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명인
[장량 편-1] 스승을 만나다
박랑사(博浪沙)라는 시적인 분위기의 지명은 장량이 죽음도 두려워하지 않고 필부의 힘으로 진시황제(秦始皇帝)를 저격한 것으로 인해 유명해지고 그로부터 후세에 길이길이 남게 되었다...
2023-12-11 10:14:49
[한신 편-4] 狡兎死, 良狗烹로 삶을 마감하다
한신은 전문 초(楚)와 한(漢)의 전쟁을 위해 태어났다고 할 수 있다. 한신이 지휘하는 전투는 마술처럼 눈부셨고 모든 작전은 사람들의 감탄을 자아냈다...
2023-12-07 11:09:26
[한신 편-3] 四面楚歌로 전쟁의 신이 되다
한신이 손을 펴기 시작하자 천 년의 고사가 만들어졌다. 겉으로는 잔도를 복구하는 척하며 몰래 진창을 건너 손쉽게 관중을 탈취한다는 의미의 ‘명수잔도(明修棧道), 암도진창(暗渡陳倉), 경취관중(輕取關中)’이 바로 그러하다...
2023-12-06 11:06:53
[한신 편-2] 國士無雙의 대장군으로 올라서다
달빛은 몽롱하고 밤 바람은 쌀쌀했다. 소하(蕭何)는 반나절이나 말을 질풍 같이 달려 산 어귀에 이르러서야 끝내 한신을 따라잡았다...
2023-12-05 11:04:23
[한신 편-1] 舿下之辱을 겪고 큰 뜻을 다지다
그는 불량배의 가랑이 밑을 지나가는 과하지욕(舿下之辱)을 당하고도 참았다. 그는 빨래하는 아낙네로부터 받은 밥 한끼를 잊지 않았다...
2023-12-04 11:00:50
[항우 편-4] 영웅의 말로를 걷다
서초패왕 항우는 과연 천재적인 군사가였다! 3만명의 군사가 사나운 범처럼 산을 내려 대지를 삼킬 듯 한 기세로 팽성을 공격하자 잔치를 베풀고 음주를 즐기던 한(漢)나라 군대는 반나절 만에 성을 나가 도주했다...
2023-11-30 09:47:08
[항우 편-3] 민심을 잃다
홍문연(鴻門宴)의 이야기는 널리 알려져 있다. 이야기 줄거리를 간단하게 되풀이 하면 다음과 같다...
2023-11-29 09:44:09
[항우 편-2] 삶의 정상에 서다
조(趙) 왕 갈(歇)은 진나라 장군 장한과 그의 군대를 피하기 위해 진여(陳馀) 장군, 장이(張耳) 상국(相國)과 함께 거록성(巨鹿城)으로 달려갔다...
2023-11-28 09:41:50
[항우 편-1] 봉기의 기반을 닦다
진나라에 반항하는 불길이 점점 더 세차게 타오르고 도처에서 반군의 깃발이 휘날렸다. 난을 피해 오중(吳中)에 있던 항량(項梁)도 기회를 기다렸으나 수중에 아무도 없었다...
2023-11-27 09:39:07
[이사 편-4] 자업자득으로 비운의 삶을 마감하다
진승(陳勝)과 오광(吳廣)이 대택향(大澤鄕)에서 농민들을 주도해 봉기를 일으켰다. 이에 산동(山東)의 호걸들이 너도나도 그들의 호소를 따라 진나라 반대의 물결이 점점 세차지고 진나라는 바람 앞의 촛불처럼 위태로웠다...
2023-11-23 09:20:14
[이사 편-3] 양심을 버리고 조서를 위조하다
시황제는 이번 순시에도 좌승상 이사를 따르게 하고 함양은 우승상 거질(去疾)이 지키게 했다. 시황제의 20여 명 아들 중 놀기를 좋아하는 열여덟 번째 아들인 호해(胡亥)가 같이 가겠다고 떼를 쓰는 바람에 시황제는 호해의 동행을 윤허했다...
2023-11-22 09:17:07
[이사 편-2] 부귀영화를 누리며 전전긍긍하다
이사의 장남 이유(李由)는 삼천군(三川郡)의 군수(郡守)로 있었다. 이유가 휴가차 함양으로 돌아오자 이사는 자택에서 큰 잔치를 베풀었다...
2023-11-21 09:13:19
[이사 편-1] <간축객서>로 반전에 성공하다
전국(戰國)시기 진(秦)나라의 유명한 정치가이자 문학자, 서예가인 이사(李斯)는 진나라의 천하 통일을 위해 크게 기여했고 통일 후 문자와 도량형 등의 통일을 위해서도 크게 기여했다...
2023-11-20 09:09:06
[몽염 편-4] 억울하게 사라진 충성의 영혼
황제가 또 조서를 내렸다. 조서를 받은 부소와 몽염은 마른 하늘에 날벼락을 맞은 듯 했다...
2023-11-16 09:47:51
[몽염 편-3] 통일국가의 표준 도로 건설
만리장성을 다 쌓기도 전에 몽염은 벌써 얼굴이 수척해지고 많이 늙어 보였다. 하지만 그는 여전히 우아한 기질과 고상한 품위, 멋진 풍채를 자랑했다...
2023-11-15 09:45:39
[몽염 편-2] 평화시기 만리장성 축조
몽염 장군은 선비의 풍모를 갖추었지만 그래도 장수였고 그의 진정한 명작은 웅장한 기세를 자랑하는 만리장성이다...
2023-11-14 09:29:29
[몽염 편-1] 전장에서 붓을 발명
군대를 거느리고 외적을 막고 국토를 확장한 몽염은 진나라의 유명한 장군이지만 문화적 자질도 높아 기존의 붓을 개량해 진필(秦筆)이라는 붓을 발명함으로 붓의 아버지라 불리기도 한다...
