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I소개
게시판
조선어부 소개
 
cri korean.cri.cn/
장가계의 봉황고성(鳳凰古城)
2011-07-07 20:27:18 cri

하북의 여덟 절-외팔묘(外八廟)

중국 북부의 하북성 승덕(承德)시는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피서승지입니다. 승덕에는 또한 절이 하나도 아닌 8개가 있어서 이름을 외팔묘(外八廟)라고 하는데요, 추천코스 그럼 오늘은 저와 함께 승덕의 여덟 절로 여행을 떠납니다.

간주

하북의 외팔묘는 승덕 보녕사(普寧寺) 근처에 있다. 승덕시의 보녕사는 중국 북방에서 이름높은 티베트 불교 사원으로, 기원 18세기의 청나라때에 지어졌다. 보녕사 주변에는 또 풍격이 상이한 절 11개가 있고 그 중 8개 절은 청정부가 직접 관리했기 때문에 "외팔묘(外八廟)"로 불리게 되었다. 내지가 아닌 고북구(古北口)의 북쪽에 위치했다고 해서, 바깥 외(外)자가 붙게 된 것이다.

외팔묘는 1994년 12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외팔묘 중 가장 먼저 세워진 절은 기원 1713년에 건설된 부인사(溥仁寺)와 부선사(溥善寺)이다. 하북성 승덕시 외팔묘 관리처의 관계자 팽준파 선생은 이 두개 절의 유래에 대해 이렇게 소개했다.

음향1

<1713년은 청조 강희(康熙)황제가 60세 생신을 지내는 해였는데, 그 때 내몽골, 외몽골의 생불과 왕들이 황제의 생신을 축하해주었다고 합니다. 강희황제는 고마운 마음을 표시하고 각 민족의 단합을 보여주는 의미에서 열하(熱河)에 부인사와 부선사를 지어주었다고 합니다.>

간주

그리고 보녕사의 사찰관리 관계자인 왕휘 선생은 당시 중국 각 민족들은 아주 단합되고 융합되었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음향2

<당시 청나라가 중원(中原)을 토대로 통일된 강산을 세운 후 청나라 황제는 국가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민족의 융합과 단합임을 깊이 알게 되었습니다. 그는 당시 유목민족과 농경민족이 함께 살아가는 곳이었던 승덕은 민족간에 서로 부딪치고 서로 유대가 되는 곳이었고, 그 때 몽골족과 티베트족들은 모두 티베트 불교를 신앙했기 때문에 강희황제는 승덕 피서산장 동쪽에 라마절인 부인사와 부선사를 지어주었습니다.>

간주

따라서 부인사와 부선사 이 두 절은 당시 각 민족의 단합과 융합을 대표하는 절이기도 했다. 건륭(乾隆)황제가 즉위한 후 그도 강희황제의 방법을 배워 승덕에 절 10개를 지었는데, 건륭황제가 지은 절 10개 중 가장 먼저 세워진 것이 보녕사입니다. 보녕사의 건설은 중국민족 단합사에서 아주 중대한 사건이라고 할 수 있는데, 보녕사 관리처 왕휘 처장의 말이다.

음향3

<보녕사는 즁갈반란의 평정을 기념하기 위해 지어진 것입니다. 그 사건을 계기로 향후 사회가 안정되고 천하가 안녕하며 영원히 태평할것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이름을 넓을 보, 편안할 녕, 절 사자를 써서 보녕사라고 이름을 지었다고 합니다.>

간주

건륭 20년과 22년에 즉 기원 1755년과 1757년에 청나라정부는 선후하여 오이라트 몽골즁갈부 두목 다와치와 아무르싸나가 일으킨 반란을 평정하고 국가의 통일과 영토완정을 수호했다. 당시 청나라정부가 각 민족의 융합과 단합을 강조한 가장 대표적인 실례로는 만족과 한족의 통혼을 들 수 있다. 청왕조가 소수민족의 신앙을 존중하고 각 민족의 단합을 첫 자리에 놓았기 때문에 보녕사는 티베트와 몽골 각 지역이 종교 및 정치분야에서 청왕조와 직접 연락하는 주요한 장소로 부상했다. 동시에 보녕사는 건축예술에서도 특이함을 자랑하는데, 왕휘 처장의 말을 들어본다.

