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I소개
게시판
조선어부 소개
 
cri korean.cri.cn/
[노래에 깃든 이야기] –"농민의 노래"
2013-06-05 14:34:05 cri

[노래에 깃든 이야기] – 세번째 곡 - "농민의 노래"

사회자: 오늘은 해방초기에 창작되어 널리 불리운 노래인데요. 기름진 전야에서 들려옵니다. 흥겨운 가락을 준비했습니다.

역시 석화선생님과 함께 합니다. 어서 오세요.

석화: 네. 안녕하십니까.

사회자: 반갑습니다. 흥겨운 가락. 어떤 노래죠?

석화: "농민의 노래"입니다.

사회자: 네. "농민의 노래". 중국 조선족은 지난 1600년대 초엽. 처음 중국에 건너와 개척의 보습을 박은때로부터 장장 3세기가 넘는 이주와 정착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잖아요.

석화: 그렇지요.

사회자: 특히 일제와 또 여러가지 혁명역사적인 흐름속에서 할아버지, 아버지 대로부터 피땀으로 일구어온 밭머리에 처음으로 자기의 이름을 꽂던 그 날이 있잖아요.

석화: 그렇지요. "오늘부터 내 땅입니다." 라고 이름표를 꽂았지요.

사회자: 그렇습니다. 그 감격은 어디에 비길수가 있겠습니까?

석화: 그렇지요.

사회자: 이 땅을 일궈온 역사가 그만큼 힘들었고 또한 이 땅을 가꿔온 세월에 그만큼 따뜻한 정이 깃들어 있기때문이지요.

석화: 그렇지요. 우리가 옛날 프로그램. 옛날 드라마를 보면 "농자 천하지대본"이라는 농기가 휘날리는 것을 볼수 있잖아요. 어차피 농사군은 땅을 떠날수 없는 것이고 그 땅이 자기땅이라고 할때는 얼마나 감격하고 사랑스럽고 벅차겠습니까? 그것이 이뤄어 진것이 해방이었습니다. 1945년 광복이 되고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창건되면서 농민들은 비로서 자기땅을 갖게 된 것입니다.

사회자: 이 노래에 어떤 절절한 사연들이 있는지. 노래 먼저 들으시고 이야기 계속 됩니다.

석화: 좋지요.

사회자: "농민의 노래" 보내드립니다.

[노래 – 농민의 노래] 3'13"

사회자: 네, "농민의 노래" 듣고 돌아왔습니다. 이 노래 창작사연, 창작 과정에 대해 소개해 주시죠.

석화: 네. 다른것은 다 떼어놓고 방금 서두에서 말씀드린것 처럼 농민이 수천년동안 땅에 의지해 살아왔는데 그 땅이 자신의 땅이 되었다는 것은 엄청난 세기적인 소원이거든요.

사회자: 해방초기 자기 땅이 되었습니다.

석화: 그렇습니다. 가사에서도 보시다싶이 "마반산 높은 봉에 아침해 솟고 / 뒤동산 깊은 숲에 뻐꾸기 운다 / 동무야 쟁기 메고 밭갈이 가세 / 에헤야 어서들 밭갈이 가세…"

사회자: 즐거운 기분으로 밭갈이를 떠납니다.

석화: 그렇지요. 그것이 자기 땅이 아니면 그런 흥겹고 그런 기쁨이 나올수 없습니다. 이는 민족사, 그리고 모든 역사가 배경이 되는 것입니다. 두만강을 건너온 사람들이 자기 두손으로 개척한 땅에 모든 운명을 바쳤는데 그것이 자기 땅이 되고 농민이 스스로 자신의 노래를 부를수 있는거지요.

사회자: 당당하게 이 땅의 주인이 되는것이지요.

석화: 그렇습니다. 이 노래는 시인 천청송 선생이 가사를 쓰고 류광준 선생이 곡을 지었습니다. 이 노래 가사를 쓰신 천청송 선생은 1917년 용정에서 태어났습니다. 1937년 용정 광명중학교를 졸업했는데 이 학교 재학시 이미 문학적인 재능을 꽃폈고 많은 주목받은 작품을 발표했습니다. "북향"의 편집원으로 일했습니다. "북향"이란 "북쪽의 고향"이란 말입니다. 조선반도에서 이민 와서 새로운 터전을 가꿔간다는 뜻에서 "북쪽의 고향", "북향"이란 말이고 그 정서를 담은 문학지가 "북향"이라는 문학지입니다. 이 간행물은 1932년 용정에서 무어진 조선문학인 동인단체…

사회자: 지금 말하면 작가협회겠지요?