2023-11-13 09:26:51
[이빙 편-4] 도강언, 곡창을 만들다
도강언의 상류에는 높이 걸린 철삭교가 민강의 양안을 연결하며 웅장함을 자랑한다. 이빙과 이랑은 흐뭇한 기색으로...
2023-11-09 16:06:27
[이빙 편-3] 산을 뚫어 물길을 내다
이빙은 세밀한 조사를 통해 호두암(虎頭岩)과 연결된 바위산 이퇴(離堆)산을 개착하기로 결정했다...
2023-11-08 16:03:46
[이빙 편-2] 둑을 쌓아 물길을 나누다
이빙은 관현의 민강 굽이돌이에 서서 한 손에 삽을 들고 한 손으로 민강을 가리키며 인부들에게 말했다...
2023-11-07 16:01:03
[이빙 편-1] 청사진을 그리다
그는 성도(成都) 벌판을 흐르는 민강(岷江)을 다스리기 위해 도강언(都江堰)이라는 수리 및 관개시설을 축조했다...
2023-11-06 15:57:07
[상앙 편-4] 변법은 남고 상앙은 죽다
상앙은 상군(商君)으로 봉해진 후 당시의 양사지풍(養士之風) 영향을 받아 자신의 저택에도 많은 빈객(賓客)을 두었다. 어느 날 집에서 빈객들과 잔치를 베풀던 상앙은 취기를 빌어 득의양양해서 이렇게 말했다...
2023-11-02 15:13:02
[상앙 편-3] 진나라의 잃어버린 땅을 되찾다
상앙의 변법이 큰 성공을 거두면서 진효공은 상앙의 말이라면 무조건 따랐다. 상앙이 대량조가 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위(魏)나라는 마릉(馬陵) 전투에서 원기를 상했고 방연(龐涓)이 죽자 더는 나라를 지킬 장군이 없게 되었다...
2023-11-01 15:07:25
[상앙 편-2] 진나라에서 변법에 성공하다
상앙은 환관인 경감의 천거로 진효공에게 제도(帝道)와 왕도(王道), 패도(覇道), 강국(强國)의 네 가지 전략을 제출했다...
2023-10-31 15:04:03
[상앙 편-1] 위나라에서 중용되지 못하다
그가 주도한 변법으로 진나라는 새로운 미풍양속을 형성하고 백성이 잘 살았으며 나라가 강해졌다. 또 그의 사후에도 그가 주도한 변법은 여전히 시행되어 진나라의 중국 통일에 튼튼한 기반을 닦았다...
2023-10-30 15:00:20
[굴원 편-4] <초혼(招魂)>과 송옥
굴원의 시신을 찾지 못한 사람들은 깊은 슬픔에 잠겼다. 굴원에게 미음을 만들어주었던 그 처녀는 원래 무당인 아월(阿月)이었다...
2023-10-26 11:03:02
[굴원 편-3] <회사(懷沙)>와 멱라수
달빛 한 점 없고 바람만 부는 어두운 밤, 멀리서 천둥소리가 은은하게 들려왔다. 영도(郢都) 교외의 한 별장에는 촛불이 흐느적거리고 그림자가 일렁이고 있었다...
2023-10-25 10:57:46
[굴원 편-2] <사미인(思美人)>과 초회왕
그때 나는 초왕(楚王)에게 제(齊)나라와 연합해 진(秦)나라에 대항하는 계책을 냈다. 내가 금방 제나라에서 돌아오자 변덕이 특기인 소인배...
2023-10-24 10:51:29
[굴원 편-1] <천문(天問)>과 어부
평생 벼슬길에서 낙담하고 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며 나라 잃은 슬픔에 스스로 삶을 마감하지만 수많은 불후의 명작을 남긴 그, 사람들은 그를 사부(辭賦)의 종주(宗主)라 부른다...
2023-10-23 10:41:51
[맹자 편-4] 은퇴, 그리고 복귀
맹자의 모친이 유명을 달리했다. 3년 간 모친의 묘소를 지키고 제(齊)나라로 돌아온 맹자는 그때서야 제왕(齊王)이 연(燕)나라에 내란이 일어난 기회를 타서...
2023-10-19 11:04:44
[맹자 편-3] 호연지기, 그리고 군신관계
인생은 앞날을 예측할 수 없다. 그래서 가끔 앞길이 보이지 않다 가도 또 갑자기 운수가 트이기도 한다...
2023-10-18 11:02:00
[맹자 편-2] 이익, 그리고 왕도
위나라 혜왕이 맹자를 바라보니 허름한 유복(儒服)과 유관(儒冠)이 맹자의 큰 키의 마른 몸을 감싸고 수염이 더부룩한 맹자의 얼굴에는 피곤기가 가득 담겨 있었다...
2023-10-17 10:59:47
[맹자 편-1] 휴처, 그리고 인의
전국(戰國)시기의 유명한 사상가이자 유가(儒家)의 대표인물인 맹자(孟子)는 “백성이 가장 귀하고(民爲貴) 사직이 그 다음이며(社稷次之) 군주는 가볍다(君爲輕)”라는 민본사상을 제출하고 지배자들의 책임은 백성들이 잘 먹고 잘 살게 하는 것이라는 왕도정치를 주장했다...
2023-10-16 10:57:40
[손빈 편-4] ‘손빈병법’, 유종의 미
마릉전투를 통해 제나라는 널리 명성을 떨치고 위나라는 그로부터 주저앉아 다시는 궐기하지 못했으며 손빈은 더욱 청사에 길이 이름을 남겼다...
2023-10-13 15:23:29
[손빈 편-3] ‘감조지계’, 완벽한 복수
제위왕이 붕어하고 태자 피강(辟疆)이 즉위하니 그가 바로 제선왕(宣王)이다. 그 해 한(韓)나라가 정(鄭)나라를 멸하고 도성을 형양(滎陽)으로 천도했다...
