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8-22 12:44:28 출처:cri
편집:林凤海

[중한 수교 30년 특별 기획] 중국과 한국의 30년을 지켜보다-문화의 이야기

사회자(여): 안녕하세요. 임봉해입니다.

사회자(남): 안녕하세요. 김민국입니다.

여: 중한 수교 30년간 중국과 한국 두 나라는 여러 분야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었으며 그 중에서도 문화분야의 교류와 협력은 더욱 빠른 속도로 발전했습니다.

남: 사전에서는 문화의 개념을 이렇게 정의하죠. 중국에서는 “문화는 광의적인 의미에서 인간이 사회의 실천과정에서 획득한 물질적, 정신적 생산능력과 그 과정에서 창조한 물질적, 정신적 부를 말한다.”고 말하고 한국에서는 “한 사회의 개인이나 인간 집단이 자연을 변화시켜온 물질적, 정신적 과정의 산물이다”라고 정의합니다.

여: 김민국 씨 오늘은 시작부터 학자 풍이 다분하네요. 한 마디로 인간이 획득한 물질적, 정신적 산물을 말하는 문화, 이 문화는 아우르는 분야가 많은 아주 중요한 부분입니다.

남: 사실 문화나 경제 등 여러 분야는 칼로 베듯 확실하게 분류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융합되면서 우리의 사회를 형성하고 있고 그런 의미에서 중한 양국간의 관계에서 문화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여: 중국과 한국의 관계에서 양국의 문화교류는 최근 30년 동안에만 있은 것이 아니죠.

남: 산과 물이 잇닿아 있는 인국으로서 중국과 한국은 같이 한자문화권과 유교문화권에 속해 있으면서 유구한 교류역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여: 그렇죠. 특히 중한 양국이 짧은 단절역사에 종지부를 찍고 1992년 8월 24일 수교한 후 30년간 양국간의 문화 교류는 더욱 활성화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남: 그렇습니다. 양국은 애니메이션과 영화, 드라마, 출판, 바둑, 탁구 등 문화와 예술, 체육 등 분야에서 활발한 교류와 협력을 진행했고 이런 문화교류는 한류와 한풍으로 대변되며 양국 국민들의 문화 정체성과 친밀감을 더 추진했습니다.

여: 네. 그럼 오늘은 김진곤 주중한국문화원 원장으로부터 중국과 한국의 문화 이야기를 들어보겠습니다.

남: 김진곤 원장은 두 번에 걸쳐 주중한국문화원 원장을 담임하고 또 중국어도 잘 구사하는 중국통으로 알려져 있죠.

여: 네, 김진곤 원장은 주중한국문화원 원장 부임에 앞서 2003년에 관광차 처음으로 중국을 방문했고 그 때 중경에서 유람선을 타고 장강을 따라 상해에 이르렀는데 고층빌딩이 숲을 이룬 상해가 상상했던 모습과 달라서 충격을 받았다고 말했습니다.

남: 백문이 불여일견이라는 말이 있지 않습니까. 상대국을 방문해서 상대국의 이모저모를 돌아보고 서로 말은 통하지 않지만 직접 얼굴을 보고 눈을 마주치는 관광은 양국간의 이해를 증진하고 마음을 통하게 하는 가장 직관적인 영역이라 할 수 있죠.

여: 네. 양국 수교 후 최초에는 중국을 방문한 한국인 관광객들이 급증했고 중국에서 개인의 해외여행을 개방한 후에는 한국을 방문하는 중국인 관광객들도 대폭 늘어났죠.

남: 그렇습니다. 현재 중국은 한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는 관광국이고 한국도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는 관광국으로 부상했습니다. 최고로 2016년에 한국을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은 800만명을 넘고 중국을 방문한 한국인 관광객은 500만명에 달했다는 통계수치가 있습니다.