석화: 그렇습니다. "북향회"라는 작가들의 모임이 있었는데 "북향회"의 기관지가 "북향"이었습니다. "북향회"는 광명중학교…윤동주가 다니던 학교지요. 지금 용정에 그대로 용정중학교 이름으로 남아있고 용정중학교 정원에는 광명중학교 옛 교사건물이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그 건물앞에 윤동주의 시. "서시"가 돌에 세겨져 있습니다. 광명중학교 교원 리주복 등이 당시 간도땅이 조선이주민의 제2의 고향으로 된 상황에서 이곳에 문학을 이룩하자는 취지로 용정지역에서 활동하던 안수길, 강경애, 박계주, 박화성, 모윤숙 등 창작상에서도 상당한 수준에 올라있어 당시의 조선문단에도 이름이 쟁쟁하던 시인. 작가들이 참여한 문학단체입니다. 이분들이 1935년에 "북향" 제1호를 간행하고 1936년에 2~4호를 냈습니다. 바로 이 "북향" 문학간행물에 천청송 시인, 바로 이 노래 가사를 쓴 시인이지요. 천청송 시인이 "꿈 아닌 꿈", "실제" 등 시작품을 발표하고 또 그 시기에 발행하던 "만선일보"에 많은 작품들을 발표했습니다. 또 그 당시 발행되던 많은 신문, 간행물들에 많은 작품들을 발표했습니다. 그중 특히 1942년 김조규가 연길에서 발행한 "재만조선인시집", 그리고 박팔양이 장춘에서 발간한 "만주시인집" 두 시집은 굉장히 큰 의미를 가지는 시집입니다. 이 시집에 모두 작품을 발표하는데 "드메", "서당", "주막", "설야", "강동", "묘지" 등 작품들이 이 시집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천청송의 시작품에는 이처럼 이주민 1세대들의 삶의 모습과 희로애락이 진실하게 담겨져 있으며 함경도 사투리에 기초한 간도농민들의 언어가 잘 구사되어 있고 이 고장 세태풍속이 잘 표현되어 있었습니다. 이렇게 천청송은 그 당시에도 굉장한 시인으로 총망받고 있었습니다. 이 노래를 작곡하신 류광준 선생은 조선 전라북도 전주에서 출생했습니다. 류광준 선생은 1933년 일본 도꾜국립고등음악원을 중퇴하고 중국 길림성 화전현으로 이주하여 사방전자초등학교, 동명초등학교에서 교원으로 사업하셨습니다. 1945년 말에 조선의용군 제7지대 선전대에 음악교원으로 사업하셨습니다. 류광준 선생은 1947년까지 조선의용군 제7지대 선전대와 연변전원공서문공단…

사회자: 지금의 연변가무단 전신이지요?

석화: 맞습니다. 거기서 줄곧 음악교원으로 활동하셨습니다. 그때 만든 작품중 인기작품들이 많은데 "무산대중의 봄", "인민은 무장하자" 등 이런 작품들은 그 시대를 가장 훌륭하게 표현한 작품으로 남아 있습니다. 그때 작곡한 "무산대중의 봄이 왔네"라는 노래는 "농민의 노래"와 함께 중국 조선족들이 새로운 시대를 맞이한 기쁨과 환락 그리고 들끓는 정서를 잘 담아낸 작품으로 지금까지도 명작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사회자: 중국조선족음악사의 대표적 성악곡이라고 말할수 있겠네요.

석화: 그렇습니다. "농민의 노래"의 창작자들인 시인 천정송, 작곡가 류광준, 이분들이 그후 조선에도 가시고 행적도 묘연하지만 노래만은 남아서 이 땅의 가장 아름다운 노래로 역사와 함께 길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사회자: 그렇습니다. 이 땅의 역사와 함께 길이길이 전해지고 있으며 영원한 생명을 얻고 있는 이 노래 – "농민의 노래"를 보내드립니다.

[노래 – 농민의 노래] 3'13"

  관련기사
  리플달기
   Webradio
선택하세요
cri korean.cri.cn
  추천기사

[차이나는 중국] 바오쯔

꿈의 마을 조원

새해가 왔어요~

영상으로 보는 제2회 중한성장지사회의

제2회 중한성장지사회의 베이징에서 개최
중국각지우편번호중국각지전화코드편의전화번호호텔
China Radio International.CRI. All Rights Reserved.
16A Shijingshan Road, Beijing,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