2023-10-12 15:21:30
[손빈 편-2] ‘위위구조’, 복수극의 서막
제위왕은 손빈과 병법을 논하면서 그에 감탄하고 그와 의기투합함을 느꼈다. 이 때 순어곤이 조(趙)나라 사신을 데리고 들어왔다...
2023-10-11 15:17:07
[손빈 편-1] ‘전기새마’, 화려한 등장
그는 역사적으로 유명한 두 차례의 전투, 계릉(桂陵)전투와 마릉(馬陵)전투에서 동일한 전술로 동일한 적을 두 번이나 격파했으며 이 두 차례의 전투는 또한 중국 지략전술의 대표이기도 하다...
2023-10-10 15:13:25
[오기 편-4] 장렬한 최후
초나라와 오기에게 불행이 찾아왔다. 변법이 초보적인 성과를 거두어 초나라가 부국강병의 목표를 향해 나아갈 때 변법의 시행을 전폭적으로 지지하던 초도왕이 갑자기 붕어했다...
2023-09-28 09:21:51
[오기 편-3] 변법의 실행
오기가 위나라를 떠난 후 위나라는 국력이 날로 쇠락하다가 방연(龐涓)이 한(韓)나라와의 마릉도(馬陵道) 전역에서 전사한 후 군사력이 바닥으로 떨어져 그로부터 다시는 흥기하지 못했다...
2023-09-27 09:19:31
[오기 편-2] 생활속의 반성
초나라에 이른 오기는 궁중에 들어가기에 앞서 객사에 머물렀다. 밤이 되자 객사의 침상에 누운 오기는 기분이 엉망이 되었다...
2023-09-26 09:17:15
[오기 편-1] 용병술의 달인
그는 충성심 하나로 28년간 위(魏)나라에서 벼슬하는 동안 도합 일흔 여섯 번에 걸쳐 출정했다. 그 중 예순 네 번은 승전고를 올리고 열 두 번은 무승부였으며 종래로 전쟁에서 패한 적이 없는 그는 천하무적의 용감함과 절세의 무공으로 사람들의 감탄을 자아냈다...
2023-09-25 09:10:49
[장자 편-4] 자유의 영혼
장자가 집으로 돌아온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아내가 과로로 병사했다. 조문하러 온 혜시는 장자가 양반다리를 하고 앉아 동이를 두드리면서 노래를 부르는 것을 보고 장자를 꾸짖었다...
2023-09-21 10:42:36
[장자 편-3] 무위이치의 이야기
장자는 두문불출하고 집에서 글을 쓰느라 밖에서 어떤 큰 일이 일어났는지 전혀 모르고 있었다. 사실 그 때 초(楚)나라가 송(宋)나라를 멸하려 출병을 준비하고 있었다...
2023-09-20 10:40:19
[장자 편-2] 꿈에 사귄 해골
한 번은 장자와 그의 제자가 조(趙)나라에서 돌아오는 길에 넓은 단풍 나무 숲을 지나다가 하늘 높이 치솟은 거목을 발견하게 되었다...
2023-09-19 10:36:21
[장자 편-1] 자유로운 거북이
전국(戰國)시기의 사상가이자 철학자이며 문학가인 장자의 사상은 수천년 동안 사람들의 감탄을 자아내고 있다. 깊이를 알 수 없는 신묘함과 자유로운 영혼으로 사람들을 매료시킨 장자는 중국에서 가장 활달한 사람이며 가장 영성이 있는 철학자이다...
2023-09-18 10:31:23
[편작 편-4] 전지전능한 의술
위나라를 떠난 편작은 또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며 계속 사람을 구했다. 한단(邯鄲)에 이른 편작은 여인을 중시하는 그 곳의 풍속을 보고 부인과 전문의를 담당했다...
2023-09-14 10:09:06
[편작 편-3] 정확한 진맥(診脈)
편작이 죽은 사람을 살렸다는 이야기가 위(魏)나라에 전해지자 위문왕(魏文王)은 아무런 병도 없으면서 편작을 불러 웃으며 물었다...
2023-09-13 10:06:56
[편작 편-2] 감탄을 자아내는 문진(問診)
병세를 묻는 것을 통해 질병을 진단하는 편작의 문진(問診)은 더욱 감탄을 자아낸다. 한번은 편작이 곽성(郭城)에 이르니 집집마다 문 앞에 제사상을 차려놓고 제물에는 향을 피워 온 도시에 향불연기가 자욱했다...
2023-09-12 10:03:49
[편작 편-1] 절묘한 망진(望診)
그가 창설한 ‘망(望) 문(聞) 문(問) 절(切)’네 가지 진단법은 중국의 임상 진단과 치료 방법의 기반이 되었으며 그로 인해 그는 중국 전통의학과 중의(中醫)이론의 창시자로 인정된다...
2023-09-11 10:00:54
[묵자 편-4] 죽음, 그리고 겸애와 비공
묵자는 동분서주하며 가난한 평민을 도와주고 의롭지 않은 전쟁을 막는 동시에 가는 곳마다 연설을 통해 묵가의 주장을 선양했다...
2023-09-07 09:34:42
[묵자 편-3] 묵가, 그리고 유가와의 설전
묵자는 원래 유가(儒家) 학자였으나 후에 유가학설의 부족점을 발견하고 겸애(兼愛)와 비공(非攻) 사상을 골자로 하는 묵가학파를 창설했다...
2023-09-06 09:32:09
[묵자 편-2] 염색, 그리고 인간의 영향력
묵자가 평민학교를 설립해서 얼마 지나지 않아 이 세상에 묵자의 제자가 없는 곳이 없게 되었다...