여: 한 나라와 민족의 문화를 알려면 눈으로 보고 귀로 듣는 것도 좋지만 그 나라의 언어를 배우는 것으로부터 시작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남: 그렇죠. 새로운 언어를 배운다는 것은 새로운 세상을 알아가는 것이니깐요.

여: 네. 자신의 모국어가 아닌 외국어를 배우게 된 데는 모두 나름대로의 이야기가 있겠습니다만 김진곤 원장이 중국어를 배우게 된 데는 중한 수교와도 연관된다고 하겠습니다. 함께 보시죠.

김진곤 원장(영상): 문화원장이 되어 중국에서 이렇게 오랫동안 근무하게 될 거라고는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개인적으로 대학 때 법을 공부했기 때문에 한자는 쓰고 이해했지만 말로 할 수 없었습니다. 공무원생활을 하면서 마찬가지였고 2003년 중국에 여행을 왔을 때 가이드가 가르쳐주었던 니하오, 츠판러마 이런 몇 가지 정도만 할 줄 알았지 중국어 자체를 몰랐습니다.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영국에 한국정부자금으로 2년간 유학했는데 그 동안 한편으로는 영어 공부를 하고 논문도 쓰고 시간적 여유가 있어서 남는 시간에 뭘 할까 고민하다가 영어는 이미 20년을 했는데 여기서 영어공부를 더 한다고 해서 인생에 큰 차이가 없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 때 영국에 와보니 중국이 국제적으로 얼마나 발전하고 얼마나 위상이 높아졌는지를 실감했습니다. 그래서 앞으로 중국에 관심을 가지고 중국어를 할 수 있으면 공무원 생활을 하는데도 도움이 되고 공무원 생활을 그만 둔 후에도 개인적으로 엄청난 도움이 되겠다는 판단을 하고 영국에서 조금씩 중국어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그것을 바탕으로 2016년에 한국에 들어와서 2017년 초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중문과 3학년에 편입했고 2년 공부해서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했습니다. 그 때 이미 외교관으로 중국에 나가자는 꿈을 꾸었죠. 그 당시 HSK시험체제로 보면 대학에 가는데 6급이 필요했고 직장에서 외교관으로 일할 수 있는 등급이 7급을 필요했습니다. HSK가 문법, 독해 등 여러 가지 분야가 있었는데 한 과목만 60점 밑으로 내려가면 안 되었습니다. 처음 5급 두 달 후에 6급, 또 다시 세 번째 쳐서 7급을 했습니다. 그 때 제 나이가 45살 정도 됐는데 시험을 치러 가니 선생님이 저보고 학부모인줄 알고 학부모는 여기까지 오고 안으로 못 들어간다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학부모가 아니라 학생이다 수험생이다 하고 들어갔던 기억이 있습니다.

남: 언어 전공이 아니면서 중국어를 거의 20년 동안 배우고 익혔으니 김진곤 원장은 명실공히 중국통이고 또 주중한국문화원 원장으로 적격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여: 문화원은 이름 그대로 문화교류에 취지를 두고 있죠. 중국에 한국문화원이 있듯이 한국에도 중국문화원이 있는데요 계속해서 문화원의 역할에 대해 들어볼까요?

김진곤 원장(영상): 문화원이 하는 역할은 세 분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첫째가 한국문화를 가르치는 기능, 강좌, 영어로 아카데미입니다. 가르치는 것은 첫째 한국어, 우리 말, 그 다음 중국인들이 좋아하는 한국요리, 또 우리 국악, 그리고 태권도 등등 한글 서예도 가르치고 케이팝, 음악도 가르칩니다. 둘째가 문화활동입니다. 현재 1층에서 한국전시를 하는데 매 주 금요일 오후 7시에는 또 한국영화를 상영하고 있습니다. 전시, 영화상영, 음악회, 패션쇼 등 문화활동, 이벤트가 있습니다. 세 번째 중요한 기능 중 하나가 한국의 정보를 한국의 자료를 중국인들에게 제공하는 것입니다. 한국을 알고 싶어하는 중국인들에게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2층의 자료실, 도서관입니다. 이 곳에서 중국인들이 한국 책을 보고 정기 간행물을 보면서 한국의 정보를 알아 볼 수 있으며 또 홈페이지, SNS, 위챗, 웨이보 등을 통해서 한국정보를 알리는 작용을 합니다.

