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东光
2021-10-02 19:24:33 출처:cri
편집:金东光

추염부세(趨炎附勢)

추염부세(趨炎附勢)_fororder_112趋炎附势

◎글자풀이: 달릴 추(趨qū), 불꽃 염(炎yán), 붙을 부(附fù), 권세 세(勢shì).

◎뜻풀이: 권세 있는 자에게 나아가 아부하며 빌붙다.

◎출처: 원(元) 탈탈(脫脫) 등 저 『송사•이수전(宋史•李垂傳)』

 

◎유래: 송진종(宋眞宗) 때 료성(聊城 지금의 산동성 경내)사람인 이수(李垂)가 진사(進士)에 급제하고 선후로 저작랑(著作郞), 관각교리(館閣校理) 등 관직을 지냈다. 그는 “도하형승서(導河形勝說)”라는 책을 썼는데 옛 물길을 정비하는 것과 관련해 많은 유익한 건의를 적었다.

이수는 재능이 출중했을 뿐만 아니라 사람됨이 정직했으며 당시 관리들속에서 만연하던 아부하는 풍기에 대해 매우 반감을 가지고 있었는지라 중용을 받지 못했다. 당시 재상이던 정위(丁謂)는 윗사람에게 아부하는 졸렬한 방법으로 진종의 총애를 받았다. 그는 권세를 휘둘러 자신을 배척하는 세력을 제거하고 조정의 대권을 한손에 거머 쥐었다. 이렇게 되니 승진을 하려는 자들은 정위를 떠 받들기에 급급했다. 어떤 사람이 이수에게 왜 한번도 정위 재상을 찾아가지 않는가고 물으니 그는 이렇게 대답했다.

“정위는 재상의 신분이지만 일을 공정하게 처리하지 않고 게다가 권세를 이용해 남을 누르니 이는 조정의 부탁과  백성들의 기대를 저버린 것이다. 내가 왜 이런 사람을 찾아가야 한단 말인가?”

이 말을 전해들은 정위가 크게 노해 구실을 찾아 이수를 외직으로 내보냈다.

송인종이 즉위한 후에는 정위가 실세를 하고 관직이 강등되어 먼곳에 가서 임직하게 되었으나 이수는 오히려 조정의 부름을 받고 도읍으로 귀환했다. 그를 관심하는 벗들이 이렇게 말했다. “조정의 일부 대신들이 자네의 재능을 알고 지제고(知制誥 황제의 조서를 작성하는 관원)로 천거하려 한다네. 헌데 지금의 재상께서 아직 자네를 모르시니 한번 찾아가 인사를 드림이 어떠한가?”

이에 이수가 이런 대답을 했다. “만약 30년전에 내가 그때의 재상인 정위를 배알했다면 한림학사(翰林學士 황제의 최측근 고문 겸 비서관)가 되고도 남았을거네. 나는 이제 나이가 든 몸인지라 대신들이 일처리를 공정하게 하지 않으면 늘 면전에서 지적하군 한다네. 내가 어찌 권세있는 자에게 아부하고 빌붙으며 다른 사람의 수족처럼 행동해 그들의 천거를 받는단 말인가?”

이수의 이 말이 얼마후 재상의 귀에까지 들어가니 결국 이수는 또다시 도읍에서 밀려나 지방관리로 발령나게 되었다. 

공유하기:
뉴스 더보기 >
기타 플랫폼
CMG와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