2023-09-05 09:32:46
[묵자 편-1] 겸애, 그리고 학교 설립
그의 이상은 나라와 나라 사이에 성벽을 쌓지 말고 이 세상에 더는 전쟁이 없는 것이었다...
2023-09-04 09:25:51
[노반 편-4] 영원한 발명품들 남기다
노반은 나이가 든 후에도 가만 있지 못하고 여기 저기 다니며 사람들이 그의 이름을 불러 주고 그의 발명을 사용하는 것을 즐겨 듣고 보았다...
2023-08-31 09:27:07
[노반 편-3] 반전사상을 받아들이다
초 왕을 설득시켜 송나라를 정벌계획을 취소하게 한 후 노반과 묵자는 노반의 집에 이르러 촛불을 켜고 밤새 이야기를 나누었다...
2023-08-30 09:23:26
[노반 편-2] 운제(雲梯)로 전쟁을 막다
월나라의 천리 땅을 차지한 초 왕은 아주 만족했고 그의 야망도 점덤 부풀어 올랐다. 그는 백성의 어려움과 군대의 피로를 무시하고 송(宋)나라를 공격하려 했다...
2023-08-29 09:20:05
[노반 편-1] 구거(鈎拒)로 실전에서 승리하다
많은 목공 도구를 발명한 노반은 고대 중국의 유명한 발명가이며, 해전에서 사용하는 갈구리와 성을 공격하는데 사용하는 운제(雲梯)를 발명한 노반은 군수업의 유명한 전문가이기도 하며...
2023-08-28 09:18:01
[서시 편-4] 미녀 스파이의 죽음
월나라 군대가 고소를 공격하는 날 범려는 오 왕의 후궁에서 서시를 찾아냈다. 범려가 서시에게 말했다...
2023-08-24 09:08:33
[서시 편-3] 임무의 성공적 완성
부차는 서시를 품에 안고 벌써 깊이 잠들었다. 서시는 자신의 어깨를 감싼 부차의 큰 손을 살며시 옮겨 놓고 자리에서 일어나 침상에 앉아 곁에 있는 이 남자를 조용해 내려다보며 깊은 생각에 빠졌다...
2023-08-23 09:06:12
[서시 편-2] 스파이 훈련
옷이 날개이다. 미녀들인 서시와 정단(鄭旦)이 능라 비단 옷을 입으니 하늘에서 내려온 선녀와 같았다...
2023-08-22 09:03:14
[서시 편-1] 미인계의 주인공
그녀는 하늘에서 내려온 선녀를 방불케 하는 고대 중국의 4대 미인 중 으뜸이다. 바람이 불면 날려갈 듯 연약한 이 미녀는 ‘선물’로 오(吳) 왕에게 보내져서 고대 중국에서 가장 성공적인 미녀 스파이가 되었다...
2023-08-21 08:59:44
[구천 편-4] 망국의 원수를 갚다
월나라가 착실하게 전쟁준비를 하는데 오 왕은 아무 것도 모르고 있었다. 왜냐하면...
2023-08-17 08:37:49
[구천 편-3] 와신상담으로 궐기를 꿈꾸다
오나라로 돌아온 구천은 회계의 치욕을 잊을 수 없어 범려에게 말했다...
2023-08-16 08:35:51
[구천 편-2] 오나라 왕의 노복이 되다
부친의 상이 끝난 후 오 왕 부차는 상국 오자서를 대장(大將)으로, 태재(太宰) 백비를 부장(副將)으로 하고 거국적인 힘으로 태호로부터 물길을 통해 기세 드높게 월나라를 향해 진군했다...
2023-08-15 08:33:31
[구천 편-1] 오나라 군대를 격파하다
월(越)나라 왕 구천(句踐)은 군주의 신분으로 패전 후 기꺼이 마부가 되어 오(吳)나라 군주 부차(夫差)의 노복으로 3년을 살았다...
2023-08-14 08:31:54
[손무 편-4] 은둔 그리고 <손자병법>
오 왕 합려가 영도에서 천하 제일 강국을 격파한 것을 경축하고 있는데 갑자가 초나라 대부 신포서(申包胥)가 진(秦)나라의 군사를 빌어 당나라를 멸하고 영도로 오고 있다는 놀라운 소식을 접하게 되었다...
2023-08-10 09:03:53
[손무 편-3] 명검과 오나라의 완승
달이 빛을 뿌리는 황혼, 처량한 피리 소리가 들려왔다. 손무가 그 피리소리를 따라 점장대(点將臺)에 오르니 슬픈 표정을 지은 오자서가 높은 단에 앉아 피리를 불고 있었다...
2023-08-09 09:01:28
[손무 편-2] <손자병법> 그리고 그의 매력
오 왕은 최근에 <손자병법>에 빠졌다. 오자서는 어느 날 오 왕이 이렇게 탄식하는 것을 들었다...
2023-08-08 08:58:43
[손무 편-1] 하산 그리고 궁녀 훈련
병법에 능한 손무는 백전백승으로 오(吳)나라 왕의 제패를 도왔고 그가 남긴 <손자병법>은 전략적 높이에서 전쟁의 원리와 작전의 모략을 천명했으며 오늘날에도 여러 가지 외국어로 번역되어 세계 제일의 병서로 인정된다...
2023-08-07 08:55:47
[오자서 편-4] 원수는 갚고 은혜에는 보답
오자서는 복수심을 불태우며 복수의 날을 기다리는 동시에 오나라 왕을 도와 법을 제정하고 유능한 인재를 등용하며 농업과 상업을 장려하면서 국고를 튼실히 해서 오나라는 날로 강성해졌다...
2023-08-03 09:13:05
[오자서 편-3] 칼을 가는 대장부
천신만고 끝에 오자서는 끝내 오나라에 도착했다. 주변을 둘러봐도 아는 얼굴 하나 없는 오나라에서 오자서는 오나라의 도읍인 매리(梅里)의 한 저잣거리에서 피리를 불며 구걸할 수밖에 없었다...
