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东光
2021-03-11 10:50:36 출처:cri
편집:金东光

분정항례(分庭抗禮)

图片默认标题_fororder_41.分庭抗礼

글자풀이: 나눌 분(分fēn), 뜰 정(庭tíng), 대항할 항(抗kàng), 예도 례(禮lǐ).

뜻풀이: ①상호간에 대등한 지위나 예의로써 대하다. ②지위가 대등하다. ③상호 대립하다.

출전: 『장자•어부(莊子•漁父)』

유래: 천하를 주유하던 공자(孔子)가 어느 하루는 살구나무가 우거진 치유(緇帷)라는 곳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었다. 제자들은 한곳에 모여 책을 읽고 있었고 스승 공자는 거문고를 타면서 시를 읊없다. 이때 머리와 수염이 하얗고 긴 머리를 늘어뜨린 늙은 어부가 강가에 배를 대고는 왼손을 무릎위에 올리고 오른 손으로는 턱을 괴인채 공자가 하는 노래를 조용히 경청했다. 곡이 다 끝나자 어부는 자공(子貢)과 자로(子路) 두사람을 불러 놓고는 공자를 가리키며 물었다.

“저분은 뭘 하는 사람인고?”

이에 자로가 노(魯)나라의 군자(君子)라고 답했다.

그러니 노인은 “성씨가 무엇인가”고 물었고 자로가 공씨(孔氏)라고 대답했다.

이에 노인은 “공씨는 뭘 연구하냐”고 또 물었다.

자로가 대답을 하지 않자 자공이 이렇게 답했다. “이 공씨성을 가진 분은 충성과 신의를 굳게 지키고 인의를 실천하십니다. 위로는 군왕에게 충성을 다하고 아래로는 백성들을 교화하시면서 천하에 이로운 일을 하십니다.”

어부가 또 물었다. “저 분은 국토를 가진 군주인가요?”

자공이 아니라고 답하니 그럼 왕이나 제후를 보필하는 대신인가고 다시 묻자 자공이 역시 아니라고 답했다.

어부가 웃으면서 배쪽으로 가더니 이렇게 말했다. “이 사람은 인의가 있다고 할수 있겠으나 재앙을 피하기가 어려울걸세. 자신의 몸을 그토록 혹사하여 생명의 근본을 해쳤으니 ‘도(道)’와는 너무 멀리 떨어져 있구나.”

자공이 돌아와서 공자에게 이를 알리니 공자는 거문고를 옆으로 밀어 놓고는 “그 사람은 성인(聖人)이구나.”라고 하며 어부가 있는 곳으로 향했다.

이때 어부는 배에 올라 강가를 떠나려 하다가 머리를 돌려 공자를 발견하고는 배를 멈추고 공자와 마주해 섰다. 공자가 몇걸음 뒤로 물러선 후 두번 읍을 하고는 다시 앞으로 나왔다.

어부가 무슨 일인가고 묻자 공자는 이렇게 말했다. “방금 선생께서 하신 말이 끝나지 않았다고 생각됩니다. 아둔한 저로서는 그 뜻을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 여기서 공손하게 기다림은 선생의 고견을 들어모셔 나에게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어부가 “당신은 정말 배우기를 즐기는 사람이군요.”하고 말했다.

공자가 다시 읍을 하고는 “저는 어릴때부터 지금까지 공부를 하다보니 어언 69살을 먹었으나 아직까지 깊은 도리를 들은 적이 없으니 어찌 허심하게 가르침을 청하지 않겠습니까?”하고 말했다.

어부는 도가(道家)의 철학적 이치에서 출발해 깊은 도리를 말해주었다. 그 내용은 주로 공자에게 자기가 해야 할 일이나 할수 없는 일을 하지 말며 반대로 없는 일을 찾아서 하는 것 역시 자신에게 재앙을 가져오고 몸의 근본을 해칠수 있다는 것이었다.

어부의 말이 끝난 후 공자는 선생께서 어디에 거주하는지 물었고 기회가 되면 찾아뵙고 학문의 이치를 더 사사받고 싶다고 말했다. 허나 어부는 갈대가 가득한 강기슭을 향해 배를 몰아갔다. 공자는 한참동안이나 강기슭에 서 있었으며 노젓는 소리가 들리지 않아서야 원래 자리로 돌아갔다.

자로가 스승에게 물었다. “저는 스승께서 이렇게 존경을 표하는 분은 처음 보았습니다. 크고 작은 나라의 군주나 국왕들도 스승님을 보면 평등한 예절도 대해 주었습니다.(분정항례) 스승께서는 그들을 만나서는 자부심을 잃지 않으셨습니다. 헌데 늙은 어부를 만나셔서는 허리를 굽히고 말씀을 나눌 때는 먼저 읍례를 하시니 이는 너무 지나친 것이 아닙니까? 어찌 초야의 어부를 스승께서는 이토록 겸손하게 대하시는 겁니까?”

이에 공자가 이런 말을 남겼다. “연장자를 만나 공경한 태도를 취하지 않는다면 이는 실례로 되고 현자(賢者)를 만나 존경을 표하지 않는다면 이는 어질지 못함이다. 어부가 큰 이치를 깨우쳤으니 내가 어찌 존경하지 않겠느냐?”

이는 진(秦)나라 이전의 도학사상과 사회관점을 말해주기 위한 우화이야기로 그런 일이 있었는지는 알수 없다. 원문에서는 “분정항례(分庭伉禮)”라고 되어 있으나  “分庭抗禮”로도 많이 쓴다.

 

공유하기:
뉴스 더보기 >
기타 플랫폼
CMG와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