남: 제가 한국에 근무하는 동안 주한중국문화원을 가본적이 있는데 주한중국문화원의 기능도 유사합니다. 중국에 관한 전시를 통해 한국인들에게 중국의 모습을 보여주고 무료 교육 프로그램으로 중국어를 가르치기도 하며 또 중국의 고전악기도 가르치고 서예와 경극을 망라해 다양한 행사를 후원하거나 개최하기도 합니다.

여: 네. 문화원은 아카데미, 이벤트, 인포메이션, 이런 역할을 통해 양국의 교류추진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남: 올해는 양국 수교 30년이라 양국 문화원은 코로나 19상황에서도 다양한 행사를 많이 개최되고 있죠.

여: 그렇습니다. 주중한국문화원은 올해 주로 어떤 행사를 하는지 직접 들어보죠.

김진곤 원장(영상): 올해가 수교 30주년인데 코로나 상황으로 안 하고 있으니 너무 마음이 허전해서 한국문화체육관광부에 특별히 요청해서 북경에 3,4개월 올 하반기 내내 상주할 수 있는 예술단을 보내달라고 요청했는데 한국에서 그 요청을 받아 들여 예술가 11명을 선발했습니다.  24일 한중 수교 30년 기념 경축 리셉션이 있는데 그 때 그 분들이 활동하고 그 이후에는 중국 각지의 한국 총 영사관에서 와 달라고 요청이 쇄도해서 중국 전역에서 활동하게 될 것입니다. 하반기에 문화원의 가장 큰 활동은 그 분들을 잘 모시고 중국 전역을 다니면서 한국문화를 잘 알리는 역할이 될 것입니다.

남: 예술에는 국경이 없다지만 나라나 민족마다 고유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니 훌륭한 교류가 되리라 믿습니다. 예술의 특징에 대해 언급했으니 하는 말입니다만 산과 물이 잇닿아 있는 지리적 이점과 유구한 교류역사를 보유한 중국과 한국은 문화가 유사하지만 같은 것은 아닙니다.

여: 그렇습니다. 김진곤원장은 비슷하면서도 다른 양국의 문화를 상대국 국민들에게 소개하는 것 역시 자신의 역할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함께 보겠습니다.

김진곤 원장(영상): 저의 역할은 중국에 있을 때는 중국인들에게 한국을 알리는 것이고, 한국에 들어가면 역할이 바뀌어 한국분들에게 중국의 문화를 소개하는 이 것이 저의 역할입니다. 중국에 있으면서 중국 학생들을 상대로 한국문화를 소개하는 강연을 하기도 하고 한국 가서는 한국인들에게 중국을 소개하는 강연을 합니다.

제가 하는 가장 큰 주제는 화이부동의 한중문화입니다. 화이부동은 논어에 공자가 한 말이죠. 군자는 조화롭게 지내지만 똑 같지가 않고 소인은 동이부화, 즉 소인은 똑 같은 행동으로 하면서도 화기롭게 지내지 못하다는 내용입니다. 물론 제가 말하는 화이부동과 공자의 화이부동은 차원이 다른데요 왜 한중문화를 화이부동이라고 진단하냐면, 화는 비슷하다, 유사하다는 의미이고 한중문화는 처음 보면 큰 차이가 없는 문화처럼 보여 화라 할 수 있지만 더 구체적으로 들여다 보면 다릅니다. 그래서 한중문화에 대한 진단을 화이부동이라 했습니다.