2023-08-02 09:10:05
[오자서 편-2] 의인의 도움으로 성공적 탈출
소관을 넘어 갈대밭을 반나절 달린 오자서는 끝내 악저(顎渚)에 도착했다. 만경창파 설레는 강물이 도도하게 흐르고 저 멀리 맞은 켠에는 무성한 갈대 숲이 몽롱하게 안겨왔다...
2023-08-01 09:06:54
[오자서 편-1] 지명수배자로 도주
성격이 강직하고 용감하며 계략도 많은 오자서는 오(吳)나라 왕을 도와 법을 제정하고 현명한 인재를 등용하며, 농업과 상업을 장려하고 국고를 튼실히 하며, 성을 쌓고 수비를 다지며, 유능한 군사가 손무(孫武)를 왕에게 추천하여 오나라의 군사력을 키웠다...
2023-07-31 09:03:35
[공자 편-4] 영원한 스승
노나라 군주 애공(哀公)이 사냥하러 대야(大野)에 갔을 때 숙손씨의 가신이 이상한 짐승 한 마리를 잡았다...
2023-07-20 09:52:25
[공자 편-3] 공자의 벼슬길
공자는 집에서 <주역(周易)>을 읽고 있었다. 공자가 이 책을 얼마나 읽었는지 죽간을 연결한 소가죽 끈이 벌써 세 번이나 닳아 끊어졌다...
2023-07-19 09:51:02
[공자 편-2] 공자의 학당
종일 낭랑한 글 읽는 소리가 들려오는 학당에서는 가끔 우아한 현악기 소리가 들리기도 했다. 이때부터 사람들은 공구를 공자라 부르거나 부자(夫子)라 부르며 스승으로 대하기 시작했다...
2023-07-18 09:48:45
[공자 편-1] 공자의 꿈
공자(孔子)는 최초로 사학(私學)을 열어 관학(官學) 독점의 교육전통을 타파했고 이로부터 서민들도 공부를 할 수 있는 교육 평민화의 발전을 추진했다...
2023-07-17 09:45:13
[노자 편-4] <도덕경>의 탄생
3년간 모친의 묘소를 지키면서 노자의 깨달음은 더 깊어갔다. 머리 속에 철학적 사고를 가득 담은 노자는...
2023-07-13 16:44:47
[노자 편-3] 죽음과 깨달음
모친과 이별하고 낙읍에 올라와 학문에 정진하면서 노자는 주 나라의 수장실 태사가 된 후 몇 번 고향에 돌아가 낙읍으로 옮겨서 함께 지내자고 모친을 설득했다...
2023-07-12 16:42:55
[노자 편-2] 두 거인의 만남
낙읍에 이른 노자는 고대 중국의 국립 대학 격인 태학(太學)에 들어가 천문과 지리를 배우며 <시경(詩經)>과 <상서(尙書)>, <의례(儀禮)>, <악경(樂經)>, <주역(周易)> 등 많은 저서들을 탐독했다...
2023-07-11 16:40:01
[노자 편-1] 거인의 탄생
노자(老子)는 자신을 만나러 온 공자(孔子)를 비판했다. 노자의 일장연설에 공자는 노자 사상의 깊이를 알 수 없다고 여겨 감탄을 금하지 못했으며 그로부터 사흘 동안 입을 열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2023-07-10 16:38:25
[안영 편-4] 나라에 평생을 바치다
제 나라는 국력이 약해져 더는 진 나라와 대항할 수 없게 되었다. 국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제 나라는 혼인을 통해 관계를 강화하려 했다...
2023-07-06 09:58:45
[안영 편-3] 설전에서 완승하다
안영은 또 다시 초 나라에 사신으로 가게 되었다. 언변에 능한 초 나라 사람들이 조정에 모여 벌써부터 안영을 기다리고 있었다...
2023-07-05 09:56:34
[안영 편-2] 새 군주를 보좌하다
최저와 대부 경봉이 서로 물고 뜯으면서 추태를 보이고 역사의 무대에서 사라졌다. 이와 동시에 안영은 초(楚) 나라에 사신으로 가서...
2023-07-04 09:53:58
[안영 편-1] 군주를 위해 울다
제(齊) 나라의 재상 안영(晏嬰)은 키도 크지 않고 얼굴도 평범하게 생겼으나 총명하고 언변이 출중했다. 그는 대내로는 직언을 아끼지 않으면서 백성의 이익을 도모했고 대외로는 곳곳으로 다니며 뛰어난 외교가로 활약했다...
2023-07-03 09:50:00
[자산 편-4] 영원히 남은 어진 성품
자태숙이 병중의 자산을 문안하러 왔다. 두 대부는 나랏일을 논하며 모두 우울해졌다. 자태숙이 먼저 말했다...
2023-06-30 16:14:19
[자산 편-3] 사람을 감복시키는 어진 마음
자산은 정 나라 목공(穆公)의 손자이고 공자(公子) 발(發)의 아들이기에 공손(公孫) 교(僑)라 불리기도 했다...
2023-06-29 16:11:25
[자산 편-2] 나라를 구한 외교 수단
자산은 천재적인 외교가이기도 하다. 교묘한 그의 외교적 수사는 지난 2천여년 동안 사람들의 칭찬을 받으면서 외교적 수사의 모범이 되고 있다.
2023-06-28 16:08:52
[자산 편-1] 중국 최초의 법 집행
그는 최초로 민주와 법치의 관념을 제출하고 중국 최초의 법을 제정했으며 그 법을 청동으로 주조한 정(鼎)에 새겼다...
