朱正善
2021-03-03 17:36:17 출처:cri
편집:朱正善

푸미족의 세시풍속과 금기

푸미족의 세시풍속과 금기_fororder_VCG111294168925

혼인풍속:

푸미족은 1부1처제가 위주이다. 중화인민공화국 창건 전 푸미족은 씨족 외 혼인제를 실시했으며 통혼 가능 범위에 대한 요구가 엄격해 일반인들은 노예와 결혼할 수 없었고 귀족과 평민간의 통혼도 허락되지 않았다. 또 결혼 연령이 비교적 일러 여자는 15세, 남자는 18세면 대부분 결혼했다. 가끔 남녀 13세에 성인식을 치른 후 결혼하는 경우도 있었다.

푸미족은 과거 청년 남녀가 자유로이 교제 할 수는 있었으나 배우자는 부모가 선택해주었다. 많은 푸미족은 13세 이전에 쌍방의 부모가 협상으로 혼인을 약정하며 일부는 금방 태어나거나 한 돌이면 혼약을 정하기도 했다.

푸미족은 보통 한가한 섣달에 결혼식을 많이 치렀다. 양가가 약혼주를 마시고 나면 남자측에서 돼지와 닭을 잡으며 중매인이 돼지 심장을 남자측의 예물로 여자측에 전달한다. 여자 집에서도 돼지를 잡으며 양가의 돼지 심장을 모두 반으로 자른 후 그 절반을 남자 집에 보내 “영결동심”(永結同心), 백년해로의 뜻을 밝히고 결혼식을 올린다.

난평과 유서일대의 푸미족은 결혼식 날  “대가”(對歌)를 즐겨 부른다. 남자 측의 영친대오가 여자 집에 도착하면 신부집 대문은 굳게 닫혀있다. 이때 중매인이 양가의 혼사가 하늘의 뜻이라며 노래를 부르는데 여자 측은 그 노래가 마음에 들면 대문을 열고 영친대오가 보낸 예물과 축의금을 받는다. 영친대오는 여자 집 어른과 아이 모두에게 머리 숙여 인사하며 고마움을 표한다.

성대한 혼례식 후 푸미족의 신부는 신랑 집에서 살지 않는 ‘불락부가’(不落夫家)의 생활을 한다. 난평지역에서 신부의 불락부가 시간은 수년간에 달하고 녕랑 지역은 수년에서 10년, 20년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 푸미족은 신부가 임신을 해야만 진정으로 남자 집에서 생활할 수 있다. 때문에 푸미족 여성들은 약혼과 결혼을 일찍 해도 보통 25세 이후, 소수는 30~40세후에 신랑 집에서 생활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 기간 남자 측은 신부를 네 번 맞으며 혼례식을 네 차례 거행하기도 한다.낡은 풍습에  따르면 처녀는 결혼 후 갖은 방법을 다해 친정에 돌아가며 결혼식을 한 두번 만 치르고 신랑 집에 살게 되면 체면이 깎이는 일로 간주했다.  

녕랑 지역의 푸미족은 지금까지도 ‘약탈혼” 풍속이 있다. 푸미족의 “약탈혼”은 청년 남녀가 혼인이 저지를 당할 경우 “엎질러진 물”의 방식으로 결혼을 강행하는 것을 말한다. 남녀 당사자가 사전에 혼기를 정한 후 결혼식 날 처녀가 아무 일도 없는 듯 밭에 나가 노동에 참가하며 남자 측이 사람을 파견해 가만히 그 뒤를 따르게 하다가 갑자기 기회를 타 처녀를 붙잡고는 “모모가 차를 청합니다”라고 높이 외친다. 그 때 처녀는 반항하는 척 하고 준비하고 있던 친우들이 신속히 나타나 영친하는 사람들과 치열한 쟁탈을 하며 나중에 처녀를 성공적으로 남자 측에  “납치”해가 성대한 결혼식을 치른다. 비록 여자 집에서 이 혼사를 동의하지 않지만 이렇게 되면 묵인하는 수 밖에 없으며 풍성한 음식을 준비해 딸의 출가를 경축한다.

중화인민공화국 창건 후 푸미족의 낡은 혼인제도에 큰 변화가 생겼다. 청년남녀들은 자유로이 연애하고 혼사를 정하고 있으며 “불락부가”의 풍습도 사라졌다. 또 본 민족이 아닌 한족, 바이족, 티베트족, 나시족, 리수족 등 다른 민족과 통혼할 수 있게 되고 전통적인 혼인 풍속도 많이 달라졌다.          

장례 풍속:

푸미족은 장례를 아주 성대히 치른다. 전통적인 장례 방식은 화장이 위주이나 일부 토장을 하는 곳도 있다. 녕랑 지역은 전부 화장을 하며 난평 일대의 바이족 집거지와 잇닿은 곳은 토장을 위주로 하고 유서현은 화장과 토장을 모두 행한다. 푸미족은 사람이 죽으면 총과 포를 쏘아 마을 사람들에게 알린다. 그 통지를 받은 마을 사람들은 주먹밥과 돼지 갈비 등을 갖고 초상집에 조문을 간다. 푸미족은 사람이 죽으면 시체를 깨끗이 씻은 뒤 굴지좌식(屈 肢坐式)으로 묶는다. 그 연유는 망자가 태어날 때의 모습으로 환원해 다시 사람으로 태어나길 바라서이다. 화장시간은 무당이 결정하며 매 마을마다 화장터가 있다. 출빈 전날 저녁, 유체를 채색화를 그린 네모난 관내에 모셔 화당 옆에 두고 “급양”(給羊子)경을 읽으며 송혼식을 갖는다. “급양”은 푸미족의 장례식 중 가장 성대한 의식으로 “망령을 조상의 원적지에 보낸다”는 뜻을 담고 있다. 망령은 흰 면양이 길을 안내해야 조상의 원적지에 갈수 있다는 전설에서 유래된 풍속이다. 급양경을 읊은 뒤에는 효남효녀들이 윤번으로 꿇어앉아 양에게 술을 먹이고 친지들은 양에게 절을 올려 작별인사를 나눈다. 그 뒤 양을 잡아 심장을 꺼내 공양하고 무당이 “길안내경”을 읊어 망령에게 길안내를 한다. “급양자"의식에 참가하는 인원수는 수백명에 달하기도 하며 와중에 노인들이 ‘급양자’전설을 담은 고가(古歌)를 부른다. 출빈시에는 네 명이 관을 화장터에 들고 가 도끼로 관을 찍어 유체를 이미 쌓아 올린 화장대에 올려놓는다. 그 뒤 친우들이 돌아가고 가족만이 남아 땅에 꿇어앉아 슬피 울며 망자와 결별한다.

예의 풍속:

예의 바르고 손님을 열정적으로 반기는 것은 푸미족의 전통미덕이다. 또한 정월 초하루 날, 손님 접대는 천 백년간 내려온 푸미족의 전통풍속이다. 이날 아침 집집마다 풍성한 밥상을 차리며 달콤한 황주 한 통을 들고 마을 길 옆에 가 만나는 길손마다 남녀노소 불문하고 안면이 있든 없든 모두 황주 한 그릇을 권하고 집까지 초대해 귀빈으로 모신다. 때로는 길손이 한 명 밖에 없어 몇 집, 심지어 수십 집이 다투어 요청하며 서로 양보하지 않는 모습도 볼 수 있다.  푸미족의  옛 풍습에 따르면 정월 초하루 날 첫 길손을 집에 초대하는 것이 가장 자랑스러운 일이기 때문이다. 또 이날 손님을 가장 많이 초대하는 집이 한해 동안 복을 가장 많이 받는다고 여긴다. 초청을 받은 사람은 선물을 갖고 초청인의 배동하에 주인 집에 간다. 집 문에 들어서기 전에 “한 해동안 살림이 넉넉하고 화목한 생활을 하기를 바랍니다”라는 덕담을 하며 주인은 연신 “덕담 고맙습니다”라고 화답한다. 손님이 돌아갈 때 쯤이면 주인은 후한 답례를 하는데 보통 찹쌀떡이나 돼지머리고기, 황주 등을 선물로 드린다. 푸미족의 이런 세시풍속에는 생활수준이 제고됨에 따라 새로운 내용이 추가되었다. 하여 지금은 길손 외에도 노인이나 가난한 가정, 고아 등을 초대하기도 한다. 그리고 먼 곳의 손님이 오면 낯선 사람이든 친우든 주인은 모두 집 문 앞까지 나와 열정적으로 맞는다. 푸미족은 “새 단지에서 붓는 첫 잔의 수리마(청과주)는 먼 곳의 손님에게 권하고 금방 끓인 첫 잔의 차는 외족 형제에게 권한다”는 말이 있다. 

푸미족은 화당을 에워싸고 모여 앉는 풍습이 있는데 보통 남성은 오른쪽 여성은 왼쪽에 자리하며 손님은 오른쪽에 앉는다. 식사 시 주인은 먼저 손님에게 요리를 권하며 손님이 식사를 배불리 한 뒤에야 주인들이 식탁에 마주 앉아 식사를 할 수 있다.

금기사항:

푸미족은 일상생활에서 일부 금기도 있다. 푸미족은 화당 윗 쪽의 ‘신대’에 잡동사니를 놓지 않으며 ‘신대’에 오르거나 신대를 발로 밟는 것을 꺼리며 빗자루로 ‘신대’를 쓰는 것도 금기시한다.

푸미족은 또 마을의 신산 용담에서 나무를 벌목하고 흙을 파며 돌을 나르고 물건을 제멋대로 버리는 것을 금한다.

관광객이 제사의식을 참관하고자 하면 먼저 주인의 동의를 얻어야 하며 참관 시 거동이 정중해야 한다. 마음대로 떠돌고 웃는 등 경박한 행동을 금한다.

또 임산부가 조상제와 장례식에 참가하는 것을 금기시한다. 손님은 푸미족 집에서 개를 때리거나 개고기, 개구리고기, 말고기, 고양이 고기를 먹어서는 안된다.  

푸미족은 손으로 화당의 삼각대를 만지고 부뚜막에서 옷을 말리며 빗자루로 사람을 때리거나 젓가락으로 돼지를 찌르는 것도 금기시한다.

또 저녁 무렵에 이발하거나 머리를 감거나 머리를 빗는 것도 꺼린다. 삿갓을 쓰고 집안에 들어서서는 안되며 집안에서 사랑 노래를 불러서도 안된다.

공유하기:
뉴스 더보기 >
기타 플랫폼
CMG와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