진단이 있으면 처방이 있어야 합니다. 처방은 서로 한중간에 비슷하고 같은 문화가 있으면 “자꾸 우리 서로 같은 문화가 있다. 한국인도 한자를 알고 중국인도 바둑을 두고 한국도 바둑을 둔다. 중국에도 서예가 있고 한국에도 명칭이 다를 뿐 서예가 있다. 그리고 중국에도 차문화가 있고 한국에도 차문화가 있다” 이렇게 같은 것은 계속 서로 내세워서 우리가 문화를 같이 하는 이웃이라는 것을 자꾸 강조해야 됩니다. 조금 민감하고 조금 다르고 이견이 있는 것은 서로 수면에 떠오르게 할수록 불편해지니 이것은 가급적이면 내려놓자, 이 것이 중국에서 말하는 구동존이입니다. 같은 것은 자꾸 추구하고 다른 것은 내려놓는 이 것이 중국외교의 한 가지 지혜라고 할 수 있는데 우리 한중간에도 같은 것은 계속 내세우고 다른 것은 서로 인정하고 존중하면 됩니다. 한국에서든 중국에서든 제가 하는 강연의 가장 핵심주제는 화이부동과 구동존이입니다. 이것이 일관적으로 이야기하는 주제입니다.

남: 중국과 한국간에 유사하면서도 서로 다른 문화를 화이부동의 자세로 대하고, 같은 것은 추구하고 다른 것은 내려놓는 구동존이의 자세로 교류에 임하면 향후 30년, 더 나아가서 긴 시간 중국과 한국의 문화교류가 더 빨리 추진되고 양국관계도 계속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발전을 가져올 것입니다.

여: 그렇습니다. 김진곤 원장은 또 윈윈이 가장 보편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부분이 문화영역이라고 부연 설명했습니다.

김진곤 원장(영상): 중국인들이 제일 좋아하는 말 중에 하나가 바로 共赢(상생)인데 나도 승자가 되고 너도 승자가 되는 이 윈윈이 문화영역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구현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가 가지고 있는 핸드폰을 누구에게 주면 그 사람에게는 생기고 나에게는 없어지는데 이는 제로섬 게임입니다. 사물의 세계에서는 하나를 누군가 가지면 다른 누군가는 잃을 수 밖에 없는 세계인 것입니다. “무에서 유가 생긴다. 무에서 유가 생긴다”는 그런 개념보다는 유가 있으려면 무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니다. 이 세상의 원리를 보려면 하나가 생기려면 한 쪽에서는 없어져야 되는 이 것이 제로섬입니다. 그렇지만 이제는 콘텐츠가 생겼습니다. 예를 들어 제가 가지고 있는 음악 파일을 누구에게 위챗으로 보내 주면 여기 유가 생겼고, 나에게도 그대로 유가 있습니다. 이것을 유생유라 할 수 있고 이게 윈윈의 세계입니다. 앞으로 한중간에 물론 무역도 상호 보완하면 얼마든지 윈윈이 되고 가장 윈윈이 크게 잘 되는 분야에 문화영역이고 콘텐츠 영역입니다.

남: "무에서 유가 생기는 것이 아니라 유에서 유가 생기는 윈윈의 분야가 바로 문화영역이다."라는 중국통으로서 김진곤원장의 독특한 견해군요.

여:  그렇습니다. 중국과 한국의 30년을 지켜본 김진곤 원장은 또 미래 30년의 새로운 발전을 위해서는 문화적 공통점이 심리적 공통점을 강화하는 쪽으로 작용해야 한다고 하면서 문화에서는 주인의 개념보다는 주인공의 자세를 가지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남:  "주인의 개념이 아니라 주인공의 자세를 가져야 한다” 문화적인 주장인데요 함께 들어보죠.