2023-06-27 16:04:28
[손숙오 편-4] 청렴의 화신으로 남다
초 나라 궁중에는 맹(孟)이라는 이름의 배우가 있었다. 연극이나 우스운 이야기로 초 나라 왕의 무료함을 달래고 초 나라 왕에게 웃음을 가져다 주는 맹은 장왕의 총애를 한 몸에 받고 있었다...
2023-06-22 11:13:03
[손숙오 편-3] 열심히 나라를 키우다
손숙오는 민생과 경제를 중시해 수리시설을 대거 축조했을 뿐만 아니라 농업생산을 발전시키는 동시에 농민들이 광산을 개발해 청동산업을 발전시키는 것도 격려했으며 많은 정책을 펴서 시장의 번영을 이끌어냈다...
2023-06-21 11:10:54
[손숙오 편-2] 재상이 물을 다스리다
손숙오가 피곤한 얼굴로 조정에 나가자 장왕이 물었다. “최근 경은 무얼 하시오? 얼굴에 고생한 흔적이 역력한데 또 인수로 파러 어디 다녀오신거요?”...
2023-06-20 11:07:47
[손숙오 편-1] 재상식에 임하다
손숙오(孫叔敖)는 초(楚)나라 장왕(庄王)의 요구에 따라 제 기한에 군량을 보급해 장왕은 물론이고 모든 사람들이 그의 능력에 감탄했다...
2023-06-19 11:04:37
[동호 편-4] 양심 사관과 어진 재상
공자(孔子)는 동호를 양심의 사학자라고 평가하고 조순은 현명한 대부라고 인정했다. 그도 그럴 것이 조순이 당시 사관의 목숨 하나쯤은 식은 죽 먹기로 거둘 수 있는 막강한 권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2023-06-15 11:25:52
[동호 편-3] 재상과 강직한 사관
강주에 돌아온 조순은 도원으로 직행했다. 문무백관은 벌써 도원에 모여 있었다. 조순은 영공의 시신에 쓰러져 슬프게 울었다...
2023-06-14 11:23:20
[동호 편-2] 폭군을 제거한 장군
조천(趙穿) 장군은 서쪽 교외에서 사냥을 즐기고 귀가하는 중에 조순부자가 마차를 달려 오는 것을 보고 이상하게 생각했다...
2023-06-13 11:20:15
[동호 편-1] 폭군과 근면한 재상
그는 자신의 붓으로 시종 역사를 사실 그대로 공정하게 기록했다. 작은 붓은 날카로운 칼처럼 사실을 왜곡하려는 사람들을 해법이 없는 고뇌에 빠지게 했다...
2023-06-12 11:17:27
[관중 편-4] 관중 그리고 포숙아
유목민족의 정권을 말하는 산융(山戎)은 서쪽으로 연(燕) 나라와 인접하고 동남쪽으로 제(齊) 나라, 노(魯) 나라와 이웃했다...
2023-06-08 13:53:07
[관중 편-3] 이론에서 실적으로
환공이 관중을 재상으로 등용한 후 제 나라는 노 나라와 세 번에 걸친 전쟁에서 모두 승리를 거두어 노 나라의 많은 땅을 차지했으며 높은 위망을 자랑해 송(宋)과 진(陳), 채(蔡) 등 나라들에 의해 맹주(盟主)로 천거되었다...
2023-06-07 13:50:35
[관중 편-2] 죄수에서 재상으로
중천에 뜬 태양은 활활 타오르는 불덩이 같고 죄수 수송차에 갇힌 관중은 뜨거운 태양에 당장 숨이 질 것 같았다...
2023-06-06 13:48:08
[관중 편-1] 적군에서 아군으로
관중(管仲)은 군웅이 할거하고 영웅이 나던 춘추(春秋)시대에 제환공(齊桓公)을 도와 위업을 이룬 경세의 재상이다...
2023-06-05 13:42:47
[주공단 편-4] 영원한 애국자
주공 단의 나이 87세가 되었다. 이 때는 성왕이 친정하고 그가 섭정 왕에서 물러 난지 16년이 되는 해였다...
2023-06-01 16:38:48
[주공단 편-3] 예악의 창시자
밤안개가 자욱하고 아직 날이 밝지 않았는데 주공 단은 촛불 아래서 <주역(周易)>의 효사(爻辭)를 쓰고 있었다...
2023-05-31 16:37:07
[주공단 편-2] 근면한 교육자
애초에 주공 단은 호경에 남아 어린 성왕을 보좌하기 위해 자신의 제후국인 노 나라는 아들인 백금(伯禽)에게 다스리게 했다...
2023-05-30 16:34:22
[주공단 편-1] 예악의 창시자 주공 단
주공 단은 주문왕(周文王)을 도와 주 나라를 발전시키고 주무왕(周武王)을 보좌해서 상(商) 나라를 멸했으며 주성왕(周成王)을 도와 주 왕조의 근간을 다졌다...
2023-05-29 16:28:13
[강태공 편-4] 제후
강태공이 무왕을 배동해 구간전(九間殿)에 이르니 화재는 이미 진압되었다. 무왕은 대궐의 동쪽에 20개의 굵은 구리 기둥이 있는 것을 보고 놀란 얼굴로 강태공에게 물었다...
2023-05-25 13:27:15
[강태공 편-3] 결전
하늘이 누구를 멸하고자 하면 먼저 누구를 미치게 한다는 말이 있다. 무도한 주왕은 더욱 이성을 잃고 충신을 산채로 불에 집어 넣고 뱀이 궁녀를 삼키게 하는 등 온갖 만행을 저질렀다...
2023-05-24 13:25:20
[강태공 편-2] 연습
주문왕 희창은 큰 뜻을 펴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났다. 주문왕의 뒤를 이은 주무왕(周武王)은 부친의 뜻을 받들어 강태공을 국사(國師)로 모시고 상부(尙父)라고 불렀다...