음향4

<보녕사는 두개 부분으로 나뉘는데, 보녕사의 앞쪽은 한족 불교사찰의 건축구도인 가람칠당식(伽藍七堂式)이고 그 뒤로 42개 계단을 올라 금강벽(金剛壁)에 이르기까지 티베트 불교의 가장 대표적인 건축풍격이라고 할 수 있는 만다라가 보입니다. 보녕사는 바로 이 두 가지 문화를 자연스럽고 조화롭게 하나로 융합시키고 있습니다.>

간주

가람칠당식과 만다라는 한족과 티베트족의 건축풍격인데, 이 두가지 건축풍격을 보녕사가 한몸에 지닌 것이다.

현재도 보녕사에는 라마승려 80명이 살면서 매일 절의 규정에 따라 공부하고 독경하고 티베트어와 한어, 영어를 배우고 일상에서는 그들의 민족관습을 엄격히 따르고 있다. 올해 41살인 모르근도 스님은 평소 승려들의 학습과 생활을 관리하고 있다. 스님의 말을 들어본다.

음향5

<보녕사의 승려들은 불교의 규정을 엄격히 따르고 있습니다. 정부에서 큰 지지를 해주기 때문에 먹고 입는 등 문제가 잘 해결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사찰에서는 이같은 대우를 쉽게 받을 수 없습니다. 비록 보녕사는 티베트 불교이지만 우리는 민족단합을 위해 한족 불교의 고승도 초청해서 함께 불교행사를 하기도 합니다.>

간주

보녕사 외에도 한족 불교와 티베트 불교의 단합과 조화를 충분히 보여준 두개 절이 있는데, 바로 1771년에 지은 보타종승(普陀宗乘)과 수미복수(須彌福壽)라고 하는 절이다. 이 두 절의 이름은 저만의 깊은 의미를 담고 있는데, 승덕시 외팔묘 관리처의 관계자 이연씨로부터 그 의미를 알아본다.

음향6

<보타종승사는 티베트 라싸의 포탈라궁전을 모방해 지은 것인데요, 건륭황제가 티베트 종교 수령인 달라이 라마를 맞이하기 위해 1771년에 지은 것입니다. 그리고 수미복수사는 티베트 시카제의 자쉬룬포사원을 모방해 지은 절로서 티베트의 다른 종교 수령 벤첸을 맞이하기 위해 지은 것입니다.>

간주

유감스러운 것은 건륭황제가 티베트의 종교 수령 달라이라마를 맞이하기 위해 보타종승사를 지었지만, 결국 달라이는 이 절에 오지 못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 절은 중국 민족단합사상 다른 한 중대한 사건을 견증했는데, 그 사건이 바로 건륭 36년 즉 1771년에 볼가 하류지역에 이주했던 중국 몽골족 토르구트 부락이 짜리 러시아의 박해와 노역살이를 이기지 못해 길고도 고달픈 여정끝에 짜리 러시아 군대의 추격에서 벗어나 다시 조국의 품속으로 돌아온 사건이다.

한편 벤첸은 장장 1년 남짓한 시간을 들여 1만여킬로미터의 고행끝에 결국 수미복수사에서 건륭황제를 만났다고 한다. 그번 사건은 중국 한족과 티베트족 민족단합사상의 일대 장거로 평가되고 있다.

오늘에 이르러 승덕의 외팔묘는 수백년의 풍상고초를 겪었음에도 불구하고새로운 모습을 자랑하면서 국내외 여행객들을 맞이하고 있다.

-끝-


1 2
  관련기사
  리플달기
   Webradio
선택하세요
cri korean.cri.cn
  추천기사

[차이나는 중국] 바오쯔

꿈의 마을 조원

새해가 왔어요~

영상으로 보는 제2회 중한성장지사회의

제2회 중한성장지사회의 베이징에서 개최
중국각지우편번호중국각지전화코드편의전화번호호텔
China Radio International.CRI. All Rights Reserved.
16A Shijingshan Road, Beijing,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