김진곤 원장(영상): 앞으로 미래 30년의 새로운 발전을 위해서는 문화적 공통점이 심리적 공통점을 강화하는 쪽으로 작용해야지 이것이 충돌로 가서는 안 됩니다. 사실 문화에는 주인의식은 필요하지만 주인 주장을 하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문화는 내가 이 문화의 주인이라기보다는 내가 이 문화의 주인공이다 라는 의식이 필요합니. 바둑을 예로 들면 바둑이 한국 것이냐 중국 것이냐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바둑을 둘 줄 모르면 주인공이 못 되고 나는 바둑을 둘 줄 아니 바둑의 주인공이 되는 것입니다. 중국문화를 또 하나 예를 들면 제가 중국에 와서 다시 공자도 공부하고 맹자도 공부하고, 순자고 공부하고 있으니 그 문화의 주인공은 내가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문화에는 네꺼다 내꺼다 하지 말아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문화는 너의 것이다 나의 것이다 하는 소유욕을 바탕으로 한 주인의 개념이 아니라 나도 잘 한다, 나도 김치 담글 줄 안다. 나는 중국인들보다 공자를 많이 알 수 있어 라는 이런 어떤 오너쉽이 아니라 마스타쉽, 주인이 아니라 주인공의 자세를 가지는 것이 양국이 앞으로 문화를 바탕으로 마음을 바탕으로 더 큰 발전을 이루어 나가는 가장 기본적인 자세가 아닌가 싶습니다.

남: 김진곤 원장의 말처럼 문화와 마음을 바탕으로 하면 향후 30년 중한관계는 더 좋은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여: 네. 김진곤 원장이 미래 중한관계를 어떻게 전망하는지 볼까요?

김진곤 원장(영상): 저는 한국과 중국은 마음으로 통하고 문화가 통하는 유일한 친구라고 생각합니다. 지난 30년 동안 이런 무역 규모가 3천억을 넘는 관계발전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과거에 축적된 교류의 역사, 문화적인 공감대가 있었기 때문에 수천 년 동안 축적된 이런 게 있었기에 그 자양분 하에서 활짝 꽃을 피운 것이지 그게 없었으면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그러한 배경을 보면 앞으로 30년은 과거 30년을 몇 배 뛰어 넘을 수 있는 그런 발전을 이룰 수 있는 것은 당연한 이야기입니다.

남: 옳은 말입니다.

여: 인터뷰 마지막에 김진곤 원장은 유창한 중국어로 향후 중한관계의 더 빠르고 더 좋은 발전을 기대했는데요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김진곤 원장 (영상): 今年中韩建交三十周年,中国和韩国地理相近,文化 相通,人民相亲。两国是文化相通、心灵相通的唯一的朋友。我希望在今后的30周年之际,两国携手一起走向未来,在这方面希望文化园能够做出一些贡献。希望今后通过更活跃的文化交流,两国关系发展和友谊更上一层楼。谢谢。

남: 김진곤 원장의 중국어를 한 번 통역해볼까요? “중국과 한국은 지리적으로 가까이 있고 문화가 서로 통하며 국민의 마음이 가까워 있습니다. 한중 수교 30년에 즈음해 양국이 손 잡고 미래로 나아가기를 바라며 이 분야에서 문화원도 기여할 것이며 향후 더 활발한 문화교류를 통해 양국관계가 더 높은 단계로 발전하기를 희망합니다. ”

여: 통역 잘 하네요. 김진곤 원장의 기대가 바로 모든 중한양국 국민들이 공동으로 기대하는 바일 것입니다.

남: 그렇습니다. 중한 수교 30년에 즈음해 이립을 맞이한 중한 양국관계가 지난 30년간의 발전성과를 기반으로 문화분야는 물론이고 다양한 분야에서 모두 더 빠르고 더 좋은 발전을 이룩해 장기적으로 안정된 미래로 나아가기를 기대합니다.

여: 네. 중한 수교 30년 특별 기획 <중국과 한국의 30년을 지켜보다> 문화편을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남, 여:  청취자 여러분 안녕히 계셔요.

 

(끝)

 

공유하기:
뉴스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