2023-05-23 13:23:36
[강태공 편-1] 하산
강태공은 중국 역사상 가장 유명한 군사가이자 모략가이다. 유가(儒家)와 도가(道家), 법가(法家), 병가(兵家), 종횡가(縱橫家)가로부터 모두 종사(宗師)로 인정 받는 강태공은 백가(百家)의 종사라고도 불린다...
2023-05-22 13:20:28
[주문왕 편-4] 천하를 꿈꾸며
희창은 유리에서 7년간 감방 생활을 하는 동안 잡화상 강자아(姜子牙)를 알게 되어 그에게서 음양전환의 이치를 배웠을 뿐만 아니라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조금씩 실력을 키우면서 상 나라를 약화시키고 그러면서 때를 기다리라는 그의 제언도 받아들였다...
2023-05-19 10:16:25
[주문왕 편-3] 천하를 향해
희창은 살아서 주원으로 돌아오기는 했지만 장남인 백읍고의 죽음으로 우주와 인생에 대해, 삶과 죽음의 이치에 대해 새로 깨닫게 되었으며 자강불식(自强不息)과 후덕재물(厚德載物)의 이치를 알았고 특히 그로 인해 더욱 백성을 사랑하고 주(周) 나라 관리에 모든 에너지를 다 쏟았다...
2023-05-18 10:14:35
[주문왕 편-2] 하옥 그리고 <주역>
나라가 망하려면 요괴가 나온다는 말이 있다. 상(商)나라의 번영을 이룩한 무정(武丁) 왕이 가고 백 년 여가 지나자 상 나라에 폭군 주왕(紂王)이 나타났다...
2023-05-17 10:12:48
[주문왕 편-1] 현명하고 어진 주군
주문왕(周文王)은 억울하게 옥살이를 하면서 팔괘연구에 몰두하여 우주만물을 형성하는 8가지 기본 물질을 이끌어내고 그로부터 무한한 사물을 추단하여 중국 최초의 우주 탐구자가 되었다...
2023-05-15 09:52:04
[부호 편-4] 영원한 동반자
푸른 소나무 소슬한데 백마가 슬피 울었다. 상 나라 왕궁에는 수심이 가득 어렸다. 온 몸에 핏자국이 낭자한 부호가 침대에 누워 있었다...
2023-05-12 14:07:03
[부호 편-3] 문무를 겸한 여성 영웅
부호는 수많은 전쟁을 치르면서 많은 곳들을 상 나라의 국토에 편입시켜 상 나라의 국토가 몇 배나 늘렸다...
2023-05-11 14:07:54
[부호 편-2] 다시 울린 승전고
부호가 서쪽의 침입자를 성공적으로 물리쳤으나 북쪽에서 토방국과의 전쟁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었다...
2023-05-10 14:02:55
[부호 편-1] 첫 출전
상(商) 나라의 왕후인 부호(婦好)는 중국 역사상 사서에 기록된 최초의 여성 군사 통수이다. 그는 평생 동안 전장을 넘나들며 수많은 전쟁을 치렀고 국토를 넓혀 상(商) 나라의 눈부신 번영을 이루는데 일조했다...
2023-05-09 14:00:22
[우임금 편-4] 통일왕조의 군주
모든 사람들이 우의 깊은 공덕과 높은 위망을 높이 사서 우는 순 임금의 뒤를 이어 천자가 되었다...
2023-05-04 21:19:23
[우임금 편-3] 치수의 성공
수해복구는 수해방지보다 훨씬 더 어렵다. 우는 큰 물이 빠진 곳에 배수구를 내고 토지를 개량해 알칼리성 소택지를 살찐 경작지로 만들어야 했다...
2023-05-03 21:17:11
[우임금 편-2] 때 늦은 결혼
바닷물이 정상적인 수위를 찾아가고 홍수가 물러가면서 수십 년간 물에 잠겼던 육지가 알칼리성 토양으로 변했으며 하천도 제 곬을 찾지 못하고 이리 저리 임의로 흐르며 저지대에 소택지를 형성했다...
2023-05-02 21:15:21
[우임금 편-1] 치수의 시작
하(夏)나라의 창시자 우(禹) 임금은 군주가 되기 전에 물을 다스리는 치수(治水)에 혼신을 쏟아 부으며 8년 동안 집 앞을 세 번이나 지나면서도 손꼽아 자신을 기다리는 가족과 만나지 않고 그냥 지나쳤다...
2023-05-01 21:12:41
[후직 편-4] 영원한 농관
그 때 중화대지의 동쪽과 남쪽에는 큰 물이 지고 북쪽과 서쪽에는 가뭄이 들어 우가 몇 년째 물을 다스리는 중이었다...
2023-04-28 09:59:25
[후직 편-3] 농경의 신
농관이 된 후직은 매일 여러 곳을 다니며 농사를 가르쳤다. 그는 한 부락에 이르면 사람들을 모아 놓고 먼저 이론을 알아 듣기 쉽고 자세하게 강의했다...
2023-04-27 09:57:08
[후직 편-2] 오곡의 군주
기는 과연 신인이었다. 그때 사람들은 벌써 곡식을 재배하고 돼지와 소, 양, 말 등을 사육했다. 하지만 소출이 적어서 야외에서 채집하는 것보다도 적었다...
2023-04-26 09:54:31
[후직 편-1] 신묘한 출생
오늘날도 많은 사람들은 노란 좁쌀로 만든 죽을 아침식탁에 많이 올린다. 맛도 일품이고 영양분도 많으며 위장에 좋은 이 좁쌀은 고대에 직(稷)이라 불렀고 속칭 률(栗)이라고도 한다...
2023-04-25 09:51:30
[창힐 편-4] 영원한 동반자
창힐은 목탄으로 자작나무 껍질과 도자기, 짐승 가죽에 자신이 만든 글자를 기록해서 황제에게 가져다 보였다...
