, 죽순을 먹어 몸보신을 하며 민남지역에서는 주로 새우면을 먹는데 새우 蝦자와 여름 夏자가 발음이 똑같기 때문에 여름날에 대한 축복의 뜻으로 새우를 많이 먹는 것이다.

상해의 입하 풍속습관중에서 계란을 먹는 것이 가장 보편적이라 할 수 있다. 이날 상해 사람들은 반드시 계란을 먹어야 할 뿐만 아니라 아이들 목에는 그물에 넣은 계란을 걸고 있다. 그 외 점심때가 되면 남녀노소가 모두 체중을 재보는 풍속도 있다.

이날 문턱에 앉으면 피로하고 불건강한 여름을 보내게 되기 때문에 입하에는 문턱을 피하라는 설이 있다. 30년대 "녕국현지"의 기재에 의하면 "입하에 체중을 재면 질병을 없애고 건강한 여름을 보낼 수 있다. 하지만 문턱에 앉으면 1년간 피로하고 무맥하다."라고 적혀 있다.

 
전통문화
v 고대 중국 궁중 피부관리법(1) 2009-04-20 16:56:51
v 티베트 전통 장신구(1) 2009-03-18 16:50:21
v 중국 절간장의 출현과 발전 2009-03-11 16:53:36
v 용대두(龍擡頭)의 유래 2009-02-27 17:26:25
v 중국의 과거제도(2) 2009-02-25 17:43:36
이름: 메일주소:
내용:
  리플보기    뉴스 리플보기
매주방송듣기
   
프로그램 편성표
 
 
 
서비스 홈   
 
 
 
 
  © China Radio International.CRI. All Rights Reserved. 16A Shijingshan Road, Beijing, China. 10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