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东光
2022-02-15 15:55:57 출처:cri
편집:金东光

부득인심(不得人心)

图片默认标题_fororder_13.不得人心

글자풀이: 아니 부(不 bù), 얻을 득(得 dé), 사람 인(人 rén), 마음 심(心 xīn)

뜻풀이: ①인심을 얻지 못하다. ②사람들의 미움을 사다.  

출전:  5대•후진(五代•後晉) 류구(劉昫) 등 『구당서•가서한전(舊唐書•哥舒翰傳)』

유래: 당현종(唐玄宗) 때 범양절도사(范陽節度使) 안록산(安祿山)이 10만의 군사를 이끌고 반란을 일으켜 중원 일대를 점령했다. 조정에서 봉상청(封常淸), 고선지(高仙芝) 두 장군에게 군사를 내주어 토벌케 했으나 태평성대를 오래 누렸던 지라 병사들이 평시에 조련을 제대로 하지 않아 전투력이 매우 낮았다. 그 결과 안록산의 군대와 접전하자마자 연이어 패전을 하고 동관(潼關)에 퇴각해 성을 지켰다. 이에 현종은 집에서 병치료를 하고 있던 평서군왕(西平郡王)이며 하서절도사(河西節度使)인 가서한을 불러 점점 가까워지는 반란군을 막으라고 했다.

    가서한은 안록산이 겉으로는 간신 양국충(楊國忠)을 없앤다고 반란이유를 말하지만 그 속셈은 당나라의 강산을 차지하는 것으로 인심을 얻지 못할것이라고 분석했다. (부득인심) 그는 분화와 와해수단을 사용해야 함을 주장하면서 먼저 출전을 하지 않고 있다가 반란군 내부에서 내홍이 생기면 유리한 시기를 택해 성을 나가 한꺼번에 적군을 쓸어버려야 한다고 계책을 내놓았다.

    그러나 현종은 “반란군의 방비가 허술하다”는 말을 믿었고 여기에 가서한이 병권을 잡고 있는 것이 자신에게 불리하다고 여긴 양국충이 여러번 황제에게 주청을 드려 가서한의 출병을 재촉했다. 현종이 보낸 전령이 연이어 들이 닥쳐 가서한에게 출격할 것을 명하는 교지를 전했다. 가서한이 할수 없이 군사를 이끌고 출격했으나 그 결과 안록산군에 크게 패하고 가서한도 잡히는 몸이 되었다.

공유하기:
뉴스 더보기 >
기타 플랫폼
CMG와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