2023-04-21 17:14:12
[창힐 편-3] 다양한 조자법
총명한 창힐은 모친이 손으로 칼날을 가리키는 것을 보고 지사(指事)라는 새로운 조자법을 생각해냈다...
2023-04-20 17:12:18
[창힐 편-2] 상형한자의 창제
"세상 만물은 모두 고유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 특징을 중심으로 모두가 알아보는 그림을 그린다면 문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라고 생각한 창힐은 한자 창제의 길에 올라섰다...
2023-04-19 17:10:29
[창힐 편-1] 한자 창제의 시작
역사의 발전여정에서 중국은 문자의 창제로 인해 새끼에 매듭을 지어 사건을 기록하던 시대에 종지부를 찍었고 그로부터 몽매한 시대를 벗어나 문명 시대로 진입했으며 중화문화도 그로부터 끊임 없이 존속하고 전승되고 있다...
2023-04-18 17:26:28
[누조 편-4] 누조로 남다
천하 통일의 기반을 다진 황제가 집으로 돌아왔을 때 서릉씨는 황제를 위해 차남 창의(昌意)을 낳은 뒤였다...
2022-09-23 07:55:49
[누조 편 3] 황제와의 혼인
서릉씨의 명성은 치우(蚩尤) 정벌 준비를 하던 황제(黃帝)의 귀에도 들어갔다. 아름답고 착한 서릉씨가 양잠기술을 발명해 서릉부락을 야만에서 벗어나게 했으며 작은 부락들간의 관계도 잘 조율해 서릉부락을 번창에로 이끌고 있다는 것을 들은 황제는 서릉씨가 여중호걸과 여장부라고 판단했다....
2022-09-22 07:49:54
[누조 편 2] 리더의 능력
하늘은 구천(九天)의 누각이 보일 정도로 씻은 듯 맑았고 푸른 하늘 아래 서릉의 벌판에는 녹음이 설렜다. 봄바람이 산들 산들 불어오고 끝없이 펼쳐진 뽕나무 밭에서는 푸른 가지가 바람에 한들거리고 있었다...
2022-09-21 08:01:28
[누조 편-1] 양잠의 발명
때는 수목이 울창하고 녹음이 무성한 4월이었다. 왕봉(王鳳)은 사천(四川)의 서릉산(西陵山)자락을 흐르는 아계(鵝溪) 기슭에서 개구리밥을 따가지고 집으로 돌아가려는 참이었다...
2022-09-20 09:08:11
[황제 편-4] 대 통일의 기반
탁록전쟁이 끝난 후 황제는 끊임 없이 국토를 넓혀나가 동쪽으로 바다에 이르고 서쪽으로 공동산(崆峒山), 남쪽으로 강상(江湘), 북쪽으로 훈죽인(葷粥人)의 곳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황제의 세력범위에 들어왔다...
2022-09-16 07:52:09
[황제 편-3] 도시의 출현
어두운 밤이 바야흐로 가고 새 날이 밝아오는 때, 조각달이 차가운 서쪽 하늘에 걸려 있는 이른 새벽, 동쪽 하늘에 어스름하게 밝은 빛이 스며 나올 즈음 황제는 고요한 대지를 바라보며 훈(埙)을 불었다...
2022-09-15 08:09:47
[황제 편-2] 황제와 치우의 결전
땀이 비오 듯 흐르는 여름이 다가오는 때 황제는 새로운 정벌을 계획하고 있었다. 원래 염제 수하에 있던 구려(九黎) 부락이 황제의 부락에 가입하는 것을 거부했을 뿐만 아니라 구리광산과 염전이 있는 신농부락의 가장 좋은 땅을 차지해버렸다...
2022-09-14 10:29:41
[황제 편-1] 황제의 탄생
맑은 하늘에 밝은 달이 뜨고 청산이 검푸른 빛을 뿌리는 머나먼 5천년 전의 어느 날 꽃 향기 진동하는 저녁, 판천(阪泉)의 대지에는 고요가 흐르고 있었다...
2022-09-14 10:20:57
More>
뉴스
더보기 >
미국은 중국-필리핀 해상 분쟁에 개입할 권한 없다
미국이 어제(10일) 남해에서 '위험하고 안정을 파괴'하는 행동을 중단할 것을...
2023-12-11 20:54:53
미국, 또 신장의 이른바 인권을 구실로 제재...외교부, 중국은 단호히 반제조치 취할 것
미국이 또 이른바 신장(新疆) 인권을 구실로 삼아 중국 기업과 인원들에 대한 제재를 단행한 데 대해 단호히 반대했으며...
2023-12-11 17:54:38
중국 외교부, 美 가자지구 인도주의 휴전 결의 초안 단독 부결에 유감과 실망 표시
미국이 가자지구 인도주의 휴전 결의 초안 실시를 단독으로 부결한 데 대해 ...
2023-12-11 17:53:19
중국 외교부, 해상 권리 침해 및 도발 행위 중단할 것 필리핀 측에 촉구
필리핀 함정이 중국 난사(南沙)군도 런아이자오(仁爱礁) 해역에 불법 침입한 후 중국 측...
2023-12-11 17:52:22
중국 외교부, 터무니없이 중국 인권상황 비난한 EU 성명에 "오만과 편견 버려라"
중국 주재 유럽연합(EU) 대표부가 10일 성명을 발표해 중국의 심각한 인권 상황에 대한 관심을 재천명...
2023-12-11 17:51:19
More>
영상
종합
더보기 >
더보기 >
"그분의 지지가 없었더라면 이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을 것입니다"
2023-12-08 16:27:18
제1회: 문명의 연속성과 발전의 길
2023-12-08 10:00:14
문정인 연세대 교수 "한중 미래 발전 방향은 갈등 최소화, 협력 최대화"
2023-12-06 08:52:02
경제
문화
사회
관광
청취자
연예&음악
More>